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유니폼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센트럴 리그 (Central League) | 퍼시픽 리그 (Pacific League) | ||
요미우리 자이언츠 | 한신 타이거스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 히로시마 도요 카프 | 치바 롯데 마린즈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 주니치 드래곤즈 | 오릭스 버팔로즈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73180><tablebgcolor=#073180>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000,#e5e5e5 |
일반 문서 | |
<colbgcolor=#96c800><colcolor=#073180> 모기업 관련 정보 | 모기업 야쿠르트 혼샤 | 과거 모기업 일본국유철도 · 산케이 신문 | |
일본시리즈 우승 ★★★★★★ |
1978 · 1993 · 1995 · 1997 · 2001 · 2021 | |
리그 우승 (9회) |
1978 · 1992 · 1993 · 1995 · 1997 · 2001 · 2015 · 2021 · 2022 | |
클라이맥스 시리즈 | 2009 · 2011 · 2012 · 2015 · 2018 · 2021 · 2022 | |
시즌별 요약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경기장 | 1군 메이지진구 야구장 · 2군 야쿠르트 토다 구장 · 지방구장 봇찬 스타디움, 시즈오카 쿠사나기 구장 | |
현역 선수 경력 | 무라카미 무네타카/선수 경력 · 아오키 노리치카/선수 경력 · 야마다 테츠토/선수 경력 · 오쿠가와 야스노부/선수 경력 | |
홈 중계 채널 | 파일:후지테레비1 로고.jpg 후지 테레비 1 | |
주요 인물 | 단장 오가와 준지 · 감독 타카츠 신고 · 선수회장 시미즈 노보루 · 주장 야마다 테츠토 | |
구단 상세 정보 | 구단 역사 · 선수단 및 등번호 · 역대 선수 · 유니폼 · 응원가 · 도쿄온도 · 츠바쿠로 · 도쿄 시리즈 | |
틀 문서 |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육성선수 | 역대 감독 | 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 |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1. 개요2. 기본 유니폼
2.1. 1950년~1964년2.2. 1965년2.3. 1966년~1973년2.4. 1974년~1977년2.5. 1978년~1989년2.6. 1990년~1998년2.7. 1999년~2005년2.8. 2006년~2008년2.9. 2009년~2012년2.10. 2013년~2015년2.11. 2016년~현재
3. 보조 유니폼1. 개요
전반적인 디자인은 야쿠르트사의 인수 이후 팀명을 ‘아톰스’에서 고쿠테츠 시절의 ‘스왈로즈’로 되돌리면서 현재와 같은 형태로 확립되었으며, 팀의 흥망성쇠를 함께한 빨간 줄무늬-흰색 유니폼은 야쿠르트의 상징처럼 여겨진다.주요컬러는
남색
빨강색
연두색
이다.[1]2. 기본 유니폼
2.1. 1950년~1964년
|
홈 유니폼 (니시가키 토쿠오 초대 감독) |
|
원정 유니폼 ( 카네다 마사이치) |
고쿠테츠 스왈로즈 시기의 유니폼이다. 홈 유니폼은 ‘Swallows’, 원정 유니폼은 ‘TOKYO’ 글자가 새겨져 있으며, 시기에 따라 모자 로고는 K와 S가 번갈아 쓰여져 있었다. 원정 유니폼 색상은 1952년부터 회색을 사용. 이 시기의 Swallows 로고가 1974년 부활한 이후 현재까지 쓰이고 있다.
2.2. 1965년
모자 로고가 S로 고정되고, 원정 유니폼 전면에 SANKEI가 붙었다. 하지만 다음 해에 팀명이 바뀌면서 1년 밖에 가지 못했다.2.3. 1966년~1973년
|
산케이 아톰즈(1966~1968) 유니폼 |
|
야쿠르트 아톰즈 유니폼(1969~1971) |
철완 아톰 사용권 계약을 한 뒤 산케이-야쿠르트 아톰즈로 팀 이름을 바꾼 후의 유니폼이다. 아톰즈 시절의 유니폼은 홈 유니폼이 ‘atoms’, 원정 유니폼은 각각 ‘sankei’, ‘yakult’로 되어 있으며, 소매에 공통적으로 우주소년 아톰이 떡하니 박혀있었다. 색상은 회색, 진한 감색 등으로 조금씩 변화가 있었고, 모자로고도 a를 거쳐 ya가 박혔다.
|
1971년부터 1973년까지 모자 로고와 서브 색상을 조금 바꾼 유니폼을 입기도 했다. 유니폼 착용자는 당시 감독인 미하라 오사무.
2.4. 1974년~1977년
|
홈 유니폼 (로저 레포즈) |
|
원정 유니폼 (야스다 타케시) |
철완 아톰 사용 계약이 만료되자 야쿠르트 스왈로즈로 환원된 이름을 달고 선보인 첫 유니폼이다. 현 모자 로고에도 있는 YS 로고가 처음 나온 유니폼이다. 홈 유니폼의 줄무늬가 처음 도입된 유니폼이기도 하다. 빨간색 서브컬러가 처음 도입되었다.
2.5. 1978년~1989년
|
홈 유니폼 (마츠오카 히로무) |
|
원정 유니폼 (바비 마르카노) |
메인 컬러를 짙은 남색에서 파란색으로 바꿨고 홈/원정 로고는 파란색 글자에 흰색, 빨간색 2중 바탕선 형태인 로고로 바뀌었다. 홈 유니폼은 애틀란타 브레이브스의 1976-79시즌 홈 유니폼의 디자인을 그대로 따왔다.[2]
이 유니폼을 입은 첫 해인 1978년에 창단 첫 센트럴리그, 일본시리즈 우승을 차지했으나 이후 80년대 내내 암흑기에 빠지면서 첫 우승의 영광과 80년대 암흑기라는 빛과 그림자를 함께 지닌 유니폼이 되었다.
2.6. 1990년~1998년
|
1990~1993년 홈유니폼 ( 후루타 아츠야) |
|
1990~1993년 원정유니폼 ( 1993년 일본시리즈 우승 당시 노무라 카츠야 감독) |
야쿠르트 왕조를 만든 명감독 노무라 카츠야의 재임 시기에 입은 유니폼. 유니폼의 로고가 테두리가 사라진 새로운 형태로 바뀌었다. 또한 원정 유니폼엔 명암에 따라 두꺼운 줄무늬가 보이는 섀도우 스트라이프를 도입했다.
|
1997년 일본시리즈 우승 당시 다카쓰 신고.[3] |
|
1990~1993년까지는 홈, 원정 모두 팔 부분에 목 부분의 선과 똑같은 선이 있었지만 1994년부터는 홈 유니폼에 한해서 팔 부분의 선이 사라졌고, 모자 로고가 흰색 YS 로고에서 과거 야쿠르트 아톰즈 초기와 유사한 빨강색 Y, 파랑색 S로 이뤄진 형태의 로고로 변경되었다. 원정 유니폼 팔 부분의 선이 사라진 건 1997년부터.
이 유니폼을 입고 1992년 센트럴 리그 우승과 1993년 일본시리즈, 1995년 일본시리즈, 1997년 일본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야쿠르트의 최전성기 시절 입은 유니폼.
2.7. 1999년~2005년
|
홈 유니폼. 팀 최고의 프랜차이즈 스타 후루타 아츠야. |
|
원정 유니폼. 이나바 아츠노리.[4] |
홈의 경우 목의 빨간 선이 사라졌으며, 원정 유니폼은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비슷한 남색을 사용했다. 이 때 야쿠르트 유니폼 배색 기준이 확립되었다.
이 유니폼을 입고 2001년 일본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2.8. 2006년~2008년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로 명칭 변경을 하고 첫 출시한 유니폼. 줄무늬가 사라졌고, 오른팔 소매에 ‘TOKYO’가 새겨져 있다. 마침 자이언츠가 ‘TOKYO’ 지우기에 열심이었으니 팀명에 “도쿄”를 넣을 수 있었고,[5] 이에 따라 유니폼에도 새겨진 듯 하다.
2.9. 2009년~2012년
|
|
40주년 유니폼. |
유니덴에서 ZETT로 스폰서가 변경되었다. 디자인은 세련된 편이지만 세이부 라이온즈처럼 홈/원정이 잘 구분이 안되는 색채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여담으로 맨 윗쪽 단추만 붉은색으로 칠해졌는데 이는 일장기를 상징한다는 설이 있었다. 그래서인지 이 유니폼 채용기에 뛰었던 임창용, 이혜천은 이 단추를 풀고 플레이했다. 물론 근거는 거의 없는 설이며, 2024년 현재도 맨 위쪽 단추가 붉은색이긴 하나 원정 단추는 마제스틱 계약 후 녹색으로 변경되었다.
2.10. 2013년~2015년
|
과거의 빨간 스트라이프 유니폼이 8년만에 돌아왔으며, 원정 유니폼도 남색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홈 한정으로 모자 로고가 1974~1993년에 썼던 구 로고로 환원되었고 2015년부터는 원정 모자 로고도 구 로고로 환원되었다.
이 유니폼을 채용하고 2013, 2014년 연속 꼴찌를 기록하다 마지막 해인 2015년에 센트럴 리그 우승을 하며 우여곡절을 겪었다.
2.11. 2016년~현재
|
홈 유니폼은 1999년 유니폼처럼 빨간 줄무늬만 있는 다소 심플하게 변경되었는데, 목 부분과 어깨 끝부분에 한큐 브레이브스의 1970~80년대 유니폼과 비슷하게 남색-흰색-빨간색의 3색선을 도입했다. 원정 유니폼은 대격변을 겪었다. 기본 색상인 남색은 그대로지만, 세컨드 컬러가 연두색으로 바뀌었다.[7] 거기다 로고도 스왈로즈 글자체도 아니고 야쿠르트사 서체도 아닌 필기체를 사용한다. 여러모로 밀워키 브루어스유니폼과 비슷하다.
여담으로 얼터 유니폼의 모자는 과거 1974~77년 쓰던 모자 디자인을 그대로 가져온 것이다.
그리고 이 유니폼을 입고 2017년 시즌 96패[8], 2019년 구단 최다패 타이 기록(1970년 이래 49년 만)인 시즌 16연패를 기록했고 2018년을 제외하면 A클래스도 기록 못하고 있는 등 온갖 흑역사를 쓰고 있다. 그나마 위안이라면 2018년에 센트럴 리그 구단 2번째로 교류전 우승을 했다는 것 정도? 근데 문제는 그것도 뽀록에 가까운 수준이었다는 것.
계속 성적이 안 좋아지면 역대 최악의 유니폼으로 찍혀버릴 듯 하다. 여러므로 디자인이 아까운 유니폼. 그러나..
|
|
|
20년만의 일본시리즈 우승을 차지한 2021년. |
2021 시즌 센트럴 리그 우승을 결정지은데 이어 일본시리즈에 진출해 20년 만에 우승을 차지한 유니폼이 되었다. 어떻게 보면 꼴지와 우승 둘 다 경험한 유니폼이라는 점에서 초기 KIA 타이거즈 유니폼과 비슷한 면이 있다.
3. 보조 유니폼
3.1. 2013년
|
3.2. 2014년
|
2013년의 유니폼에서 색만 반대로 변경했다.
3.3. 2015년
3.3.1. CREW 유니폼
|
공식 서포터즈인 크루 가입을 통해서만 손에 넣을 수 있는 유니폼이다.
3.3.2. TOKYO 유니폼
|
일부 홈 경기에 입은 ‘TOKYO’ 유니폼.[9] |
요미우리 자이언츠가 원정 유니폼을 바꾸려 하자
3.4. 2016년
3.4.1. TOKYO 유니폼
|
2016년의 두 번째 보조 유니폼.[10] |
라임색 바탕으로 스왈로즈의 문구가 아닌 연고지 지역명으로 표기했지만, 이 전과 달리 산뜻해보이면서 반응이 좋다.
다만 그 전해와는 달리 전용 하의는 없고, 원정유니폼 하의를 입는다.[11]
3.5. 2017년
3.5.1. CREW 유니폼
|
2017년의 첫 번째 보조 유니폼. |
기존 홈유니폼 디자인의 빨강색을 라임색으로 교체하였다. 다른 점이라면 가슴 쪽의 워드마크의 폰트가 다른 것과 유색단추가 없다는 것 정도.
3.5.2. TOKYO 유니폼
|
요미우리 자이언츠와의 도쿄 더비에서 착용할 2017년의 두 번째 보조 유니폼. |
|
실제 착용 샷 |
CREW 유니폼처럼 홈 유니폼을 활용한
2017년 7월 26일 일본프로야구 타이 기록인 10점차로 끌려가던 경기를 뒤집는 대첩을 거둔 역사적인 유니폼이다.
3.6. 2018년
3.6.1. CREW 유니폼
|
3.7. TOKYO 유니폼
|
이번 시즌부터 연두색 모자를 착용한다.
3.8. 2019년
3.8.1. CREW 유니폼
|
3.8.2. TOKYO 유니폼
|
‘TOKYO’ 로고가 50년대 초창기 유니폼의 글꼴 스타일로 바뀌었다.
3.9. 2020년
3.9.1. CREW 유니폼
|
|
2020 도쿄 올림픽을 앞두고 도쿄에 본거지를 두는 팀으로서 도쿄다움, 시티다움을 디자인에 넣은 스타일로 바뀌었다.
3.9.2. TOKYO 유니폼
|
|
TOKYO 유니폼. |
3.10. 2021년
|
좌측이 CREW 유니폼 / 우측이 TOKYO 유니폼. |
3.10.1. CREW 유니폼
|
|
3.10.2. TOKYO 유니폼
|
|
|
3.10.3. 레이디스 데이 유니폼
2021년 4월 24일부터 30일까지 ‘이 유니폼을 입고 응원하고 싶다’라는 주제로 팬 투표로 결정했다. # 총 4종류 컨셉. 투표는 공식 서포터즈인 크루와 공식 홈페이지에 가입된 여성회원만이 가능하다.
|
|
좌측이 Rainbow Stripe 유니폼 / 우측이 LADIES 2021 유니폼. |
투표 결과로 선택된 ‘Rainbow Stripe’와 ‘LADIES 2021’ 2종류의 유니폼을 Swallows LADIES DAY 2021 경기 당일 티켓을 구입한 여성 한정으로 지급됐다.
3.11. 2022년
|
좌측이 CREW 유니폼 / 우측이 TOKYO 유니폼. |
모델은 오쿠가와 야스노부, 무라카미 무네타카.
3.11.1. CREW 유니폼
|
CREW 유니폼. |
2022년에 ‘CREW’ 유니폼은 10주년을 맞이해,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유니폼의 상징이기도 한 줄무늬 외에 붉은 라인을 사용해 스왈로즈의 전통을 표현함과 동시에 새로운 느낌을 주고 있다.
3.11.2. TOKYO 유니폼
|
TOKYO 유니폼. |
‘TOKYO’ 유니폼은 심플 디자인이지만, 캡 모자와 유니폼 상의의 조합이 좋아, 실제의 무라카미 무네타카 착용 예를 보면 세련된 느낌을 준다. 또한, 이번 유니폼 팬츠의 줄무늬도 녹색이 되어 있는 것이 새로운 점. 작년의 디자인과 비교해, 상의가 꽤 심플해지고, 대신에 팬츠가 참신하게 된 것이 특징이다.
3.12. 2023년
|
좌측이 TOKYO 유니폼 / 우측이 CREW 유니폼. |
3.13. 2024년
[1]
다만 연두색은 2010년대부터 자주 쓰이게 돼서 아직까지는 서드컬러 느낌이 강한편.
[2]
애틀란타는 동시기
한큐 브레이브스,
킨테츠 버팔로즈의 유니폼 디자인에도 영향을 주었다.
[3]
뒤에 있는 좌익수 용병선수는 드웨인 호지.
[4]
2001년 일본시리즈 2차전,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 홈
교세라 돔 오사카에서의 경기. 사진에 등장한 킨테츠의 투수는 현재는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뛰는
이와쿠마 히사시로 2와 1/3이닝만에 강판되었다.
[5]
이전까지는 팀 이름에 도쿄를 넣는 건 금기였다. 오리온스가 넣은 적이 있었는 데 그 때 팬에게서든, 요미우리에게서든 엄청나게 욕 먹었다.
[6]
도쿄 야쿠르트 외에도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가 마제스틱으로 갈아탔다. 참고로 3번째 유니폼은 매년 입는게 아닌 2016년 한정 CREW 유니폼이다.
[7]
기존 남색/빨강 조합은 서드 유니폼이 이어받았다.
[8]
구단 역사상 시즌 최다패 기록. 이전 최다패 기록은 창단 첫해인 1950년에 기록한 94패였다. 거기다 이때는 공기업이었던 고쿠테츠가 경영하던 시절이었다.
[9]
그 외에도
도쿄돔 일부 원정 경기 때에도 입었다.
[10]
첫 번째는 2016~ 항목의 세 번째 유니폼인 CREW 유니폼.
[11]
사실 연두색이나 라임색이나 크게 차이가 없고, 무엇보다 이 색상의 비중이 그렇게 크지도 않아서 전용 하의를 맞췄어도 사람들이 몰라봤을거라는(...) 의견이 대부분이였다. 아무튼 돈 좀 굳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