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4 05:30:28

뮤츠

뮤츠(포켓몬스터)에서 넘어옴
파일:포켓몬스터 로고.svg 전설의 포켓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세대 초전설 준전설
1세대 파일:icon0150_f00_s0.png
뮤츠
파일:icon0144_f00_s0.png
파일:icon0144_f01_s0.png
프리져
파일:icon0145_f00_s0.png
파일:icon0145_f01_s0.png
썬더
파일:icon0146_f00_s0.png
파일:icon0146_f01_s0.png
파이어
2세대 파일:icon0249_f00_s0.png
루기아
파일:icon0250_f00_s0.png
칠색조
파일:icon0243_f00_s0.png
라이코
파일:icon0244_f00_s0.png
앤테이
파일:icon0245_f00_s0.png
스이쿤
3세대 파일:icon0382_f00_s0.png
가이오가
파일:icon0383_f00_s0.png
그란돈
파일:icon0377_f00_s0.png
레지락
파일:icon0378_f00_s0.png
레지아이스
파일:icon0379_f00_s0.png
레지스틸
파일:icon0384_f00_s0.png
레쿠쟈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icon0380_f00_s0.png
라티아스
파일:icon0381_f00_s0.png
라티오스
}}}
4세대 파일:icon0483_f00_s0.png
디아루가
파일:icon0484_f00_s0.png
펄기아
파일:icon0480_f00_s0.png
유크시
파일:icon0481_f00_s0.png
엠라이트
파일:icon0482_f00_s0.png
아그놈
파일:icon0487_f00_s0.png
기라티나
파일:icon0485_f00_s0.png
히드런
파일:icon0486_f00_s0.png
레지기가스
파일:icon0488_f00_s0.png
크레세리아
5세대 파일:icon0643_f00_s0.png
레시라무
파일:icon0644_f00_s0.png
제크로무
파일:icon0638_f00_s0.png
코바르온
파일:icon0639_f00_s0.png
테라키온
파일:icon0640_f00_s0.png
비리디온
파일:icon0646_f00_s0.png
큐레무
파일:icon0641_f00_s0.png
토네로스
파일:icon0642_f00_s0.png
볼트로스
파일:icon0645_f00_s0.png
랜드로스
6세대 파일:icon0716_f00_s0.png
제르네아스
파일:icon0717_f00_s0.png
이벨타르
파일:icon0718_f00_s0.png
지가르데
7세대 파일:icon0789_f00_s0.png 파일:icon0790_f00_s0.png
코스모그 · 코스모움
파일:icon0772_f00_s0.png 파일:icon0773_f00_s0.png
타입:널 · 실버디
파일:icon0791_f00_s0.png
솔가레오
파일:icon0792_f00_s0.png
루나아라
파일:icon0785_f00_s0.png
카푸꼬꼬꼭
파일:icon0786_f00_s0.png
카푸나비나
울트라비스트
파일:icon0800_f00_s0.png
네크로즈마
파일:icon0787_f00_s0.png
카푸브루루
파일:icon0788_f00_s0.png
카푸느지느
8세대
파일:icon0888_f01_s0.png
자시안
파일:icon0889_f01_s0.png
자마젠타
파일:icon0891_f00_s0.png 파일:icon0892_f00_s0.png
치고마 · 우라오스
파일:icon0890_f00_s0.png
무한다이노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icon0894_f00_s0.png
레지에레키
파일:icon0895_f00_s0.png
레지드래고
}}}
파일:icon0898_f00_s0.png
버드렉스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icon0896_f00_s0.png
블리자포스
파일:icon0897_f00_s0.png
레이스포스
}}}
파일:icon0905_f00_s0.png
러브로스
9세대 파일:icon1007_f00_s0.png
코라이돈
파일:icon1008_f00_s0.png
미라이돈
파일:icon1001_f00_s0.png
총지엔
파일:icon1002_f00_s0.png
파오젠
패러독스 포켓몬
파일:icon1003_f00_s0.png
딩루
파일:icon1004_f00_s0.png
위유이
파일:icon1024_f01_s0.png
테라파고스
파일:icon1014_f00_s0.png
조타구
파일:icon1015_f00_s0.png
이야후
파일:icon1016_f00_s0.png
기로치
파일:icon1017_f00_s0.png
오거폰
}}}}}}}}}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91919><tablewidth=700><tablebordercolor=#dc3165><bgcolor=#dc3165><-3> 포켓몬 도감 나열 순서 ||
파일:icon0149_f00_s0.png 0149 망나뇽 파일:icon0150_f00_s0.png 0150 뮤츠 파일:icon0151_f00_s0.png 0151
지역 도감 나열 순서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동도감
파일:149%3F2%3F%3F%3F%3F%3F.png 149 망나뇽 파일:abcm.png 150 뮤츠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151MS.png 151
성도도감
파일:clftorwh.png 253 칠색조 파일:abcm.png 254 뮤츠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151MS.png 255
호연도감(비노출)
파일:149%3F2%3F%3F%3F%3F%3F.png 304 망나뇽 파일:abcm.png 305 뮤츠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151MS.png 306
마운틴칼로스도감
파일:wlrkfmep.png 150 지가르데 파일:abcm.png 151 뮤츠
}}}}}}}}} ||
정보 내 바로가기
일러스트
기본 정보
특성
세부 정보
유전 정보
진화
방어 상성
종족치
울음소리
도감 설명
전용기
skip
1. 정보2. 개요3. 상세
3.1. 뮤츠의 모티브3.2. 입수
3.2.1. 최강의 뮤츠
3.3. 테마곡
4. 대전 및 작중 행적5. 기타6. 삽화7. 둘러보기8. 관련 문서

[clearfix]

1. 정보

파일:150 뮤츠.png
뮤츠
파일:150 메가뮤츠X.png 파일:150 메가뮤츠Y.png
메가뮤츠X 메가뮤츠Y
기본 정보
이름 도감 번호 타입
파일:icon0150_f00_s0.png
뮤츠
ミュウツー(뮤츠)
Mewtwo
전국: 0150
성도: 254
호연: 305
마운틴칼로스: 151

파일:icon0150_f01_s0.png
메가뮤츠X
メガミュウツーX(메가뮤츠X)
Mega Mewtwo X


파일:icon0150_f02_s0.png
메가뮤츠Y
メガミュウツーY(메가뮤츠Y)
Mega Mewtwo Y

특성( 숨겨진 특성은 * / 메가진화 특성은 **)
프레셔 자신에게 기술을 쓴 포켓몬의 기술 PP가 1씩 더 소모된다.
* 긴장감 상대가 장착된 열매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만든다.
** 불굴의마음 풀이 죽으면 스피드가 1랭크 오른다. (메가뮤츠X)
** 불면 잠듦 상태가 되지 않는다. (메가뮤츠Y)
세부 정보
포켓몬 분류 신장 체중 포획률
0150 뮤츠 유전자 포켓몬[1] 2.0m 122.0kg 3
메가뮤츠X 2.3m 127.0kg
메가뮤츠Y 1.5m 33.0kg
유전 정보
<rowcolor=#ffffff> 성비 알 그룹 부화 카운트 최대 경험치량
무성 미발견 - 1,250,000
진화
메가진화 파일:Mewtwo_EpEc.gif
뮤츠
파일:attachment/150_Mewtwo_stone_X.png
뮤츠나이트X
파일:Mewtwo_mega_x.gif
메가뮤츠X
파일:attachment/150_Mewtwo_stone_Y.png
뮤츠나이트Y
파일:Mewtwo_mega_y.gif
메가뮤츠Y
방어 상성(특성 미적용)
2배 1배 0.5배
파일:icon0150_f00_s0.png
뮤츠
파일:icon0150_f02_s0.png
메가뮤츠Y


파일:icon0150_f01_s0.png
메가뮤츠X


종족치
포켓몬 HP 공격 방어 특수공격 특수방어 스피드 합계
파일:icon0150_f00_s0.png
뮤츠
106 110 90 154 90 130 680
파일:icon0150_f01_s0.png
메가뮤츠X
106 190 100 154 100 130 780
파일:icon0150_f02_s0.png
메가뮤츠Y
106 150 70 194 120 140 780
울음소리
파일:icon0150_f00_s0.png
뮤츠
파일:icon0150_f01_s0.png
메가뮤츠X
파일:icon0150_f02_s0.png
메가뮤츠Y
도감 설명
스크롤 압박이 있습니다. 도감 설명을 넘기고 싶으시면
skip을 눌러주세요.
파일:icon0150_f00_s0.png
0150 뮤츠
레드/그린/FR 연구를 위해 유전자를 점점 조합한 결과, 난폭한 포켓몬이 되어 버렸다.
블루/LG 한 과학자가 몇 년에 걸쳐 무서운 유전자의 연구를 계속한 결과 탄생했다.
X
피카츄 와 유전자가 완전 같다. 하지만 크기도 성격도 무서울 정도로 다르다.
레츠고! 피카츄/이브이
금/HG 극한까지 전투능력을 높이 올렸기 때문에
눈앞의 적을 죽여버릴 생각밖에 하지 않는다.[2]
은/SS 싸움에서 최대한의 힘을 낼 수 있도록
보통은 조금도 움직이지 않고 에너지를 모으고 있다.
크리스탈 싸움을 위해서 태어났으며
지금은 어딘가의 동굴 깊은 곳에서 잠자고 있다고 말한다.
RSE/ORAS 유전자 조작에 의해서 만들어진 포켓몬.
인간의 과학력으로 몸은 만들 수 있었지만
상냥한 마음까지 재현해내는 일은 불가능했다.
포켓몬 GO
DPPt/BDSP 뮤의 유전자를 재구성해서 만들어졌다.
포켓몬 중에서 가장 난폭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BW/BW2
Y
소드 뮤의 유전자로부터 만들어진 포켓몬. 압도적인 파워와 난폭한 마음을 가졌다.
실드 어느 과학자의 연구로 태어났다. 그 힘은 싸움에 특화되어 있다.
파일:icon0150_f01_s0.png
0150 메가뮤츠X
레츠고! 피카츄/이브이 사이코 파워로 몸의 근육이 증가했다. 악력은 1톤. 100m를 2초에 달릴 수 있다.
포켓몬 GO
파일:icon0150_f02_s0.png
0150 메가뮤츠Y
레츠고! 피카츄/이브이 몸집은 작아졌지만 파워는 상상을 초월한다.
가벼운 염력만으로 고층빌딩도 산산이 조각난다.
포켓몬 GO
전용기
사이코브레이크

2. 개요

포켓몬스터 레드·그린, 블루, 피카츄를 대표하는 전설의 포켓몬이자 진 최종 보스.

이름의 유래는 '+Two', 또는 Mutant를 변형. 영문판도 'Mewtwo'라고 표기한다. 즉 의도된 표기는 '뮤투'이지만, 한국판 명칭은 일본어 표기인 'ミュウツー'를 그대로 음차해 뮤츠가 되었다.

3. 상세

세간에 알려지지 않은 한 과학자[3]의 유전자 조작을 이용해 창조한 인공 포켓몬. 홍련섬 포켓몬 저택 내의 일기 내용에 의하면, 남아메리카의 가이아나[4]에서 새로운 포켓몬을 발견, 그 이름을 '뮤'라고 명명하고 뮤가 낳은 새끼 포켓몬[5]을 '뮤츠'라고 명명했다고 한다. 뮤츠의 이름은 '두번째 뮤' 를 뜻하며 뮤의 유전공학적 복제물로 유도된다. 뮤츠의 생일은 2월 6일이며, 어미인 뮤를 상대로 이것저것 실험을 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무슨 연유에서인지 폭주해서 연구실을 탈출해 어딘가에 숨어지내고 있다. 포켓몬 적/녹 제작 초기에 뮤는 배경설정상으로만 존재하고 구체적인 데이터가 없는, 뮤츠의 탄생 배경을 설명하기 위한 작중의 정체불명 도시전설이었지만, 적/녹 출시 직전에 모리모토 시게키가 장난으로 뮤의 실제 데이터를 만들어 숨겨두는 바람에 공식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일단 1세대의 유일한 초전설 포켓몬이지만, 설정 단계에서부터 클리어 유저들을 위한 이스터에그로 짜인 포켓몬이라 스토리에도 전혀 연관되지 않고, 작중세계에서도 홍련섬에서 약간의 복선을 깐 것 외에는 전설 포켓몬으로서의 존재감을 각광받지도 않았다. 포켓몬 시리즈의 첫작품 적/녹에서 전설의 포켓몬 포지션은 파이어, 썬더, 프리져의 3새가 차지했고, 뮤나 뮤츠는 작중의 세계관 확립보다는 단순히 개발자들의 재미에 더 치중한 히든피스에 가까웠다. 그러나 '숨은 최강자'라는 이미지 덕분에 3새 보다 높은 인기를 구가했고, 결국 최초로 메가진화형태가 공개된 것도 모자라 형태가 2가지이고, 이후 칠색조 루기아를 제치고 레인보우로켓단 비주기가 사용하는 포켓몬으로 등장하는 등, 초전설의 원조로 당당히 인정받고 있다.

포케스페에서 뮤츠를 로켓단이 만들었다고 나와서,[6] 많은 사람들이 게임에서도 로켓단이 뮤츠를 만들었다고 착각한다. 사실 원작 게임에서 뮤츠는 로켓단이랑 아무 관련도 없고 그저 일개 과학자가 만들었다고 묘사될 뿐이다. 과학자의 정체는 파이어레드/리프그린에서는 보라타운 등나무노인인 것으로 암시된다. 홍련섬의 연구소에는 등나무노인의 사진이 걸려있으며, 에메랄드 버전의 머나먼고도에 가면 그가 쓴 것으로 추정되는 문구가 남아있다. 그리고 포켓몬스터 THE ORIGIN에서도 등나무노인이 뮤츠를 만들었다고 나온다. 체육관 관장이자 연구원인 강연과도 연관성이 커서 이 둘과 관계가 있을지도 모른다는 추측이 있었으며 포켓몬 저택에서 이 둘이 어깨동무를 하고 있는 사진을 발견할 수 있다. 포켓몬스터 스페셜에서는 강연을 뮤츠의 창조자로 등장시키며 심지어 뮤츠의 몸과 강연의 몸에 각각 상대방의 세포가 들어가있다는 무시무시한 설정을 붙였다. 그래서 포케스페에선 인간 포켓몬 도감처럼 활동하며 시한부 인생인 비극적인 인물로 나온다. 자세한 내용은 강연(포켓몬스터 SPECIAL)을 참조하자. 등나무 노인은 과거에 강연과 아는 사이였다는 것으로 나온다.

울트라썬·울트라문에서는 진 최종보스인 비주기의 에이스 포켓몬으로 나온다. 원작의 비주기가 뮤츠와 아무런 관련이 없고 오히려 애니의 비주기가 관련이 많은 사람인 것을 생각하면 애니메이션 내용을 이용한 팬 서비스로 보인다.
1세대 때는 전용 테마곡이 없었고 이후에 생겼다. 관동지방의 야생 포켓몬 전투 테마 어레인지. 3세대 때 나온 1세대 리메이크에서는 다른 전설의 포켓몬들보다 전투 테마의 음이 더 높고 1세대 느낌에 가까운 곡으로 어레인지되어 있다. 포켓몬 스타디움 2에 나온 전용 테마곡과 포켓몬 스크램블에서의 전투 테마도 1세대 전투 테마의 리메이크를 전용 테마로 들고 나온다. 근본적으로는 관동 전설들과 야생 포켓몬과 같은 곡이기 때문에 전용 테마가 아니게 되는 경우도 그만큼 많다. 그래도 대부분의 외전 게임에서 뮤츠가 1세대 테마를 들고 나오기 때문에 거의 전용 테마로 봐도 된다. 그만큼 피카츄, 리자몽과 함께 1세대 포켓몬 중에서 유독 특출난 존재감을 갖고 있는 포켓몬이다.

극장판 뮤츠의 역습에는 어린 시절의 뮤츠가 등장한다. 꽤나 귀여운 모습이지만 해외판(현재 확인 가능한 것은 4kids의 북미판과 초기 한국판[7])에는 이 부분이 내용상 불필요하거나 어린애들이 이해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삭제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포켓몬의 오랜 팬이라 하더라도 존재 자체를 모르는 사람도 많을 듯하다.

파일:external/img2.wikia.nocookie.net/Baby_mewtwo_by_yumitsu-d4mzy1c.png

어린 시절 모습. 뮤의 유전자를 개조한 포켓몬이라 눈매가 를 빼닮았다.

3.1. 뮤츠의 모티브

온갖 동식물과 무생물을 모티브로 하여 대부분 그 원본이 무엇인지 알 수 있는 다른 1세대 포켓몬들과 달리, 이 뮤츠만큼은 도통 원본이 되는 생물이 무엇인지 짐작하기 힘든 난해한 생김새를 하고 있다. 따라서 뮤츠의 모티브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1세대부터 내려오는 팬덤 내에서의 훌륭한 이야깃거리이며 의견이 여러가지로 갈린다. 팬들 사이에서 가장 유력했던 설은 MOTHER 시리즈 기그였지만 기그 설은 게임 프리크가 공식적으로 부정했다.
  • 드래곤볼 프리저: 가장 정설로 여겨지는 모티브로 초창기 포켓몬스터는 MOTHER 시리즈 못지 않게 드래곤볼의 영향 또한 강했다. 가령 후딘 붐볼은 전 단계인 윤겔라와 찌리리공에 비해 디자인이 수수해서[8] 약하다는 인상마저 주는데 이는 프리저를 비롯한 대부분의 드래곤볼 보스들에게서 나타나는 토리야마 아키라의 디자인 철학과 일치한다. 루주라의 모티브 중 하나로 미스터 포포가 강력하게 지목되는 것도 이를 뒷받침한다.[9] 더욱이, 1세대 베타판의 소스 코드가 유출됨에 따라 미공개 스프라이트가 대거 세상 빛을 보았는데 이중 이치타로(イチタロウ)[10]라는 이름의 트레이너 스프라이트는 셀전 직후 머리를 기른 크리링과 똑같이 생겼다.

    파일:aejXR8b_460s.jpg

    따라서 뮤츠에게도 인간과 도마뱀을[11] 적절히 섞은 듯한 특이한 외형이나 흰색 베이스에 보라색의 조합, 어머어마한 초능력을 구사하는 초강캐이며 메카화 버전이 존재한다는 설정으로 종합해, 그 역시 드래곤볼의 등장인물인 프리저에게서 모티브를 빌려온 것이라는 추측이 존재한다.[12] # 그 덕분에 포켓몬스터와 드래곤볼이 엮이는 2차 창작에서 뮤츠가 등장하면 열에 아홉은 드래곤볼 등장인물들이 뮤츠를 프리저로 착각하는 스토리가 나온다. 아이러니하게도 둘 다 나온 지 수십 년 뒤 새로운 각성, 진화 버전이 나왔다는 것도 공통점.
  • 쥬라기 공원 시리즈 벨로시랩터: 등나무노인이 뮤를 이용해 뮤츠를 만들었으리라는 복선이 있는 포켓몬저택 홍련섬에 있으며 화석 포켓몬을 복원하는 연구소[13] 또한 홍련섬에 있다. 그런데 유독 화석하면 딱 떠오르는 대표적인 생물인 공룡을 모티브로 한 화석 포켓몬이 1세대에는 없었다. 어린이, 특히 남아를 대상으로 한 몬스터 컨텐츠에서 흥행의 보증수표나 다름없는 공룡이, 그것도 다른 화석은 버젓이 등장하는 마당에 안 나왔다? 이 부분에서 제시된 가설이다. 프테라를 복원하는 매개체가 '비밀의호박'이라는 점에서 제작진은 그 유명한 쥬라기 공원 시리즈 또한 원작으로든 영화로든 포켓몬에 반영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그 호박에서 복원해낸 것은 공룡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기가 떨어지는 익룡이었고 이것은 플레이어로 하여금 '익룡도 나오는데 공룡도 게임 내 어딘가에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실제로 뮤츠의 탄생비화는 쥬라기 공원의 공룡들과 비슷한 구석이 있다. 원본이 된 뮤 부터가 아득한 옛날로 부터 살아온 환상의 포켓몬이고[14] 공룡도 그정도는 아니지만 아주 오래적에 지구를 누볐다는 사실을 누구나 알고 있다. 또한 뮤츠를 만든 존재는 뮤의 유전자를 기반으로 여러 포켓몬의 유전자를 이것저것 조합했는데 이것이 결국 그의 손으로 감당할 수 없는 결과[15]를 낳았다. 이는 쥬라기 공원의 공룡들 탄생 배경[16], 그리고 작가가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완전히 같다. 이 가설과 늘씬한 몸매, 길쭉한 꼬리와 발달된 뒷다리를 지닌 뮤츠의 생김새를 기반으로 추적해보자면 공룡 중 가장 유력한 후보는 벨로시랩터이다. 벨로시랩터 역시 1편에서 최종 보스였으며 뮤츠나 티라노사우루스 만큼은 아니지만 막강한 무력과 지능을 뽐내는 코즈믹 호러급 존재였고 작중에서도 이들이 어떤 결과를 초래할 지 알 수 없어 정식 투어에서 배제되었다는 언급이 나온다. 또한 뮤츠의 원본격인 뮤는 뮤츠와 달리 매우 작고 실제 벨로키랍토르 역시 영화에서의 마초스러운 모습과는 달리 매우 작은 생물이었다는 소소한 공통점도 있다. 1편 직후 배경이 되는 이슬라 누블라가 폐쇄되었고 뮤츠가 사는 던전이 포켓몬 리그에 도전할 수 있을 만큼 강한 트레이너에게만 입장이 허용되는 폐쇄된 블루시티동굴이라는 공통점이 이 가설에 힘을 실어준다.

3.2. 입수

파일:포켓몬스터 로고.svg 역대 2회차 최종 보스 일람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373a3c> 레드 · 그린 · 블루 · 피카츄
파이어레드 · 리프그린
· · 크리스탈
하트골드 · 소울실버
오메가루비 · 알파사파이어 에메랄드
뮤츠 레드 테오키스 성호
디아루가 · 펄기아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 · 샤이닝 펄
블랙 · 화이트 블랙 2 · 화이트 2 X · Y
히드런 노간주 / 난천 N / 아크로마 크세로시키
<rowcolor=#373a3c> · 울트라 · 울트라 레츠고! 피카츄 · 레츠고! 이브이 소드 · 실드
악식킹 비주기 레드 호브 메인 스토리
마스터드 갑옷의 외딴섬
버드렉스 왕관의 설원
<rowcolor=#373a3c> LEGENDS 아르세우스 스칼렛 · 바이올렛
월로 & 기라티나 카지 벽록의 가면
테라파고스 남청의 원반
복숭악동 수슈수슈 패닉
}}}}}}}}} ||


1세대에서는 사천왕과 챔피언을 쓰러뜨려야만 갈 수 있는 블루시티동굴 최심부에서 플레이어를 기다리고 있다. 레벨은 70. 1회차 클리어 직후의 플레이어의 포켓몬 레벨은 4~60대 정도라 뮤츠의 공격을 한방 버티기도 어렵다. 게다가 1세대에선 에스퍼의 약점을 노리기도 어렵고[17] 간신히 체력을 낮춰도 HP회복으로 되돌려버리니 수면기의 사용이 강제되는 것이나 다름없다. 마스터볼을 아껴두지 않았을 경우 정말로 진 최종보스의 위엄을 느낄 수 있다. 정상적인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는 레벨이 가장 높은데다가 챔피언을 쓰러뜨려야만 잡을 수 있기 때문에 유저들에게는 최종보스로 인식되었다. 다만 1세대에선 사양상 얼음에는 얄짤없이 당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얼려놓고 볼을 던지면 언젠가 잡힌다.

2세대에서는 블루시티 동굴 자체가 무너져서 없어졌기 때문에 잡을 수 없다. 이렇게 설정한 이유는 용량 탓일 가능성이 크다. 그 부족한 카트리지 용량에 관동과 성도를 다 집어넣어야 했기 때문. 타임캡슐로 옮기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다. 다만 동굴이 있던 자리 부근을 다우징으로 뒤적거리면 '파괴의 유전자'를 얻을 수 있다. 혼란에 걸리는 대신 공격력이 크게 오르는 효과. 정황상 뮤츠의 유전자인 듯.[18]

3세대에서는 1세대의 리메이크인 파이어레드/리프그린 버전에서 역시 1세대와 같은 방법으로 포획 가능. 단 동굴 앞을 지키는 사람이 비켜서는 건, 먼저 포켓몬 리그를 한 번 클리어 하고 일곱섬 스토리를 클리어 한 후다. 그 전까지는 리그에서 인정받은 강한 자만이 출입할 수 있다며 막아선다. 하지만 굳이 2차 리그까지 이기고 나서 잡을 필요는 없고, 일곱섬 스토리를 클리어하기만 해도 동굴을 가로막는 이가 사라진다. 기술 배치는 HP회복/ 스피드스타/ 사이코키네시스/ 신비의부적. 신비의부적 때문에 수면은 거의 먹히지 않으니, 선턴을 잡자마자 미리 마비를 걸어두어야 편하다. 마비를 걸어도 HP회복으로 피통을 마구 채워대기 때문에 정말 곤란하다.

4세대에서는 2세대의 리메이크인 하트골드/소울실버 버전에서 본래 2세대와 달리 블루시티동굴이 부활해서[19] 관동 지방의 모든 체육관 배지를 모으면 진입이 가능하여 잡을 수 있게 됐다. 입수 레벨은 70이지만 공격기 1개에 변화기 3개라는 막장 기술배치를 자랑하며, 이 공격기도 에스퍼 타입인 사이코커터라 악 타입을 데려오면 바보가 된다. 일단 잡고나면 사이코키네시스를 71에 자력으로 배우고 기술머신으로 냉동빔/ 섀도볼/ 기합구슬까지 배울 수 있어서 혼자서 카렌을 제외하면 리그를 다 쓸어버릴 수 있다.[20] 레드전에서도 마찬가지로 깡패 특공으로 기합구슬, 사이코키네시스로 충분히 활약 가능하다.

5세대에서는 레벨 70짜리 뮤츠가 왕의징표석을 들고 2011년 9월 26일부터 10월 31일까지 일본에서 WiFi로 배포되었다. 2012년 3월 15일부터 5월 10일까지 우리나라에서도 WiFi를 통해 배포되었다. 문제는 특전기가 고작 일렉트릭볼.

그리고 극장판 16기 전매권 특전으로서 일본 한정으로 다시 배포. 숨겨진 특성인 긴장감을 지니고 있고, 겁쟁이 성격에 특수공격과 스피드 개체값이 무조건 V. 게다가 특전기로 폭풍 치유파동을 배운 역대 배포 포켓몬 중 최강급 스펙이다. 아무 생각 없이 뽑아도 치유파동을 빼면 즉시 실전 투입이 가능하며, 비팟에서도 쓸 수 있는 강력한 부가무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실전 범용성이 좋아진 셈이다.

6세대에서는 4세대 이후 오랜만에 자체 포획이 가능해졌다. XY에 나온 많은 초대작 오마쥬 중 하나이기도 한 전당등록 후 방문 가능한 " 이름없는 동굴"에서 70짜리 뮤츠를 포획할 수 있다. 기배가 HP회복/ 사이코키네시스/ 배리어/ 파동탄이라 매우 강력하다. 에스퍼와 격투를 무효화하는 깜까미 화강돌을 꺼내놓으면 아무 것도 못 하는 바보가 되므로 상당히 쉬워지며, 포획조 멤버로 이 녀석과 원하는 성격의 싱크로 포켓몬 하나만 선두에 세워 준비하면 된다. 포획 또는 승리 후 뮤츠나이트X 또는 Y를 버전에 맞게 떨군다.[21] 이 점 때문에 한국에서는 16기 극장판 선물예매권 특전 포켓몬이 님피아로 바뀌었다. 어차피 6세대 뮤츠는 1/5 확률로 CS V를 보장받기에 특전기를 빼면 배포의 의미가 사라지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님피아는 특전기가 없다.

한/일 공통으로 색이 다른 뮤츠를 배포했다. 일본의 경우 포켓몬스크랩 특전으로, 한국의 경우는 포켓몬 월드 챔피언십 한국대회 특전으로 배포 했다.

7세대 울트라썬문에서 솔가레오/루나아라를 타고 차원을 넘어 녹색 울트라 홀에서 포획이 가능하다. 레벨은 60에 배우고 있는 기술은 사이코키네시스 / 사이코커터 / HP회복 / 스피드스타로, 묘하게 The Origin에서 나왔던 야생 뮤츠의 기배를 연상케 한다. HP회복을 가지고 있으므로 플러스파워 등으로 칼등치기로 바로바로 뮤츠의 HP를 1로 만들어 줄 여력을 갖춰야 한다.

포켓몬 레츠고에선 1/3세대 사양 그대로 블루시티동굴로 돌아갔다. 잡은 후 던전을 나갔다 돌아와서 스포일러와 싸워 이겨야 뮤츠의 메가스톤을 둘 다 받는다. 특이점으로 본 게임에서 유일하게 1마리만 잡을 수 있다 (전설의 3새는 처음 잡으면 그 이후로 레어 스폰으로 상공에서 출현한다).

그리고 뮤츠의 역습 에볼루션 예매표를 구매하면 극장에서 나눠주는 시리얼 코드로 배포된다.

8세대에서는 가라르도감에 없지만, 포켓몬 홈으로 이전 세대에서 끌어올 수 있다. 2020 포켓몬데이 기념 이벤트로 맥스 레이드배틀에서 뮤츠가 등장하지만 포획은 불가능했다.[22] 강력한 기술들을 폭풍처럼 쏟아내고, 랭크업을 통해 화력을 더욱 끌어올리기 때문에 쓰러트리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나쁜음모/벌크업으로 랭크업을 허용하면 바로 게임이 터질 정도. 대신 쓰러트릴 수만 있다면 많은 경험사탕과 특성캡슐, 은왕관, 포인트업/포인트맥스 등 레어 아이템들을 드랍했다.[23]

이후 2차 DLC 왕관의 설원이 해금되면서 다이맥스 어드벤처에서 포획이 가능하다. 약점인 악, 고스트, 벌레타입을 역저격하는 기술은 없지만 기술 봉쇄기인 사슬묶기와 광역기인 눈보라를 배우고 있고, 기본 스펙이 원체 강력한 만큼 공략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포켓몬스터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샤이닝 펄에서는 해당화파크에 있는 유전자의 방에서 유전자의석판을 끼울 시 이상한 공간에서 조우할 수 있다. 레벨은 70이며 특성은 숨겨진 특성인 긴장감으로 고정된다. 기술배치는 파워스왑/가드스왑/흰안개/사이코키네시스로 공격 기술이 사이코키네시스 하나뿐이기 때문에 악타입 포켓몬을 선두에 놓으면 안심하고 포획 작업을 할 수 있다.

9세대에서는 테라 레이드배틀을 통해 기간한정으로 입수 가능하다. 아래 항목 참고.

3.2.1. 최강의 뮤츠

2023년 9월 1일[24] ~ 9월 18일까지 테라 레이드배틀로 최강의 뮤츠가 등장한다. 테라스탈 타입은 에스퍼.[25]

기술은 사이코브레이크/ 파동탄/ 냉동빔/ 명상이며, 추가 기술로 잠자기를 사용한다. 지닌 도구는 유루열매이며 노력치는 방어에 252, 특수공격에 6, 특수방어에 252가 들어가 있다. 개막 시 우리 편의 뮤가 전부 스탯 버프를 받고, 이후 뮤츠가 명상을 사용한 후 체력의 50% 가량을 덮는 실드를 전개하며, 실드가 깨지면 다음 턴에 잠자기를 사용해 HP를 전량[26] 회복하고 유루열매를 먹어 바로 잠에서 깬다. 열매는 그냥 덤이므로 열매를 해체한다는 전략은 의미가 없다. 공격 패턴은 특방 기준으로 2~3명상 정도 상태를 유지하면서, 방어가 낮으면 사이코브레이크, 특방이 낮으면 상성에 따라 냉동빔과 파동탄을 날리는 식이다.

최강의 뮤츠 레이드에서 뮤로 도전하면 HP가 50%, 다른 능력치가 20% 증가하며, 승리하면 뮤도 최강의 증표를 받게 된다.

솔플로도 충분히 클리어가 가능했던 지금까지의 최강 시리즈와는 달리, 이번 레이드에서는 한동안 솔플이 불가능하다고 여겨졌을 정도로 난이도가 매우 높다. 우선 뮤츠의 일반 기술폭에는 명상이 들어가 있는데, 뮤츠가 다른 플레이어의 턴에도 명상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1턴만에 랭크업이 비정상적으로 많이 쌓일 수 있다.[27] 4뮤 파티에서도 최소 2서포트를 운영해야 명상 버프를 상쇄할 수 있는데, 혼자서는 적의 특공을 까고 이쪽의 공격까지 올릴 틈이 없다. 또한 최강의 피카츄처럼 개막 배리어를 쓰기에 AI 서포터가 공기가 되어버리며, 뮤츠는 완전히 특수형이라 위협 시리즈도 아무 의미가 없다. 뮤의 랭크업을 무시하기 위해 천진 특성 포켓몬을 사용한다 해도 대부분 뮤츠의 자체 화력에 쓰러지기 쉽고, 이에 맞서 랭크업할 수단이 있는 경우는 그렇게 많지 않다.

시간이 지나면서 혹은 라우드본을 이용한 솔플 클리어 사례가 나온 후 재현에 성공한 사례도 늘어나며 정말 운이 따라준다면 시간이 다 떨어지기 전에 솔플로 가능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다만 이 방식이 기본적인 조건부터가 운에 기대는데다 조건이 만족되어도 운에 기대는 요소가 많아 효율성이 좋지 않은 편이기에 다수의 유저들이 참고할 만한 공략으로서의 가치는 없는 것에 가깝다. 다만, 투텐도를 사용할 경우라면 이야기가 다른데, 고스트 테라스탈으로 세팅한 어태커용 흑마 버드렉스와 서포터용 뮤를 이용한 확정 일격 공략이 발견되었다. 준비에만 시간이 반 이상 소비되기는 하는데, 준비를 마친 뒤에는 거의 풀피 상태의 배리어를 일격에 철거하고 쓰러트리는 깡화력을 낼 수 있는 정신나간 딜을 낼 수 있다. # 하지만 이 방법 역시 마찬가지로 운짤이 동반되는 방법이고, 준비를 이렇게까지 했음에도 그냥 뮤를 통한 정공법으로 클리어하는 것과 시간차이도 많이 안나기에 한 방에 클리어하는 쾌감을 보기 위한 용도일 뿐 실용적인 방법까지는 아니다.

서포터 뮤 운용 시 추천 기술은 빛의장막[28], 생명의물방울[29], 철벽[30], 벌레의저항[31], 애시드봄[32], 진흙뿌리기, 미스트필드[33], 꽃가루경단[34] 이며, 추천 테라스탈타입은 벌레/에스퍼/고스트타입[35]. 추천 도구는 빛의점토 또는 그라운드코트 또는 은밀망토.

어태커 뮤 운용 시 추천 기술은 흡혈과 칼춤이며, 추천 테라스탈 타입은 벌레타입. 흡혈은 뮤츠에게 효과가 굉장하면서 물리 기술이라 뮤츠가 쌓는 명상에 딜이 줄어들지 않으며, 뮤의 체력도 회복해 주기 때문에 이번 레이드에서 사용하기 매우 좋다. 물론 어태커라도 생존력을 높이기 위해 서포터 뮤가 쓰는 벌레의저항이나 생명의물방을이나 미스트필드, 아니면 흡혈의 PP가 부족해질 것을 대비해서 시저크로스, 덤벼들기 등을 추가로 채용하는 것이 좋다. 추천 도구는 메트로놈 또는 조개껍질방울.

뮤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일반 포켓몬 중에서는 딜러로 뮤츠의 주력기들을 반감/무효로 받고, 나쁜음모로 랭업을 할 수 있는 타부자고나 플레이트 아르세우스가, 서포터로는 냉동빔만 평타로 받고 다른 두 기술은 반감으로 받는 우렁찬꼬리 크레세리아 정도가 그나마 쓸 만하고 사이코브레이크를 무효로 받고 비자속이라서 상대적으로 약한 파동탄/냉동빔을 받아주면서도 서포팅을 잘해줄 수 있는 오롱털도 괜찮은 선택지다.[36] 물론 뮤를 사용하는 것이 훨씬 안정적이고 쉽기 때문에 뮤로 깨는 것이 더욱 편하다는 것은 변함이 없다.[37][38]

이번 뮤츠 레이드는 뮤츠 VS 뮤 컨셉이기 때문에, 뮤를 무료 배포하여 뮤츠 레이드가 끝나기 전에 이미 공개된 시리얼 코드만 입력하면 뮤를 공짜로 얻을 수 있다. 다른 뮤가 없다고 이번 레이드에서 못 쓰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뮤 없이 뮤츠 레이드를 하려는 컨텐츠를 하는게 아닌 이상은 굳이 힘들게 다른 포켓몬을 쓸 이유는 더더욱 없다. 노력치, 성격 보정 딱히 없어도 뮤로 서포팅을 잘 해주는 것만으로도 안정적으로 클리어 할 수 있다. 굳이 수집용으로 이번 뮤를 남겨두고 싶다면 리셋노가다로 몇 마리 포켓몬 홈에 박아두는 방법을 사용하면 된다.[39]

3.3. 테마곡

<rowcolor=#fff> 전투! 뮤츠
(파이어레드·리프그린)
작곡가 편곡가
마스다 준이치 이치노세 고
<rowcolor=#fff> 전투! 프리져/썬더/파이어/뮤츠
(X·Y)
작곡가 편곡가
마스다 준이치 카게야마 쇼타
<rowcolor=#fff> 전투! 전설의 포켓몬
(레츠고! 피카츄·레츠고! 이브이)
작곡가 편곡가
마스다 준이치 카게야마 쇼타
<rowcolor=#fff> 전투! 초전설 포켓몬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샤이닝 펄)
작곡가 편곡가
카게야마 쇼타 카게야마 쇼타

1세대 시절에는 모든 야생 포켓몬이 BGM을 공유했고, 그 때문에 뮤츠와의 전투에서는 이후 작품에서도 1세대 야생 포켓몬 전투 브금이 계속 쓰이게 된다. 다만 추가 리믹스가 된다거나 하면서 점점 이 1세대 야생 포켓몬 전투 BGM이 뮤츠의 전투 테마처럼 굳어져 가는 상황.

파이어레드·리프그린의 테마곡은 야생 포켓몬 전투 BGM에서 한 피치 높였다. 겉보기엔 파이어, 썬더, 프리져 전투 BGM과 비슷해보이지만, 저 세 마리와 달리 인공포켓몬이자 에스퍼 타입답게 사이키델릭한 멜로디가 추가되어 있다.

X·Y의 테마곡은 1세대 야생 포켓몬 전투 BGM을 리믹스했으며, 파이어, 썬더, 프리져와 전투 BGM을 공유한다. 다만 특유의 사이키델릭한 멜로디가 더 강해져서 팬들은 대체로 뮤츠 테마곡이라 부른다.

US/UM에서는 X/Y에서 쓰던 BGM을 쓴다.

레츠고에선 멋지게 리믹스된 오리지널 1세대 BGM을 모든 심볼 인카운터 포켓몬들( 잠만보와 전설의 3새)과 공유한다.

4. 대전 및 작중 행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뮤츠/작중 행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기타

  • 원본인 뮤가 40cm에 4kg밖에 안 되는 아담한 포켓몬인데 비해 뮤츠는 신장 2m에 체중이 122kg에 이를 정도로 덩치가 상당히 큰 편이다. 이는 뮤츠가 뮤의 단순한 복제품이 아니라 뮤를 베이스로 만든 합성체임을 시사한다.
  • 모든 포켓몬들 중에서 유일하게 생일이 존재한다. 포켓몬저택의 일기장에 2월 6일에 뮤츠가 태어났다고 적혀있기 때문. 그 때문에 특정 포켓몬의 날을 보통 고로아와세로 정하는 일본에서도 3월 2일이 아닌 2월 6일에 뮤츠의 날을 태그하며 팬아트를 올린다.
  • 포켓파를레를 해 보면 도감 설명대로 기분이 좋아도 시크하게 고개만 끄덕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싫어하는 부분은 머리로 뮤와 정반대. 계속 머리를 쓰다듬으면 험악한 눈으로 내려보며, 때리거나 먹이를 던지면 주먹을 쥐며 노려본다.
  • SV부터 수면 모션이 바뀌었는데, 8세대까진 그냥 땅에 선 채로 잠에 들었다면 9세대에선 뮤처럼 공중부양을 한 채로 잔다. 포켓몬센터 시부야점에 있는 뮤츠의 조형물과 자세가 똑같은 걸 보면 여기에 영향을 받은 듯하다. 사실 뮤츠의 역습에서도 비슷한 자세로 자고 있는 걸 볼 수 있다.
  • 당연하다면 당연한 사실이지만 인게임에 나오는 뮤츠의 울음소리는 뮤~다.
  • 마스터볼이 뮤츠와 색배열이 비슷하고 뮤츠의 두문자인 M이 새겨져 있어서 뮤츠의 볼로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다. 공식에서도 알고 있는지 뮤츠와 마스터볼이 세트인 인형 굿즈를 내기도 했으며, 레츠고에는 뮤츠에게 마스터볼을 사용하면 뮤츠가 손으로 튕겨내는 이벤트도 넣어놨다.
  • 세대가 지날수록 파워 인플레로 인해 최강의 포켓몬이라는 타이틀을 빼앗겼지만, 최초의 초전설 포켓몬이라는 상징성을 가지고 있는 만큼 온갖 매체에서 최강의 포켓몬다운 대우를 해준다. 1세대를 기반으로 한 수많은 애니메이션이나 게임에 뮤츠 또한 최종보스로 나와 그 강력함을 여실히 보여주며, 영화 명탐정 피카츄에서도 가장 강력한 포켓몬이라고 언급된다. 특히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의 첫 극장판인 뮤츠의 역습에서의 뮤츠는 충격 그 자체로, 포켓몬을 라이트하게 파는 사람들이 뮤츠를 현재까지도 최강의 포켓몬으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본가에서도 테라 레이드배틀에 초전설 포켓몬 최초로 나왔고, 그동안 솔플이 가능했던 여타 최강의 포켓몬들과는 다르게 흉악한 난이도를 자랑하여 한동안 솔플이 불가능하다고 여겨지기도 했다.
  • 인공 포켓몬이라는 설정상 어쩌다가 메가진화가 생겼는지는 의문인데,[40] 공식 매체에서는 '뮤츠의 진정한 힘'으로 묘사하며, 애니메이션이나 포켓몬 유나이트나 메가스톤도 키스톤도 트레이너도 없이 자력으로 메가진화하는 모습을 보인다. 즉, 뮤츠는 메가진화의 기원인 레쿠쟈와도 달리 스스로의 힘을 메가스톤, 키스톤, 트레이너와의 유대 중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도 끌어내 스스로 메가진화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레쿠쟈는 운석을 먹고 사람들의 기도를 받아 메가진화하기 때문. 그래서인지 레츠고 시리즈에서의 도감에서도 썬문 이후 메가진화 포켓몬의 도감에서 자주 언급된 메가진화 시 발생하는 에너지로 보이는 '메가진화 에너지'가 전혀 언급되지 않고, 대신 사이코 파워가 언급된다.
  • 우렁찬꼬리의 꼬리로 일컬어지는 긴 머리카락이 메가뮤츠Y의 머리 뒷 기관을 연상시킨다는 반응도 존재하는데, 메가진화가 유전자의 힘을 깨우는 것이며 뮤츠는 포켓몬의 유전자를 합성해 만든 키메라 포켓몬인 것을 고려하면 정말 우렁찬꼬리의 영향일 가능성도 존재한다. 마침 타입도 에스퍼다.
  • 2차 창작에서는 주로 뮤와 엮이는 모습이 많다. 간간히 16기에서 엮였던 게노세크트와도 같이 등장한다. 메가뮤츠X, Y는 외형상 X는 남성적이고 Y는 여성적이다 보니 X는 1기 개체로 등장하고 Y는 16기 개체로 주로 등장한다. 외형이 킬러 퀸 프리저와 닮은 탓에 같이 등장하는 팬아트도 많다.
  • 9세대에선 모델링이 많이 바뀌었다. 눈동자가 구 모델링에 비해 축소되었고, 리자몽보다는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인상이 샤프해졌다.[모델링] 등장 이후 모습 또한 기존의 땅에 앞발을 딛고 서 있는 모습에서 하나가 추가되었는데, 땅에서 발을 떼고 부유하고 있는 스탠딩 모션이 추가되었다. 볼에서 뮤츠를 꺼냈을 때 랜덤으로 볼 수 있다.

2020 POTY 총선거
TOP 30 (관동 부문)
1위
리자몽
2위
팬텀
3위
이상해씨
4위
피카츄
5위
이브이
6위
망나뇽
7위
8위
뮤츠
9위
윈디
10위
라프라스
11위
잠만보
12위
나인테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30위까지의 목록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3위
꼬부기
14위
거북왕
15위
샤미드
16위
질뻐기
17위
파이리
18위
메타몽
19위
야돈
20위
니드킹
21위
폴리곤
22위
식스테일
23위
고라파덕
24위
라이츄
25위
쁘사이저
26위
쥬피썬더
27위
신뇽
28위
이상해꽃
29위
프리져
30위
코일
}}}}}}}}} ||
  • 2020 POTY 총선거 관동 부문에서 8위를 기록했다.

파일:관동지방 인기투표.png
  • 메가뮤츠Y가 2021년 국내 관동 포켓몬 선거에서 6위를 기록하며 뮤츠의 인기는 건재하다는 것을 증명했다.

6. 삽화

레드·그린·블루·피카츄
파일:474px-150Mewtwo_RB.png 파일:441px-150Mewtwo_RG.png
뮤츠

7. 둘러보기

파일:에스퍼 타입.svg 에스퍼 타입 포켓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세대
[[라이츄|파일:icon0026_f01_s0.png
라이츄
]]
[[후딘|파일:icon0065_f00_s0.png
후딘
]]
[[날쌩마|파일:icon0078_f01_s0.png
날쌩마
]]
[[야도란|파일:icon0080_f00_s0.png 파일:icon0080_f02_s0.png
야도란
]]
[[슬리퍼(포켓몬스터)|파일:icon0097_f00_s0.png
슬리퍼
]]
[[나시|파일:icon0103_f00_s0.png
나시
]]
[[아쿠스타|파일:icon0121_f00_s0.png
아쿠스타
]]
[[마임맨|파일:icon0122_f00_s0.png
마임맨
]]
[[루주라|파일:icon0124_f00_s0.png
루주라
]]
[[프리져|파일:icon0144_f01_s0.png
프리져
]]
[[뮤츠|파일:icon0150_f00_s0.png
뮤츠
]]
[[뮤(포켓몬스터)|파일:icon0151_f00_s0.png
]]
2세대
[[네이티오|파일:icon0178_f00_s0.png
네이티오
]]
[[에브이|파일:icon0196_f00_s0.png
에브이
]]
[[야도킹|파일:icon0199_f00_s0.png 파일:icon0199_f01_s0.png
야도킹
]]
[[안농|파일:icon0201_f05_s0.png
안농
]]
[[마자용|파일:icon0202_f00_s0.png
마자용
]]
[[키링키|파일:icon0203_f00_s0.png
키링키
]]
[[루기아|파일:icon0249_f00_s0.png
루기아
]]
[[세레비|파일:icon0251_f00_s0.png
세레비
]]
3세대
[[가디안|파일:icon0282_f00_s0.png
가디안
]]
[[요가램|파일:icon0308_f00_s0.png
요가램
]]
[[피그킹|파일:icon0326_f00_s0.png
피그킹
]]
[[루나톤|파일:icon0337_f00_s0.png
루나톤
]]
[[솔록|파일:icon0338_f00_s0.png
솔록
]]
[[점토도리|파일:icon0344_f00_s0.png
점토도리
]]
[[치렁|파일:icon0358_f00_s0.png
치렁
]]
[[메타그로스|파일:icon0376_f00_s0.png
메타그로스
]]
[[라티아스|파일:icon0380_f00_s0.png
라티아스
]]
[[라티오스|파일:icon0381_f00_s0.png
라티오스
]]
[[지라치|파일:icon0385_f00_s0.png
지라치
]]
[[테오키스|파일:icon0386_f00_s0.png
테오키스
]]
4세대
[[동탁군|파일:icon0437_f00_s0.png
동탁군
]]
[[엘레이드|파일:icon0475_f00_s0.png
엘레이드
]]
[[유크시|파일:icon0480_f00_s0.png
유크시
]]
[[엠라이트|파일:icon0481_f00_s0.png
엠라이트
]]
[[아그놈|파일:icon0482_f00_s0.png
아그놈
]]
[[크레세리아|파일:icon0488_f00_s0.png
크레세리아
]]
[[아르세우스|파일:icon0493_f13_s0.png
아르세우스
]]
5세대
[[비크티니|파일:icon0494_f00_s0.png
비크티니
]]
[[몽얌나|파일:icon0518_f00_s0.png
몽얌나
]]
[[맘박쥐|파일:icon0528_f00_s0.png
맘박쥐
]]
[[불비달마|파일:icon0555_f02_s0.png
불비달마
]]
[[심보러|파일:icon0561_f00_s0.png
심보러
]]
[[고디모아젤|파일:icon0576_f00_s0.png
고디모아젤
]]
[[란쿨루스|파일:icon0579_f00_s0.png
란쿨루스
]]
[[벰크|파일:icon0606_f00_s0.png
벰크
]]
[[워글|파일:icon0628_f01_s0.png
워글
]]
[[메로엣타|파일:icon0648_f00_s0.png
메로엣타
]]
6세대
[[마폭시|파일:icon0655_f00_s0.png
마폭시
]]
[[냐오닉스|파일:icon0678_f00_s0.png
냐오닉스
]]
[[칼라마네로|파일:icon0687_f00_s0.png
칼라마네로
]]
[[후파|파일:icon0720_f00_s0.png
후파
]]
7세대
[[춤추새|파일:icon0741_f02_s0.png
춤추새
]]
[[하랑우탄|파일:icon0765_f00_s0.png
하랑우탄
]]
[[실버디|파일:icon0773_f00_s0.png
실버디
]]
[[치갈기|파일:icon0779_f00_s0.png
치갈기
]]
[[카푸나비나|파일:icon0786_f00_s0.png
카푸나비나
]]
[[솔가레오|파일:icon0791_f00_s0.png
솔가레오
]]
[[루나아라|파일:icon0792_f00_s0.png
루나아라
]]
[[네크로즈마|파일:icon0800_f00_s0.png
네크로즈마
]]
8세대
[[이올브|파일:icon0826_f00_s0.png
이올브
]]
[[브리무음|파일:icon0858_f00_s0.png
브리무음
]]
[[마임꽁꽁|파일:icon0866_f00_s0.png
마임꽁꽁
]]
[[에써르|파일:icon0876_f00_s0.png
에써르
]]
[[버드렉스|파일:icon0898_f00_s0.png
버드렉스
]]
[[신비록|파일:icon0899_f00_s0.png
신비록
]]
9세대
[[카디나르마|파일:icon0936_f00_s0.png
카디나르마
]]
[[베라카스|파일:icon0954_f00_s0.png
베라카스
]]
[[클레스퍼트라|파일:icon0956_f00_s0.png
클레스퍼트라
]]
[[가비루사|파일:icon0976_f00_s0.png
가비루사
]]
[[키키링|파일:icon0981_f00_s0.png
키키링
]]
[[우렁찬꼬리|파일:icon0985_f00_s0.png
우렁찬꼬리
]]
[[무쇠잎새|파일:icon1010_f00_s0.png
무쇠잎새
]]
[[이야후|파일:icon1015_f00_s0.png
이야후
]]
[[무쇠암석|파일:icon1022_f00_s0.png
무쇠암석
]]
[[무쇠감투|파일:icon1023_f00_s0.png
무쇠감투
]]
세대별 최종 진화형 기준 서술
(진화하며 타입이 없어지는 경우는 제외)
}}}}}}}}}

파일:격투 타입.svg 격투 타입 포켓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세대
[[성원숭|파일:icon0057_f00_s0.png
성원숭
]]
[[강챙이|파일:icon0062_f00_s0.png
강챙이
]]
[[괴력몬|파일:icon0068_f00_s0.png
괴력몬
]]
[[시라소몬|파일:icon0106_f00_s0.png
시라소몬
]]
[[홍수몬|파일:icon0107_f00_s0.png
홍수몬
]]
[[켄타로스|파일:icon0128_f01_s0.png
켄타로스
]]
[[썬더(포켓몬스터)|파일:icon0145_f01_s0.png
썬더
]]
[[뮤츠|파일:icon0150_f01_s0.png
메가뮤츠X
]]
2세대
[[헤라크로스|파일:icon0214_f00_s0.png
헤라크로스
]]
[[카포에라(포켓몬스터)|파일:icon0237_f00_s0.png
카포에라
]]
3세대
[[번치코|파일:icon0257_f00_s0.png
번치코
]]
[[버섯모|파일:icon0286_f00_s0.png
버섯모
]]
[[하리뭉|파일:icon0297_f00_s0.png
하리뭉
]]
[[요가램|파일:icon0308_f00_s0.png
요가램
]]
4세대
[[초염몽|파일:icon0392_f00_s0.png
초염몽
]]
[[이어롭|파일:icon0428_f01_s0.png
메가이어롭
]]
[[루카리오|파일:icon0448_f00_s0.png
루카리오
]]
[[독개굴|파일:icon0454_f00_s0.png
독개굴
]]
[[엘레이드|파일:icon0475_f00_s0.png
엘레이드
]]
[[아르세우스|파일:icon0493_f01_s0.png
아르세우스
]]
5세대
[[염무왕|파일:icon0500_f00_s0.png
염무왕
]]
[[노보청|파일:icon0534_f00_s0.png
노보청
]]
[[던지미|파일:icon0538_f00_s0.png
던지미
]]
[[타격귀|파일:icon0539_f00_s0.png
타격귀
]]
[[드레디어|파일:icon0549_f01_s0.png
드레디어
]]
[[곤율거니|파일:icon0560_f00_s0.png
곤율거니
]]
[[비조도|파일:icon0620_f00_s0.png
비조도
]]
[[코바르온|파일:icon0638_f00_s0.png
코바르온
]]
[[테라키온|파일:icon0639_f00_s0.png
테라키온
]]
[[비리디온|파일:icon0640_f00_s0.png
비리디온
]]
[[케르디오|파일:icon0647_f00_s0.png
케르디오
]]
[[메로엣타|파일:icon0648_f01_s0.png
메로엣타
]]
6세대
[[브리가론|파일:icon0652_f00_s0.png
브리가론
]]
[[부란다|파일:icon0675_f00_s0.png
부란다
]]
[[루차불|파일:icon0701_f00_s0.png
루차불
]]
7세대
[[모크나이퍼|파일:icon0724_f01_s0.png
모크나이퍼
]]
[[모단단게|파일:icon0740_f00_s0.png
모단단게
]]
[[이븐곰|파일:icon0760_f00_s0.png
이븐곰
]]
[[내던숭이|파일:icon0766_f00_s0.png
내던숭이
]]
[[실버디|파일:icon0773_f00_s0.png
실버디
]]
[[짜랑고우거|파일:icon0784_f00_s0.png
짜랑고우거
]]
[[매시붕|파일:icon0794_f00_s0.png
매시붕
]]
[[페로코체|파일:icon0795_f00_s0.png
페로코체
]]
[[마샤도|파일:icon0802_f00_s0.png
마샤도
]]
8세대
[[케오퍼스|파일:icon0853_f00_s0.png
케오퍼스
]]
[[창파나이트|파일:icon0865_f00_s0.png
창파나이트
]]
[[대여르|파일:icon0870_f00_s0.png
대여르
]]
[[자마젠타|파일:icon0889_f00_s0.png
자마젠타
]]
[[우라오스|파일:icon0892_f00_s0.png
우라오스
]]
[[포푸니크|파일:icon0903_f00_s0.png
포푸니크
]]
9세대
[[웨이니발|파일:icon0914_f00_s0.png
웨이니발
]]
[[빠르모트|파일:icon0923_f00_s0.png
빠르모트
]]
[[꼬이밍고|파일:icon0973_f00_s0.png
꼬이밍고
]]
[[저승갓숭|파일:icon0979_f00_s0.png
저승갓숭
]]
[[위대한엄니|파일:icon0984_f00_s0.png
위대한엄니
]]
[[땅을기는날개|파일:icon0988_f00_s0.png
땅을기는날게
]]
[[무쇠손|파일:icon0992_f00_s0.png
무쇠손
]]
[[무쇠무인|파일:icon1006_f00_s0.png
무쇠무인
]]
[[코라이돈|파일:icon1007_f00_s0.png
코라이돈
]]
[[조타구|파일:icon1014_f00_s0.png
조타구
]]
세대별 최종 진화형 기준 서술
(진화하며 타입이 없어지는 경우는 제외)
}}}}}}}}}

파일:포켓몬스터 로고.svg 세대별 인공 포켓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세대 2세대 3세대
파일:icon0137_f00_s0.png
폴리곤
파일:icon0150_f00_s0.png
뮤츠
파일:icon0233_f00_s0.png
폴리곤2
파일:icon0351_f00_s0.png
캐스퐁
4세대 5세대 7세대
파일:icon0474_f00_s0.png
폴리곤Z
파일:icon0623_f00_s0.png
골루그
파일:icon0773_f00_s0.png
실버디
파일:icon0801_f00_s0.png
마기아나
세대별 최종 진화형 기준 서술
}}}}}}}}} ||

8. 관련 문서



[1] 8세대까지는 유전 포켓몬 [2] 금은 정발판에서는 "쓰러트릴 생각밖에 하지 않는다."로 순화되었다. [3] 포켓몬스터 파이어레드/리프그린에선 이 과학자가 보라타운 등나무노인임을 짐작케 하는 복선이 많이 나왔다. [4] 1세대 도감에서는 현실 지명과 생물 이름이 나왔다. 뮤 외엔 인도코끼리가 언급되는 라이츄 등이 있다. 그 당시에는 포켓몬스터가 이렇게까지 거대한 프랜차이즈가 될 것이라는 기대 예측이 없었기 때문이다. 즉, 지금에 와선 의미 없는 엉터리 도감 설명과 배경인 것이다. 애시당초 뮤의 경우 원래 정상적인 상황이라면 알려지지 않았을 포켓몬이었다. 후에 나온 레츠고에서는 그저 먼 곳이라고만 언급. [5] 레츠고 북미판에서는 이 부분의 설명이 바뀌어서 단순히 뮤에게서 새로운 포켓몬을 얻었다고 나온다. 정황상 뮤의 유전자를 얻어서 그걸 이리저리 조작하다가 그 결과 새로운 포켓몬이 나왔고 그걸 뮤츠라고 이름붙힌 것을 가리키는 것일 가능성이 높다. 초기 설정을 감추기 위해 설명을 바꾼 듯. [6] 애니에서도 뮤츠가 만들어진 곳은 이름을 알 수 없는 한 연구소다. 뮤츠가 연구소를 파괴한 직후 비주기가 나타났기에 로켓단 산하일지도 모르나 확실하게 밝혀진 바는 없다. 신 극장판에서는 이 연구소장에 대한 설명이 좀 추가되어서 죽은 딸을 되살리는 연구의 일환이였다는 식으로 서술된다. [7] 재더빙판에는 이 내용이 들어가 있다. [8] 후딘은 몸의 장식이 대거 사라지고 꼬리마저 퇴화해서 숟가락이 하나 더 있다는 점을 빼면 여러모로 열화판 같다는 착각을 들게 하며 붐볼은 얼굴이 찌리리공에 비해 덜 위협적이어서 오히려 친근하다는 인상을 준다. [9] 덧붙여 삭제된 1세대 색인 목록의 포켓몬부우라는 예티를 닮은 종이 있었는데 이쪽도 루주라와 마찬가지로 미스터 포포의 얼굴을 매우 닮았다. [10] 웅이의 초안으로 추정된다. [11] 쥐같은 설치류로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12] 마침 장음 표기 하나만 차이나는 이름이 똑같은 캐릭터도 1세대부터 있었고 이쪽도 8세대 리전폼을 얻으면서 보라색의 에스퍼 포켓몬이 되었다. [13] 파레리그에서 이 연구소의 소장이라는 등나무박사의 초상화가 등장한다. 보이스체커에서 등나무노인 항목에 이 정보가 저장되기에 동일인물임을 알 수 있다. 극장판의 설정이 역수입 된 듯. [14] 시리즈가 진행됨에 따라 모든 포켓몬의 선조일 수도 있다는 설정도 나왔다. [15] 포켓몬 저택에서 확인 가능한 메시지 중 뮤츠가 너무 강해서 자기 힘으로는 감당할 수 없다는 내용의 일기가 있다. 저택이 폐허가 된 것이 그 때문으로 보이나 정작 등나무노인은 보라타운에 멀쩡히 살아있기에 정확히 무슨 일이 있었는지는 전혀 알 수 없다. [16] 기반이 되는 생물의 유전자 정보가 온전치 못하여 양서류를 비롯한 온갗 현생 동물의 유전자로 공백을 매움. [17] 악 타입은 존재하지 않았고, 고스트는 버그 때문에 통하지 않았고, 벌레는 가장 안정적인 고위력 기술이 위력 25(*2)의 더블니들과 연속기인 바늘미사일 뿐이었다. [18] 실제로 데이터상 뮤츠의 야생 소지 아이템이 파괴의 유전자로 설정되어 있으며(소지확률은 100%), 2세대 에뮬레이터 치트로 뮤츠를 야생에서 등장하게 하면 전투 시작하자마자 뮤츠가 파괴의 유전자 효과로 혼란에 걸린다. [19] 지도 설명에 따르면, 예전에 무너졌지만 최근에 다시 뚫렸다고 한다. [20] 물론 카렌은 기합구슬 명중률 때문에 다른 포켓몬으로 상대하는 것이 좋다. 파동탄을 자력으로 배우긴 하지만 레벨 100까지 올려야 한다. [21] 3세대 리메이크작인 오메가루비 알파사파이어 에선 뮤츠를 직접 잡을수는 없지만, 뮤츠나이트X 또는 Y를 전부 입수가 가능하다. [22] 뮤츠의 포켓몬굴에 입장할 때 포획할 수 없다고 경고문이 뜨고, 쓰러트려도 포획 찬스 없이 사라져버린다. [23] 뮤츠 레이드에서 유용한 포켓몬이라면, 약점을 찔리지 않고 화력과 내구가 강한 루나아라, 새벽의 날개 네크로즈마가 있으며 그리고 짓궂은마음으로 도발, 전기자석파, 벽 설치 등 보조 역할이 훌륭한 오롱털이다. 반대로 다이번에 약점을 찔리는 자시안, 자마젠타, 자속 에스퍼에 약점을 찔리는 무한다이노 등은 기피 대상으로 꼽히며, 오히려 아무것도 못하고 쓰러질 확률이 높다. 마샤도는 뮤츠의 랭크업기를 뺏을수 있어서 유용하지만, 자속 에스퍼에 약점을 찔리므로 주의해야한다. [24] 날짜를 이 날로 잡은 이유는 포켓몬저택 일기장의 내용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25] 이벤트 테라 레이드배틀에서 처음으로 자속성 테라스탈로 등장한 최강의 포켓몬이다. [26] 말 그대로 레이드 포켓몬의 체력바가 끝까지 차올라 버린다. [27] 이러한 문제는 아머까오나 망나뇽처럼 랭업기가 일반 기술폭에 들어있는 다른 포켓몬을 상대로 싸울 때도 겪을 수 있다. [28] 사이코브레이크도 분류 자체는 특수기이기 때문에 리플렉터는 필요 없다. [29] 뮤는 현재 9세대에서 반피회복기를 배울 수 없다. 뮤가 회복대상일 경우 원래 체력의 25%만 채워줘서 총 회복량은 전체 체력의 1/6으로 줄어들어버리지만, 흡혈기를 빼면 회복기가 달랑 이거 하나라 아쉬운 대로 써야 한다. [30] 사이코브레이크의 대미지를 줄이기 위해서 쓴다. 참고로 사이코브레이크는 물리 대미지를 주는 특수 기술이기 때문에 공격 하락으로는 딜량을 줄일 수 없다. 하지만 방어를 너무 높이면 냉동빔으로 비교적 약한 특방을 찌르기 때문에 얼음 상태이상 위험이 높아지고, 방어를 높여봤자 연계할 기술이 죄다 반감이라 효율이 나쁘다. [31] 바크아웃도 특수공격을 확정적으로 1랭크 떨어뜨리나, 벌레의저항과 달리 빗나갈 확률이 있으므로 이번 레이드에서는 벌레의저항의 하위호환이다. [32] 특방 까기에 좋은 기술이지만 명상 때문에 특공 내리는 게 더 중요하고 딜러진도 물리가 주류라 쓰기 어렵다. 또한, 최강의 뮤츠가 특수방어가 6랭크가 아니면 다시 명상을 쌓기 때문에 특수한 경우가 아니라면 특수방어를 낮추는 것은 좋은 선택은 아니며, 오히려 뮤츠가 자신에게 걸린 디버프를 해제하는 타이밍을 앞당기므로 트롤 취급이니 주의해야 한다. [33] 실드를 부술 때 미스트필드가 있으면 뮤츠가 잠자기를 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일렉트릭필드를 써도 되지만, 뮤츠가 쓰는 냉동빔에 뮤가 운 나쁘게 얼어버릴 확률이 있으므로 얼음 상태이상까지 막는 미스트필드를 까는 게 더 좋다. [34] 당연히 딜하는 게 목적이 아니라 랭크리셋턴이나 급소에 맞아 빈사상태인 아군 케어용. 생명의물방울 회복량을 고려하면 한 명쯤은 갖고 있는 게 안전하다. [35] 순수 지구력만 고려한다면 에스퍼지만, 냉동빔 때문에 얼어버리느니 사이코브레이크를 몸으로 받는 게 더 나으면 벌레. [36] 빛의장막 미스트필드로 안정적인 서포팅이 가능하고, 소울크래시로 안정적인 공격+특공하락이 가능하다는 메리트가 있고, 남은 자리에 속임수 뽐내기로 보조해줄 수 있다. [37] 딜러진은 타부자고 외에 타점이 안정적인 포켓몬이 없지만, 특수형이기 때문에 명상에 막혀 딜이 박힐 생각을 않는다. 그런다고 얘 때문에 애시드봄 서포터가 붙으면 명상으로 올라가는 특공 억제가 안 되어 나머지 아군이 줄줄이 터진다. 그런다고 타부자고 자체 내구가 아주 훌륭한 수준도 아니고, 아무리 반감이래도 자속 2배 보정 사이코브레이크를 깡으로 받아낼 수는 없다. 홈 개방 후 초전설급으로 눈을 돌려봐도 1개 이상 반감에 약점을 찔리지 않는 자시안이나 마기아나는 공격 쪽 타점이 좋지 않고 회복기도 없으며, 나머지는 약점에 찔리거나 사이코브레이크를 반감으로 받지 못해 순식간에 쓰러진다. 그나마 아르세우스같은 경우 HP회복으로 뮤보다 안정적인 서포터로 굴릴 방법이 없진 않으나 물리형 흡혈기가 없으며, 체력 +50%/기타 +20% 실능치에 버프 받는 뮤보다는 스펙이 떨어지는 건 어쩔 수 없다. [38] 다음은 서포터 쪽 문제인데, 우렁찬꼬리와 크레세리아는 특공 확정 하락 기술이 없고, 약점이 냉동빔만 있는 화강돌은 회복기가 없고, 깜까미는 내구가 너무 낮기 때문에 스탯 뻥튀기로 인한 우월한 내구와 안정적인 특공 하락 기술, 딜링용 기술, 회복기, 그리고 각종 서포트 기술을 전부 보유한 뮤와는 비교하는 것 자체가 실례다. [39] 노력치는 초기화 가능하지만, 이미 먹인 기술머신이나 레벨 조정은 어찌할 수 없는 부분이다. [40] 물론 뮤츠도 엄연히 생명체이기에 말이 안 되는 것은 아니다. 애초에 기계생명체인 메타그로스도 메가진화가 가능하다. [모델링] 파일:150_G9.png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