최근 수정 시각 : 2024-06-17 21:17:11

보흐단 미하일리첸코


1 부슈찬 · 2 코노플랴 · 3 스바토크 · 4 탈로베로우 · 5 시도르추크 · 6 스테파넨코 · 7 야르몰렌코 · 8 말리노우스키 · 9 야렘추크
10 무드리크 · 11 도우비크 · 12 트루빈 · 13 자바르니 · 14 수다코우 · 15 치한코우 · 16 미콜렌코 · 17 진첸코 ·18 브라즈코
19 샤파렌코 · 20 주브코우 · 21 본다르 · 22 마트비옌코 · 23 루닌 · 24 팀치크 · 25 바나트 · 26 미하일리첸코
파일:UEFA EURO UKR.png 세르히 레브로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74ab2; font-size: 0.8em;" 파일:UEFA EURO ESP.png 비센테 고메스 · 파일:UEFA EURO ESP.png 알베르토 보쉬 · 파일:UEFA EURO UKR.png 흘립 플라토프
파일:Bohdan Mykhaylichenko EURO 2024.png
UEFA 유로 2024
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 No. 26
<colbgcolor=#fff> FC 폴리샤 지토미르 No. 15
보흐단 미하일리첸코
Богдан Михайліченко | Bohdan Mykhaylichenko
본명 보흐단 바실리요비치 미하일리첸코
Богдан Васильович Михайліченко
Bohdan Vasylyovych Mykhaylichenko
출생 1997년 3월 21일 ([age(1997-03-21)]세)
우크라이나 키이우주 보리스필
국적
[[우크라이나|]][[틀:국기|]][[틀:국기|]]
신체 175cm / 체중 73kg
포지션 레프트백
유소년 클럽 크느야쟈 스칼스리 (2009~2010)
FC 디나모 키이우 (2010~2014)
소속 클럽 FC 디나모 키이우 (2014~2019)
FC 스탈 카미안스케 (2017 / 임대)
FC 조랴 루한스크 (2018~2019 / 임대)
FC 조랴 루한스크 (2019~2020)
RSC 안데를레흐트 (2020~2023)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2022~2023 / 임대)
GNK 디나모 자그레브 (2023~2024)
FC 폴리샤 지토미르 (2024~ )
국가대표 파일: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7경기 ( 우크라이나 / 2020~ )


[clearfix]

1. 개요

우크라이나 축구 선수. FC 폴리샤 지토미르 소속이다.

2. 클럽 경력

2.1. 경력 초기

키이우주의 도시 보리스필에서 태어났으며, 크느야쟈 스칼스리를 거쳐 디나모 키이우의 유스팀에서 성장해왔다.

2.2. 우크라이나 프리미어리그 시절

2015년 5월 15일, 우크라이나 프리미어리그 25라운드 카르파티 르비우를 상대로 후반 41분 예레마인 렌스 대신 교체 투입되어 1군 데뷔전을 치렀다.

그러나 이후에는 리저브팀에 머물며 1군에서 자리를 잡지 못하였다. 결국 높은 수준의 리그에서 경험을 쌓기 위해 스탈 카미안스케와 조랴 루한스크에서 임대 생활을 하였다.

2018-19 시즌 조랴에서 리그 초반에는 벤치에 머물렀으나, 중반부터 주전 레프트백으로 자리 잡으며 준수한 활약을 보여준 끝에 시즌을 마치고 완전 이적에 합의하였다.

완전 이적 후에도 여전히 붙박이 레프트백으로 출전하였고, 팀이 우크라이나 프리미어리그 2위를 달성하는데 공헌하였다.

2.3. RSC 안데를레흐트

2020년 7월 21일, 조랴 루한스크의 단장인 스타니슬라프 오하뇨프는 미카일리첸코가 다음달 1일 벨기에의 RSC 안데를레흐트로 이적한다고 발표하였다. 그리고 8월 1일, 정식으로 팀에 입단하였다.

2.3.1.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임대)

현지 시각 2022년 7월 27일, FC 샤흐타르 도네츠크로 한 시즌 임대 이적하였다. 구매 옵션 포함. #

2.4. GNK 디나모 자그레브

2023년 7월 24일, 크로아티아의 GNK 디나모 자그레브에 입단하였다.

초반에는 선발과 교체를 오가며 출전 기회를 받았으나 실망스러운 경기력을 일관하면서 결국 2023년 10월 5일에 치러진 FC 발카니와의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조별라운드 2차전을 끝으로 더이상 경기에 출전하지 못하였다.

2.5. FC 폴리샤 지토미르

결국 2024년 1월 25일, FC 폴리샤 지토미르로 이적하면서 반 년만에 자국리그로 복귀하였다.

3. 국가대표 경력

유소년 시절부터 여러 연령대 대표팀을 거치며 많은 경기를 출전해왔다.

2020년 9월 3일, 스위스와의 UEFA 네이션스 리그 경기에서 A대표팀 데뷔전을 가졌고 팀은 2:1로 승리하였다.

UEFA 유로 2020 예비명단에 이름을 올렸으나 올렉산드르 진첸코, 비탈리 미콜렌코에 밀려 최종명단 승선에는 실패하였다.[1]

4. 같이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4d62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113355>포지션 등번호 이름 생년월일 출장 소속 클럽
GK 1 헤오르히 부슈찬
Heorhiy Bushchan
1994년 5월 31일 ([age(1994-05-31)]세) 17 0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디나모 키이우
12 아나톨리 트루빈
Anatoliy Trubin
2001년 8월 1일 ([age(2001-08-01)]세) 10 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SL 벤피카
23 드미트로 리즈니크
Dmytro Riznyk
1999년 1월 30일 ([age(1999-01-30)]세) 2 0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 안드리 루닌
Andriy Lunin
1999년 2월 1일 ([age(1999-02-01)]세) 9 0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CF
DF 2 유힘 코노플랴
Yukhym Konoplya
1999년 8월 26일 ([age(1999-08-26)]세) 10 1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3 발레리 본다르
Valeriy Bondar
1999년 2월 27일 ([age(1999-02-27)]세) 3 0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4 올렉산드르 스바토크
Oleksandr Svatok
1994년 9월 27일 ([age(1994-09-27)]세) 5 0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SC 드니프로-1
13 일리야 자바르니
Illya Zabarnyi
2002년 9월 1일 ([age(2002-09-01)]세) 32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AFC 본머스
16 비탈리 미콜렌코
Vitaliy Mykolenko
1999년 5월 29일 ([age(1999-05-29)]세) 37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에버튼 FC
19 올렉산드르 팀치크
Oleksandr Tymchyk
1997년 1월 20일 ([age(1997-01-20)]세) 15 1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디나모 키이우
21 블라디슬라프 두빈차크
Vladyslav Dubinchak
1998년 7월 1일 ([age(1998-07-01)]세) 0 0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디나모 키이우
22 미콜라 마트비옌코
Mykola Matviyenko
1996년 5월 2일 ([age(1996-05-02)]세) 61 0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 올렉산드르 카라바예우
Oleksandr Karavayev
1992년 6월 2일 ([age(1992-06-02)]세) 49 3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디나모 키이우
- 세르히 크립초우
Serhiy Kryvtsov
1991년 3월 15일 ([age(1991-03-15)]세) 34 0 파일:미국 국기.svg 인터 마이애미 CF
- 에두아르드 소볼
Eduard Sobol
1995년 4월 20일 ([age(1995-04-20)]세) 29 0 파일:벨기에 국기.svg KRC 헹크
- 보흐단 미하일리첸코
Bohdan Mykhaylichenko
1997년 3월 21일 ([age(1997-03-21)]세) 7 0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폴리샤 지토미르
- 데니스 포포우
Denys Popov
1999년 2월 17일 ([age(1995-04-20)]세) 3 0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디나모 키이우
MF 5 세르히 시도르추크
Serhiy Sydorchuk
1991년 5월 2일 ([age(1991-03-15)]세) 60 3 파일:벨기에 국기.svg KVC 베스테를로
6 타라스 스테파넨코 파일:주장 아이콘.svg
Taras Stepanenko
1989년 8월 8일 ([age(1989-08-08)]세) 81 4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7 헤오르히 수다코우
Georgiy Sudakov
2002년 9월 1일 ([age(2002-09-01)]세) 12 1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8 루슬란 말리노우스키
Ruslan Malinovskyi
1993년 5월 4일 ([age(1993-05-04)]세) 57 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제노아 CFC
10 미하일로 무드리크
Mykhaylo Mudryk
2001년 1월 5일 ([age(2001-01-05)]세) 16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첼시 FC
15 빅토르 치한코우
Viktor Tsyhankov
1997년 11월 15일 ([age(1999-02-01)]세) 50 11 파일:스페인 국기.svg 지로나 FC
17 올렉산드르 진첸코
Oleksandr Zinchenko
1996년 12월 15일 ([age(1996-12-15)]세) 58 9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아스날 FC
18 올렉산드르 피할료노크
Oleksandr Pikhalyonok
1997년 5월 7일 ([age(1997-05-07)]세) 8 0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SC 드니프로-1
20 올렉산드르 주브코우
Oleksandr Zubkov
1996년 8월 3일 ([age(1996-08-03)]세) 29 2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 미콜라 샤파렌코
Mykola Shaparenko
1998년 10월 4일 ([age(1998-10-04)]세) 28 1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디나모 키이우
- 빅토르 코발렌코
Viktor Kovalenko
1996년 2월 14일 ([age(1996-02-14)]세) 33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엠폴리 FC
- 다닐로 이나텐코
Danylo Ihnatenko
1997년 3월 13일 ([age(1997-03-13)]세) 6 1 파일:프랑스 국기.svg FC 지롱댕 드 보르도
FW 9 로만 야렘추크
(Roman Yaremchuk)
1995년 11월 27일 ([age(1995-11-27)]세) 46 13 파일:스페인 국기.svg 발렌시아 CF
11 아르템 도우비크
Artem Dovbyk
1997년 6월 21일 ([age(1997-06-21)]세) 23 7 파일:스페인 국기.svg 지로나 FC
14 다닐로 시칸
(Danylo Sikan)
2001년 4월 16일 ([age(2001-04-16)]세) 7 1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 안드리 야르몰렌코
(Andriy Yarmolenko)
1989년 10월 23일 ([age(1989-10-23)]세) 116 46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디나모 키이우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12월 17일
}}}}}}}}} ||


[1] 진첸코가 대표팀에서는 2선이나 3선으로 나서지만 소속팀에서 그랬듯이 레프트백도 충분히 소화할 수 있다. 또한 그가 아니여도 미콜라 마트비옌코도 레프트백에서 뛸 수 있는 선수이기 때문에 사실상 미콜렌코에게 밀린거라고 볼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