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04 19:23:25

도큐 3000계 전동차

파일:TokyuCorp_Logo_notext.svg 도큐 전철 소속 전동차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TK-TY.svg 도요코선 파일:TK-MG.svg 메구로선
1000계 · 5000계(2대) · 5050계SH(4000번대) 3000계(2대)SH · 3020계SH · 5080계SH
파일:TK-DT.svg 덴엔토시선 파일:TK-OM.svg 오이마치선
2000계 · 2020계 · 5000계(2대) 6000계(2대) · 6020계 · 9000계 · 9020계
1000계 · 7000계(2대)
파일:TK-SG.svg 세타가야선 검측차
300계 7500계(TOQ i)
퇴역
3000계(초대) ( 3300계 · 3600계 · 3700계) · 5000계(초대) · 5200계 · 6000계(초대) · 7000계(초대) ( 7200계 · 7600계 · 7700계) · 8000계 · 8090계 ( 8590계) · 8500계
취소선 : 타 노선으로 이적
SH : 도큐 신요코하마선 입선 차량
}}}}}}}}} ||
파일:도큐 전철 로고.svg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 도큐 3000계 전동차
Tokyu 3000 series
東急3000系電車
}}}
파일:Tokyu-3013F.png
▲ 타마가와역에 정차하는 3013F
차량 정보
형식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구동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편성 6량 1편성 → 8량 1편성
운행노선 도큐 전철 파일:TK-MG.svg 메구로선,
파일:TK-SH.svg 신요코하마선
사가미 철도 파일:Sotetsu-SO.svg 본선, 파일:Sotetsu-SO.svg 이즈미노선,
파일:Sotetsu-SO.svg 신요코하마선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난보쿠선 로고.svg 난보쿠선
도에이 지하철 파일:도에이 미타선 로고.svg 미타선
사이타마
고속철도
파일:SaitRailway.svg 사이타마 고속철도선
도입시기 1999년 ~ 2001년, 2022년[신조객차]
제작사 도큐차량제조
종합차량제작소[신조객차]
소유기관 도큐 전철
운영기관
운행시기 1999년 ~ 현재
차량 제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fff,#191919> 궤간 1,067㎜
급전방식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방식
최고속도 설계 120㎞/h
영업 110㎞/h
가속도 3.3㎞/h/s
감속도 상용 3.5km/h/s
비상 4.5km/h/s
편성정원 886명 (좌석 306명)
차량정원 선두차 141명 (좌석 48명)
중간차 151명 (좌석 54&51명)
차량자중 26.0~33.5t
편성중량 180.5t
전장 20,300㎜(선두차)
20,000㎜(중간차)
전폭 2,770㎜
전고 4,065㎜
차체 경량 스테인리스
대차 볼스타레스대차 TS-1019·1020
동력장치 농형 3상 유도전동기 TKM98,99
동력모터 출력 190kw
구동방식 TD피팅식 중실축 평행카르단 구동
기어비 87:14
제동방식 ATC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제어방식 (홀수) 히타치 VVVF-IGBT 인버터 제어
(짝수) 도시바제 VVVF-IGBT 인버터 제어
보안장치 ATC-P, 도큐 ATS (도큐선)
CS-ATC (난보쿠선, 사이타마선, 미타선)
(보조 : ATO, TASC)
ATS-P( 소테츠 본선)
MT 비 3M 3T → 4M 4T
}}}}}}}}} ||
파일:Tokyu-3001F(1999).jpg
1999년 4월, 키쿠나역에 접근중인 3001F

1. 개요2. 구조
2.1. 차체2.2. 차내2.3. 승무실2.4. 주요 장비
3. 편성
3.1. 8량 편성
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1999년 4월 16일에 영업운전을 개시한 도큐의 통근 전동차다.

'친화적이고 아름다운 전동차'를 컨셉으로 잡고, 또한 제도고속도교통영단, 도쿄도 교통국과 직통운전에 대응하는 차량으로 설계하여 제조되었다.

원래 당초 계획은 자사 9000계 전동차를 개조하여 직통운전에 투입하려 하였으나, 1990년 6월에 홈도어 설치에 따른 계획변경과, 9000계에 대대적인 개조가 필요했고, 결정적으로 난보쿠선에 급경사가 있어서 출력 부족으로 중간에 퍼질 가능성이 있어(..) 도큐측에서 기존 차량을 보수, 개조하는 것보다 난보쿠선 운행에 대응한 새로운 디자인 차량을 신조하는것이 비용 측면에서 유리한다고 판단하여 제조하였다. 또한 현재의 3000계는 2대째이며, 초대차와 구분하기 위해 2대 3000계로 불리기도 한다. 또한 전 3000계와 마찬가지로 데하 3200형, 데하 3250형, 데하 3400형이 있다.

위에 컨셉에 따라, '친환경', '고객 만족', '승무원 친화적', '정비사 친화적'을 목표로 차체, 주요 탑재기기, 전장품, 운전대 등을 미리 검토한후 제작하였으며, 도큐제 신조차량에 첫 채용이 되는 기기 및 장애인 시설을 비치하였다. 또한 8000계의 제조 방침이었던 '전면 형상을 협창형으로'의 정책을 단독장비 탑재 등의 관계로 전환 후, 도큐에서 간만에 유선 광창형 전망으로 제조하였다.

양산 선행차 제 1편성은 당초 8량 편성으로 제작되었으며, 1999년 4월 16일부터 2000년 1월 15일까지 약 9개월 정도 일시적으로 도요코선에 투입되어 급행 운용에 충당된 적이 있다.

그후 2차 차량으로 1999년 10월~2000년 1월 사이에 3003F-3012F가 제조되었지만, 정식 차적은 모두 영업운전 개시일인 같은해 8월 6일에 부여되었고, 그전까지는 승무원 훈련 (시운전, 회송)에 사용하거나 사기누마 검차구 유치선에 유치되어 있었다. 또한, 2차차는 1M방식의 중간 동력차인 데하 3400형이 새롭게 제조되어, MT비는 8량편성 당시의 1차차와 같이 1:1로 되었다.

또한 2차차 제조 당시 3001F 선행차도 6량편성으로 재조정후 메구로선으로 전속하였다. 재조정시에는 3001F에서 데하 3202,3252, 사하 3502 3량을 제 2편성에 끼워 제작하였고, 데하 3401 (2차차)를 새로 신조하여 묶여 짬뽕편성 6량으로 재조정되었다. 그러나 도요코선에 운용되었던 3001F의 도요코선 → 메구로선의 서류상 전속 날짜는 8월 6일로 되어 있다.

양산선행차와 다르게, 제2편성 이후로는 개선사항이 추가되었다.
  • 전면 스커트를 작게 제작. 전면 와이퍼를 은빛색 무도장에서 블랙 도장으로 변경
  • 운행번호 표시기 확대, 등급 표지판 폐지.
  • 승무원실 칸막이 문 방향 변경
  • 운전대 스위치 위치 변경
  • 전면 유리 차광패널 커튼식으로 변경. ITV의 시인성 향상을 위한 차광필름 붙여 넣음.
  • 객실 내부 창문 커튼 변경.
  • 차내 휠체어 공간의 난간 연장, 히터 변경.
  • 승객용 문 옆 쇠 손잡이 변경.

제 1편성도 메구로선 운용 개시전까지 위 개조 공사를 받고 공통화한 후, 영업운전에 투입되었다.

메카마선의 메구로선, 타마가와선 분리에 따라 2000년 8월 6일부터 메구로선에 본격적으로 영업에 투입되었다. 운용개시 당초에는 3012F까지 12개가 등록되어 운용하였으나, 정기 검사시 예비차량 확보등을 목적으로 2001년 3월에 3013F (3차차)가 제작되었다. 기본 사양은 2차차와 똑같으나, 와이퍼 모양 향상, 검토 목적으로 공조장치를 1편성당 3개나 탑재하였던 것이 특징이다. 또한 각 편성 쿠하 차량 측면 바닥에 비상용 사다리 배치하고, 1·2차차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었다.

이에 따라 3000계의 제조는 중단되고 기술력 향상을 도모한 5080계가 제작되어 남은 노후 전동차들을 대차하였고, 현재도 5080계와 함께 운용되며 전차량이 모토스미요시 검차구에 소속되어 있고, 현재 메구로선, 신요코하마선, 난보쿠선, 미타선, 사이타마 고속철도선, 소테츠선 전선에서 운용중이다.

2021년, 모든 차량이 소테츠선 신호 대응 개조를 시행하였다.

2. 구조

2.1. 차체

20m 4도어 차체이며, 경량 스테인레스 차체로 제작되고, 무광색이다. 측면 창문 아래와 전면 아래부분에 도큐의 기업컬러인 빨간색을 기본으로 넣고, 메구로선의 색이라고 할수 있는 진한 파란색과 흰색선이 페인팅 되어 있다. 전두부는 FRP 제품을 사용하여 곡선을 많이 부드럽게 하고 있다. 앞 유리는 측면까지 정교한 곡면을 채용하였다. 비상용 관통문은 운전실 기준으로 오른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프로드 도어'로 채용되어 있다. 하단에 스커트가 장착되어 있고, 차내에도 비상용 사다리가 탑재되어 있다.

3차차에 해당하는 3013F는 와이퍼를 직선화 하였고, 바닥에 비상탈출용 접이식 사다리를 선두차량에 2대 설치하였다.

목적지 지시자는 고딕체의 LED으로 되어 있으며, 일본어&영어를 번갈아 표시한다.

메구로선에서 운행시 종착역명과 노선 연장 대상등을 동시에 표시하였다. '미타선 또는 난보쿠선·사이타마선' 이런식으로. 또한 이 표시는 메구로 도착과 승무 교대시 종착역 이름표시로 바꾼다. 급행 운전이 시작된후 노선명 표시 대신 종별표시를 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시로카네타카나와역 발착 열차는 목적지만 표시하도록 한다. 이것은 5080계에도 적용되어 있는 부분.

냉방장치는 도큐에서 처음으로 중앙집중식을 채용하였다. 냉방 능력은 48.84kW(42000kcal/h)이며, 겨울철 실내 온도 상승을 위해 온풍 기능이 있다. 3001F-3009F까지는 도시바제, 3010F-3012F는 히타치제, 3013F는 전술한 성능 비교를 위하여 미츠비시, 히타치, 도시바 3개제를 동시에 탑재하였다. 이후 히타치제는 제거되었다. 후에 이 결과를 토대로 능력을 향상시킨 냉각장치가 5080계에서 채용되었다.

객실 바닥도 제작전 검토하였으며, 경량화를 도모하였다. 또한 장비 기기를 공통화 한후 장비를 한곳에 집중시켜 단순화를 도모하였다. 열차 무선기는 집하화 때문에 쿠하 3100형 열차에 무선 장치를 탑재, 지붕의 송수신용 안테나도 2개나 탑재하였다. 원래 본 차량은 제조시부터 차량 간에 전략방지 덮개를 설치하였으나, 메구로선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면서 불필요해져서 2003년부터 순차적으로 철거되었다.

2.2. 차내

파일:Inside-Tokyu3000-1.jpg 파일:Inside-Tokyu3000-4.jpg 파일:Inside-Tokyu3000-6.jpg
차 내부 차량 단부 차내 안내표시기
객실내 로즈레드 계열을 기반으로 한 색상이다. 장판은 선로 방향이 광택사양의 백색으로 되어 있고, 아래면은 승무원실 칸막이를 포함하여 무광의 밝은 핑크색이다. 바닥은 엷은 갈색이지만 편성마다 무늬는 다르며, 총 3종류가 있다. 천장 중앙에 냉방기 분출구와 일체로 된 FRP재 공조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보조 송풍기로 각 차량에 6대의 라인델리아가 설치되어 있다. 측창 차량 단부는 일부를 제외하고 모두 개폐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문 사이의 창문은 고정창 1개, 이동창 1개씩 있으며, 차내 창틀도 FRP 제품을 쓴다. 차광에 커튼도 설치되어 있다.

승객용 문에 실내측에 장판이 부착되어 있어 문 유리의 실내측은 단자가 있는 금속이다. 차량 단부 관통문에도 같은 장판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관통로 창문 아래로 긴 여닫이 식으로 되어 있으며, 지지 방식은 측면 도어랑 다르다. 관통문은 각 차량의 한쪽만 설치되어 있으며, 차량 단면창 도어 장치는 벨트구동 공기식이나, 도어 닫힘 현상이 심하여 도어 폐문 제어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좌석은 롱시트이며, 밑에 히터가 없어 짐을 두는게 가능하다. 1시트당 450mm이며, 색상은 밑은 검은색, 등쪽은 빨간색으로 되어 있다. 중간 7명이 앉을수 있는 좌석에서는 3+4 구조로 중간에 손잡이용 봉이 설치되어 있다. 좌석간 분할은 대명 칸막이로 하였다. 각 차량에 우선석이 있고, 우선석 구분을 위해 우선석은 파란색으로 하였으며, 우선석 손잡이는 주황색이다.

휠체어 공간은 2호차와 5호차의 1개씩, 총 2개 설치되어 있다. 휠체어 이용자에 대한 배려로, 난방기 및 안전 난간, 비상통보장치를 설치하였다. 차량 비상통보장치는 승무원과 상호통화 가능한 타입을 채용하였으며, 각 차량에 4대 설치되어 있다. 승객이 인터폰 작동후 10초동안 기관사가 응답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도큐·도쿄메트로 종합관제센터로 연락이 가 그쪽 지령원이 받게 되어 있다.

선반은 철조망으로 하였으나, 기존 차량보다 높이를 20mm 낮춘 1,750mm으로 하였다. 손잡이는 삼각형 모양으로, 높이가 종래와 같은 1630mm을 기본으로 하되, 유니버셜 디자인의 일환으로 일부 100m 낮은 1530mm의 손잡이를 채용하였다. 낮은 손잡이는 이후 신 5000계나 9000계 개조분에서도 채용되었다.

승객용 도어 상단에서 도큐에서 처음으로 채용한 2단식 3색 LED 안내기, 문 차임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LED 안내기가 없는 문 위에는 광고와 도어 개폐 예고장치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후, 8500계, 9000계, 1000계, 2000계에도 장착되었다.

차내방송은 원래대로 자동방송장치가 탑재되었지만, 본 차량에서 영어방송이 추가되었다. 차량의 차량번호 명판에 금연 표지판과 소화기 표지판등이 있으며, 기존 아크릴 판 고정식에서 밀봉식으로 변경되었다.

2022년에 도입된 중간객차는 E231계 및 5000계 기반으로 창틀이 비대칭형이며, 창문에 선팅이 적용되었다. 또한 붉은색 시트가 장착된 기존 객차와 달리 녹색 시트가 장착되었다. #

2.3. 승무실

파일:Tokyu3000cab.jpg
운전대.

승무원실의 반사신경을 억제하였으며, 창문은 코팅처리 되어 있다. 원맨 운전 설비 설치를 위해 기존보다 300mm넓혀 1675mm다. 운전대는 진한 회색 계열이며, 도큐식 T자형 원핸들 마스콘(데드맨장치 포함)이 중앙에 있다. 속도계는 120km/h까지 표시되며, 원맨운전용 출입문 조작장치, ATO 장치, 비상정지장치등이 있다. 상단에 차량용 ITV(홈 감시 모니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감시카메라 영상 수신하는 영상 수신기도 설치되어 있다.

계기판 오른쪽에 차량 정보 시스템(TIS)가 설치되어 있다.TIS는 제어전송 기능 탑재 기기의 동작확인, 목적지 표시 및 공조장치, 자동방송 차내 표시기등의 서비스 기기 조작기능이 있고, 원맨운전시 기관사 지원 장치로서의 기능도 있다. 차장 출입문 스위치는 단독운전용 누름버튼식으로 되어 있다. 또한, 재개폐 스위치, 승강 탑승 촉진 버튼, 신호 부저, 비상 브레이크 스위치도 설치되어 있다.

승무원실 칸막이는 전면창과 같은 분할 창문 3장이다. 객실에서 볼때 왼쪽 큰 창문과 승무원실 문에 차광 유리가 사용되며, 차광막도 설치되어 있다. 차광막은 큰 창문은 커튼 하강식으로 되어 있으며, 문에 자물쇠가 설치되어 있다.

2.4. 주요 장비


구동음

동력차 3량, 부수차 3량의 3M3T의 6량 편성이지만, 8량편성시에는 4M4T가 된다. 또한, 8량 편성에 대비하여 현재 데하 3400형이 사하 3500형으로 쉽게 개조할수 있게끔 설계하였다. 이 때문에 8량 편성시 보조기기를 탑재하지 않고 사하 2량이 연결된다.

제어 장치는 IGBT 소자를 사용한 VVVF 인버터 제어 (3레벨 1700V/1200A)를 사용한다. 차량 번호가 홀수인 편성은 히타치제, 짝수인 편성은 도시바제를 탑재한다. 장치는 1C2M이며, 데하 3200형에 4개, 데하 3400형에 2개를 탑재하지만, 데하 3400형에 훗날 4개화를 대비하여 준비 공사를 하고 있다. 토크제어는 벡터제어를 채용하여 정확한 접착 성능이 확보되어 있다.

보조 전원장치는 IGBT 소자를 이용한 도시바제 SIV(용량 210kVA)를 채용하였다. 집전장치는 강체가선 대응형 싱글암을 탑재하고 있으며, 도큐의 신제 차량으로는 처음으로 채용하였다. 공기압축기는 기존 차량과 같은 왕복식이지만, 토출량은 기존 2000L/min에서 2500L/min으로 증각하고 8량 편성시 탑재 대수를 3대에서 2대로 하였다.

주 전동기는 TKM-98,99형이며, 정격 출력은 190kW, 회전수는 1825rpm이다. 구동 장치는 TD피팅을 사용한 중공축 평행 카르단 방식이며, 기어비는 전동기의 회선수를 억제하여 소음을 줄이기 위해 최대한 줄인 87:14로 하고 있다.

브레이크 장치는 HRDA 방식으로 회생 브레이크 병용 디지털 지령- 아날로그 변확식의 전체 전기지령식 공기제동이며, 회생제동을 병용하고 있다. 상용 브레이크 조작시 7단이지만, ATO 운전시 15단까지 가능하다. 본 열차에서 각 대차 단위로 바퀴의 제동을 방지하는 속도 방지 장치를 설치하여 보안성을 향상시켰다.

대차는 도큐차량 제조분의 볼스타레스 대차 TS-1019,1020을 사용하며, 차량 바닥 높이를 낮추기 위해 대차 프레임의 측면 빔 위치를 낮추고, 축 스프링이 들어가는 스프링관 이라는 부분을 보강하여 대차 프레임의 측면 빔을 직선 상태로 한 구조로 되어 있다. 고정 축간거리가 2100mm으로 하고 있으며, 대차 전체의 경량화를 도모하였다.

보안 장치는 ATC, ATO, TASC를 사용한다. 메구로선 내에서 ATC, TASC를 사용하고, 역행시에 기관사의 수동, 정차시에 브레이크 조작은 TASC에 의해 자동으로 정지한다. 또한 중검수 등으로 나가츠타 공장에 입고시 오이마치선 내를 주행해야 하는 특성상 도큐 ATS도 탑재되어 있다가 2008년 오이마치선 보안장치 업데이트로 현재 ATS는 사용하지 않는다.

ATC/ATO 장치 본체는 쿠하 3000형에 탑재하고 쿠하 2100형은 ATC 증폭기를 탑재하여 양 선두차간을 TIS에 의해 전송하고 있다. 이것은 기기 집약화, 경량화를 위한 것이며, 쿠하 3000형은 정보전송장치를 탑재하고, ATC의 부가 기능과 ATO, TASC장치의 정위치 정지를 위하여 지상자와의 인터페이스에 사용된다.

또한 양 선두차에는 홈도어와 차량 도어 연동을 위한 자동 출입문 개폐 장치도 탑재하고 있다.

3. 편성

우라와미소노, 니시타카시마다이라, 메구로 히요시, 신요코하마, 에비나 차량 제작 완료일자
호차 1 2 4 6
형식 쿠하
3000
(Tc2)
데하
3250
(M2)
데하
3200
(M1)
사하
3500
(T)
데하
3400
(M)
쿠하
3100
(Tc1)
탑재장비 SIV, CP, BT VVVF1 SIV, CP, BT VVVF2
3001F 3001 3251 3201 3501 3401 3101 아래 참조
3002F 3002 3252 3202 3502 3402 3102
3003F 3003 3253 3203 3503 3403 3103 2000년 8월 6일
3004F 3004 3254 3204 3504 3404 3104
3005F 3005 3255 3205 3505 3405 3105
3006F 3006 3256 3206 3506 3406 3106
3007F 3007 3257 3207 3507 3407 3107
3008F 3008 3258 3208 3508 3408 3108
3009F 3009 3259 3209 3509 3409 3109
3010F 3010 3260 3210 3510 3410 3110
3011F 3011 3261 3211 3511 3411 3111
3012F 3012 3262 3212 3512 3412 3112
3013F 3013 3263 3213 3513 3413 3113 2001년 8월 6일
  • 범례
    • VVVF1: 제어장치
    • VVVF2: 제어장치
    • SIV: 보조전원 공급장치
    • CP: 공기압축기
    • BT: 축전지
  • 비고
    • 3001F, 3002F중 밑줄은 1차차로 제조 완성일은 1999년 4월 16일.
    • 밑줄 아닌 차량은 2차차로 제조 완성일은 2000년 8월 6일

현재 8량증결분 중 1, 10~13편성이 반입되어 있는 상태라 현재 차량번호 체계를 개편할 예정이다.[3]

3.1. 8량 편성

시부야 ↔ 사쿠라기쵸 제조 완성일
호차 1 2 4 5 6 8
형식 쿠하 3000
(Tc2)
데하 3250
(M2)
데하 3200
(M1)
사하 3500
(T)
사하 3500
(T)
데하 3250
(M2)
데하 3200
(M1)
쿠하 3100
(Tc1)
3001F 3001 3251 3201 3501 3502 3252 3202 3101 1999년 4월 16일

4. 관련 문서



[신조객차] [신조객차] [3] 증결분은 34xy, 35xy로 도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