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ff {{{#!folding 다쏘 항공기 목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000,#e5e5e5 |
민항기 | ||
머큐리 | |||
군용기 | |||
전투기 | 1세대 | 우라강 · 미스테르 I/II/III · 미스테르 IV | |
2세대 | 쉬페르 미스테르 · 에탕다르 IVM | ||
3세대 | 미라주 III · 미라주 F1 · 미라주 G8 | ||
4세대 | 미라주 2000 · 미라주 4000 | ||
4.5세대 | 라팔 | ||
6세대 | FCAS | ||
폭격기 | 미라주 IV | ||
공격기 | 미라주 V · 쉬페르 에탕다르 | ||
정찰기 | 에탕다르 IVP · 미라주 IV | ||
대잠초계기 | 아틀란틱 | ||
무인기 | 다쏘 뉴론 | ||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 |
{{{#!wiki style="margin:-17px -12px -15.75px" |
<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324b6b> '[[미라주 시리즈|{{{#324b6b {{{-1 Dassault Mirage''}}}}}}]]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미라주 I| |
[[미라주 II| |
[[미라주 III| |
[[미라주 IV| |
|||
미라주 I | 미라주 II | 미라주 III | 미라주 IV | ||||
[[미라주 5| |
[[미라주 50| |
[[미라주 IIING| |
[[미라주 IIIEX| |
||||
미라주 5 | 미라주 50 | 미라주 IIING | 미라주 IIIEX | ||||
[[다쏘 밀란| |
[[미라주 F1| |
[[미라주 F2| |
[[미라주 F3| |
||||
밀란 | 미라주 F1 | 미라주 F2 | 미라주 F3 | ||||
[[미라주 G| |
[[미라주 G4| |
[[미라주 G8| |
[[미라주 G8A| |
||||
미라주 G | 미라주 G4 | 미라주 G8 | 미라주 G8A | ||||
[[미라주 2000| |
[[미라주 3000| |
[[미라주 4000| |
[[미라주 6000| |
||||
미라주 2000 | 미라주 3000 | 미라주 4000 | 미라주 6000 | }}}}}}}}} |
|
|
Dassault Mirage G séries |
1. 개요
냉전이 한창이던 1960년대에 프랑스 국방부가 요청한 가변익 전투기 개발 프로젝트를 받아들인 다쏘 사에서 개발한 미라주 G는 미라주 시리즈는 물론, 프랑스제 전투기를 통틀어 유일무이한 가변익기였다. 이 전투기는 이륙이나 착륙할 때처럼 양력이 많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주날개를 활짝 펼치고, 순항 비행시에는 날개의 후퇴각을 키우며 초음속 비행을 할 때는 완전히 뒤로 젖혀 동체와 일체화시켜 일종의 델타익 항공기와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그 형태나 기체의 규모는 차이가 있지만, 훗날 가변익 전투기의 대명사이자 함상전투기의 제왕으로 불리게 될 그루먼 F-14 톰캣과 같은 컨셉으로 만들어진 프로토타입 전투기였다.실제로 비행 중에 작동하는 가변익을 처음 만들어본 다쏘-브레게 기술진들이었으나, 쟝 자끄 사민(Jean-Jacques Samin : 1926~1991)[1]과 쟝 폴 에모르(Jean-Paul Emoré : 1937~2013) 같은 엔지니어를 중심으로 사전 연구는 그전부터 해오고 있었던 덕분에 완성된 시제기들은 비행 시험을 통해 거의 모든 면에서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그렇지만 가변 후퇴익 최고의 단점이라고 할 수 있는 복잡한 구조와 비싼 가격, 주날개 강도의 제한은 필연적으로 이 날개를 채택한 항공기의 무게를 늘리고 정비 소요는 훨씬 더 커지고 가격의 상승을 불러왔기 때문에 계획이 취소되었다.
2. 형식
2.1. 미라주 G (미라주 IIIG)
자세한 내용은 미라주 G 문서 참고하십시오.2.2. 미라주 G4
자세한 내용은 미라주 G4 문서 참고하십시오.2.3. 미라주 G8
자세한 내용은 미라주 G8 문서 참고하십시오.2.4. 미라주 G8A (ACF)
자세한 내용은 미라주 G8A 문서 참고하십시오.3. 영향
미라주 G의 개발 지연과 포기로 인해 프랑스 공군은 그야말로 별 기대없이 보조 전투기로 구입했던 미라주 F1을 주력 전투기로 채택할 수밖에 없게 되었고, 이는 곧 차기 주력 전투기로 미라주 2000의 개발을 서두르게 되었으니 결국 비용을 아낀다는 원래의 목표도 달성하지 못했다. 잘 알려진 대로, 미라주 2000은 기본적으로는 미라주 G를 위해 개발된 스네크마 M53 엔진을 단발로 장비하는 설계를 도입해 개발 기간과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었다. 그렇지만, 다쏘 개발진들은 여전히 대형 쌍발 전투기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했고, 이것은 나중에 미라주 4000이라는 프로토타입으로 소소한 결실을 맺게 되었다.경영감각이 뛰어난 마르셀 다쏘는 G 시리즈의 발목을 잡고 만 가변익 구조를 버리고 기존의 미라주 전투기와 흡사한 델타익으로 바꾼 새로운 G 시리즈에 관한 설계도 제안했으나, 프랑스 공군은 채용을 거부했고 그러자 구매 리스트에 이 가변익 전투기를 올려놓고 있던 이라크와 사우디아라비아도 수입을 취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