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둑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d5ae59><colcolor=#000> 규칙 | 국가별 룰, 초읽기, 접바둑, 덤, 착수금지 | |
기초 원리 | 활로( 단수), 따냄, 집, 행마 | ||
기본 형태 | 축, 패, 자충, 빅, 장문, 촉촉수, 환격, 후절수, 귀곡사, 공배, 궁도 | ||
특수 형태 | 장생, 삼패, 진신두 | ||
대국 흐름 | 포석, 정석, 끝내기, 계가, 복기, 기보 | ||
수읽기 | 먹여치기, 사활, 수상전, 수나누기, 교환, 맞보기 | ||
도구 | 바둑판, 바둑돌, 인공지능, 101weiqi | ||
사람 및 기관 | 바둑 기사, 품계, 기원, 한국기원, 대한바둑협회, 일본기원, 관서기원, 중국기원, 바둑 기전 | ||
프로젝트 | 나무위키 바둑 프로젝트 | ||
기타 | 용어, 격언, 특징, 화점 | }}}}}}}}} |
1. 개요
吃(중국어), 抜く 또는 取る(일본어), capture(영어).바둑에서 돌의 활로가 전부 막혔을 때 그 돌을 바둑판에서 치우는 것을 나타내는 용어. 따낸 돌은 돌을 따로 모아두고[1] 계가를 진행할 때 사용한다. 바둑을 아예 배운 적이 없는 사람들도 돌을 둘러싸면 따내는 것은 알고 있을 정도로 가장 기초적인 룰이다.
2. 원리
바둑의 기본 규칙에 따라 특정 바둑돌의 상하좌우 모든 인접한 곳에 상대의 바둑돌이 놓이거나 막히게 된다면 해당 바둑돌을 들어올려 판에서 치우게 되는데, 이를 '바둑돌을 잡는다' 혹은 '바둑들을 따낸다'고 한다.위 이미지에서 흑돌의 상하좌우 모든 공간을 백돌로 막게 된다면 흑돌은 잡혀서 오른쪽 백돌과 같은 형태가 된다.
이어져있는 돌 개수가 늘어나게 되면 따내는 형태와 들어가는 백돌의 개수가 달라진다.
단, 돌을 둘 때 적용되는 착수금지나 패의 원리에 의해 바로 둘 수 없는 공간이 생기기도 한다. 위 이미지에서 A로 표시된 공간은 착수금지에 의해 바로 둘 수 없으므로 왼쪽 세 개를 먼저 막아야 둘 수 있게 된다.
3. 전략
돌을 따내게 되면 따낸 돌 1개당 1 집의 이득을 확실하게 번다.[2] 나라별로 계가 방식에 차이가 있지만 돌을 따내는 것이 이득을 보게 되는 원리는 아래와 같다.- 일본/한국 룰 : 따낸 돌 자체를 집으로 세거나 계가할 때 상대 집을 메우는 데 쓰인다.
- 중국 룰 : 따낸 돌 자체는 계가 시 상대에게 돌려주며 집으로 세지 않는다. 하지만 중국 룰은 바둑판 위의 살아있는 돌 자체를 집으로 세기 때문에 돌을 따내게 되면 그 만큼 상대의 살아있는 돌이 줄어 일본 룰과 동일한 이득을 보게 된다.
- 대만 룰(응씨룰) : 중국 룰과 비슷하게 따낸 돌 자체는 돌려주며 집으로 세지 않지만 계가 시 자신의 바둑돌로 집을 메우는 과정에서 돌려받은 따낸 돌도 같이 자기 집을 메우기 때문에 역시 동일하게 따낸 만큼 집 이득을 본다.
이렇게 돌을 따내는 것 자체는 승부에 있어 확실한 득점 수단이 된다. 그래서 바둑을 처음 배우는 입문자들끼리 바둑을 두게 되면 서로 돌을 따내려고 안간힘을 쓰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하지만 돌을 따내는 것이 항상 이득만 있지는 않다.
- 굳이 따내지 않더라도 무조건 잡히는 돌 : 이 경우 돌을 투자해서 따내려고 하면 무의미한 따냄에 낭비하는 행동이기 때문에 한 수를 손해보게 된다. 입문자들이라면 한 수를 낭비해도 큰 손해는 아니겠지만 실력이 오를수록 한 수의 가치가 점점 커지기 때문에 이런 수 낭비를 기피해야 한다. 추가로 일본/한국 룰에서는 자기 집을 메우는 것이 손해기 때문에 더더욱 이미 잡힌 돌을 따내려 할 이유가 없다.
- 따내고나서 오히려 더 큰 손해를 보는 경우 : 사활이나 수상전, 환격 등에서 상대의 돌을 무심코 따냈다가 오히려 내 돌이 더 크게 죽는 경우가 있다. 그럴 때는 그 돌을 절대 따내면 안 된다.
이런 이유로 중급자 이상의 바둑에선 따낼 수 있는 돌도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따내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래서 입문자들은 따내는 것의 원리와 형태를 이해하고 나면 역설적으로 '따내지 않는 것'에 대해 익히는 것이 필요하다.
4. 관련 용어
따냄과 관련한 바둑 용어로 '빵때림'(빵따냄)과 '거북등'이 있다.빵때림은 돌 1개를 따냈을 때를 지칭하는 용어인데, 돌을 1개 따내는 모든 상황에서 빵때림이라 하지는 않고 해당 따냄이 변이나 중앙 쪽에 위력을 행사할 수 있어야 빵때림이라 부른다.
거북등은 돌 2개를 따낸 형태를 지칭한다. 돌 두 개를 따낸 형태가 거북이 등껍질 같다고 해서 붙인 명칭. 어느 정도 위력이 있어야 거북등이라 지칭하는 것은 빵때림과 같다. 3개부터는 딱히 따로 붙여진 별칭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관습적으로 빵때림은 30집, 거북등은 60집의 가치를 가진다고 한다. 물론 제대로 된 빵때림과 거북등이 매우 두터운 형태인 것은 맞지만 인공지능의 등장 이후로는 가치를 그래프로나마 잴 수 있게 되면서 이런 30집이나 60집의 용어를 쓰는 것은 사양되어가는 추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