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절 문자의 계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width: 300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오른쪽 문자는 왼쪽 문자에서 파생됨 >>> | |||||||||
이집트 상형 문자 | 신관문자 | 민중문자 | 메로이트 문자 | |||||||
원시 시나이 문자 | 우가리트 문자 | |||||||||
페니키아 문자 | 고대 히브리 문자 | 사마리아 문자 | ||||||||
아람 문자 | 카로슈티 문자 | |||||||||
브라흐미 문자 | 바티프롤루 문자 | 칸나다 문자 | ||||||||
텔루구 문자 | ||||||||||
팔라바 문자 | ||||||||||
참 문자 | ||||||||||
그란타 문자 | 싱할라 문자 | |||||||||
말라얄람 문자 | ||||||||||
타밀 문자 | ||||||||||
크메르 문자 | 태국 문자 | |||||||||
라오 문자 | ||||||||||
카위 문자 | 발리 문자 | |||||||||
순다 문자 | ||||||||||
자바 문자 | ||||||||||
바이바이인 문자 | ||||||||||
버마 문자 | ||||||||||
굽타 문자 | 실담 | 나가리 문자 | 데바나가리 문자 | 캐나다 원주민 문자 | ||||||
모디 문자 | ||||||||||
구자라트 문자 | ||||||||||
난디나가리 문자 | ||||||||||
카이티 문자 | ||||||||||
가우디 문자 | 동부 나가리 문자 | |||||||||
오리야 문자 | ||||||||||
네팔 문자 | 란자나 문자 | 소욤보 | ||||||||
티베트 문자 | 파스파 문자 | |||||||||
타나 문자 | ||||||||||
시리아 문자 | 나바테아 문자 | 아랍 문자 | 타나 문자 | |||||||
페르시아 문자 | ||||||||||
자위 문자 | ||||||||||
응코 문자 | ||||||||||
소그드 문자 | 돌궐 문자 | 로바시 문자 | ||||||||
위구르 문자 | 몽골 문자 | 만주 문자 | ||||||||
팔라비 문자 | 아베스타 문자 | |||||||||
히브리 문자 | ||||||||||
팔미라 문자 | ||||||||||
만다야 문자 | ||||||||||
그리스 문자 | 에트루리아 문자 | 로마자 | 체로키 문자 | |||||||
오세이지 문자 | ||||||||||
프레이저 문자 | ||||||||||
데저렛 문자 | ||||||||||
홋착 문자 | ||||||||||
룬 문자 | ||||||||||
오검 문자 | ||||||||||
콥트 문자 | ||||||||||
고트 문자 | ||||||||||
아르메니아 문자 | ||||||||||
조지아 문자 | ||||||||||
글라골 문자 | ||||||||||
키릴 문자 | 아부르 문자 | |||||||||
리비코-베르베르 문자 | 티피나그 문자 | |||||||||
고대 히스파니아 문자 | ||||||||||
남아랍 문자 | 그으즈 문자 | |||||||||
고대 북아랍 문자 | ||||||||||
한글 · 비저블 스피치 · 주음부호 | }}}}}}}}} |
데바나가리 문자 | देवनागरी | Devanagari |
모음자 |
자음자[1] |
숫자 |
1. 개요
북 인도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쓰이는 문자로, 브라흐미계 문자에 속하는 아부기다 문자 체계이다. 데바(देव)는 '신' 또는 '신성한'이라는 뜻이고, 나가리(नागरी)는 '도시의'라는 뜻이다. 즉, 데바나가리의 뜻은 '신성한 도시 또는 신들의 도시에서 사용되는 문자'라고 해석할 수 있다. 산스크리트어, 팔리어, 힌디어, 카슈미르어, 마라티어, 네팔어, 펀자브어를 표기하는데 사용된다. 그외에도 계통은 다르지만,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는 셰르파어, 네와르어에서 쓰이기도 한다. 범어(梵語: 산스크리트어) 표기에 사용하는 문자라 하여 범자(梵字)라고도 한다. 한자문화권에서 '범자'라고 하면 실담 문자를 가리킬 때가 더 많다. 동북아 대승불교에서 사용한 불경이나 문서들이 산스크리트어를 실담문자로 적었기 때문이다.2. 사용 방법
쓸 때는 글자와 모음부호를 먼저 쓰고 그 위에 줄(쉬로레까)을 긋는다. 데바나가리의 전신인 브라흐미 문자는 줄이 없었지만 이후 줄이 생겼다. 원래는 글자를 쓸 때마다 쉬로레까를 기입하는 게 정식이다. 원래는 문장 단위로 띄어쓰기를 했지만, 오늘날에는 영어와 마찬가지로 단어 단위로 띄어 쓰고 그 위에 줄을 그음으로써 하나의 단어임을 표시한다. 하지만 이 글자를 배운 사람들이라면 줄이 없어도 읽을 수 있다고 한다. 한글을 띄어쓰기 없이 붙여 써도 한국인들이 다 알아보는 것과 같다. 맥락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쉬로레까(शिरो लेखा,śiro-lekhā ,top line)는 쉬로(शिरो śiro) 꼭대기,맨 위의 라는 뜻이고 레까(लेखा lekhā)는 줄이라는 뚯이 있다. 즉 상단의 가로줄이라는 의미이다.
3. 목록
아래에서 문자인식이 가능한 모음과 자음 그리고 숫자 리스트를 참고할수있다.3.1. 모음
글자 | /k/에 모음이 붙은 모습 | 로마자 | 발음 | 입력( LaTeX)[2] 또는 kh[3] |
अ | क | a / ka | [ɐ] / [kɐ] | a(अ),k(क) |
आ | का | ā / kā | [ɑː] / [kɑː] | A(आ), kA(का) |
इ | कि | i / ki | [i] / [ki] | i(इ) , Ek(कि) |
ई | की | ī / kī | [iː] / [kiː] | I(ई) , kF(की) |
उ | कु | u / ku | [u] / [ku] | u(उ) , \\7{k}(कु) |
ऊ | कू | ū / kū | [uː] / [kuː] | U(ऊ) , \\8{k}(कू) |
ऋ | कृ | r̥ / kr̥ | [r̩] / [kr̩] | \\31Bw(ऋ), \\9{k}(कृ) , R(kh) |
ॠ | कॄ | r̥̄ / kr̥̄ | [r̩ː] / [kr̩ː] | \\311w(ॠ), {k}\\30Ew (कॄ),RR(kh) |
ऌ | कॢ | l̥ / kl̥ | [l̩] / [kl̩] | \\318w(ऌ) ,{k}\\31Fw(कॢ) |
ॡ | कॣ | l̥̄ / kl̥̄ | [l̩ː] / [kl̩ː] | \\319w(ॡ) , {k}\\37Cw(कॣ) |
ए | के | e / ke | [eː] / [keː] | e(ए) , \\`{k}(के) |
ऐ | कै | ai / kai | [ɑj] / [kɑj] | (ऐ) \\`{e} , (कै) {k}\\4{} |
ओ | को | o / ko | [oː] / [koː] | ao(ओ) , ko(को) |
औ | कौ | au / kau | [ɑw] / [kɑw] | aO(औ) , kO(कौ) |
글자 | /k/에 붙은 모습 | 로마자 | 입력(LaTeX)또는 kh[4] |
모음소거부호 | क् | k | \\qq{k} |
अं | कं | ṁ / kaṁ | \\.{k} , M(kh) |
अः | कः | ḥ / kaḥ | k , H(kh) |
3.2. 자음
글자 | 로마자 | 발음 | 입력(LaTeX) 예시 | 비고(kh[5]) |
क | ka | [kɐ] | k | |
ख | kha | [kʰɐ] | K | |
ग | ga | [ɡɐ] | g | |
घ | gha | [ɡʱɐ] | G | |
ङ | [math(\mathsf{\dot{n}})]a | [ŋɐ] | R | (기록상)초성에 쓰이지않는 받침용[6],G(kh) |
च | ca | [tʃɐ] | c | |
छ | cha | [tʃʰɐ] | C | |
ज | ja | [dʒɐ] | j | |
झ | jha | [dʒʱɐ] | J | |
ञ | ña | [ɲɐ] | \\31Aw 또는 \\316w{A} | J(kh) |
ट | ṭa | [ʈɐ] | V | T(kh) |
ठ | ṭha | [ʈʰɐ] | W | |
ड | ḍa | [ɖɐ] | X | [math( \underset{.}{d} )], D(kh) |
ढ | ḍha | [ɖʱɐ] | Y | |
ण | ṇa | [ɳɐ] | Z | (복자음 축약형)ण् (예시)ण्य , N(kh) |
त | ta | [t̪ɐ] | t | |
थ | tha | [t̪ʰɐ] | T | |
द | da | [d̪ɐ] | d | |
ध | dha | [d̪ʱɐ] | D | |
न | na | [nɐ] | n | |
प | pa | [pɐ] | p | |
फ | pha | [pʰɐ] | P | |
ब | ba | [bɐ] | b | |
भ | bha | [bʱɐ] | B | |
म | ma | [mɐ] | m | |
य | ya | [jɐ] | y | |
र | ra | [rɐ] | r | |
ल | la | [lɐ] | l | |
ळ | ḷa | [ɭɐ] | \\30Fw | |
व | va | [ʋɐ] | v | |
श | [math(\mathsf{\acute{s}})]a | [ʃɐ] | f | [math( \overset{'}{s} )] ,z(kh) |
ष | ṣa | [ʂɐ] | q | S(kh) |
स | sa | [sɐ] | s | |
ह | ha | [ɦɐ] | h |
3.3. जञ
जञ(jñ) = ज्ञ = 겨(또는 갸)의 단일 음가를 보여주는 특수한 경우의 복자음이다.3.4. 숫자
० | १ | २ | ३ | ४ | ५ | ६ | ७ | ८ | ९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대칭
1 | 9 |
१ | ९ |
3 | 6 |
३ | ६ |
3.4.1. 아라비아 숫자
아라비아 숫자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페르시아 문자 | ۰ | ۱ | ۲ | ۳ | ۴ | ۵ | ۶ | ۷ | ۸ | ۹ |
데바나가리 문자 | ० | १ | २ | ३ | ४ | ५ | ६ | ७ | ८ | ९ |
4. 인코딩
4.1. 알파벳 입력방식
알파벳 입력방식은 힌디어의 발음(데바나가리)을 알파벳으로 음역(transliteration)을 입력하는 방식이다. 컴퓨터 입력시(LaTeX 기준) th(थ)는 교토-하버드 표기방식에서 처럼 대문자 T를 사용하기도 한다. 경우에 따라서 th를 입력하면 तह를 보여주기도 한다.4.1.1. 교토-하버드 표기방식
교토-하버드 표기방식(Kyoto-Harvard Devanāgarī Transliteration,KH)의 장점은 IAST를 사용하려면 일반적인 키보드판에는 없는 특수기호를 가져와 입력해야 하는 반면, KH는 키보드 자판( 아스키 텍스트)에 이미 준비된 대소문자나 특수문자를 사용해서 바로 표기할 수 있다는 점이다. [7][8]4.1.2. 교토-하버드 표기방식 예시
IAST | KH |
ā | A |
ī | I |
ū | U |
ṛ | R |
ṃ | M |
ḥ | H |
4.1.3. 사용 예
उत्तान uttāna(IAST)를 uttAna(KH)로 사용할 수 있다.सृप् sṛp(IAST)를 sRp(KH)로 대체해서 사용할 수 있다.
4.2. 모니어-윌리엄스 산스크리트-영어 사전
현재 일반적으로 데바나가리 문자를 로마자로 입력할 적엔 로만 유니코드(Roman Unicode) 방식을 널리 사용한다. 쾰른 대학교에서 운영하는 모니어-윌리엄스 산스크리트-영어 사전의 인터넷판 등에서는 IAST 대신 교토-하버드(Kyoto-Harvard) 방식을 사용하지만[9] 이 또한 컴퓨터적으로는 로만 유니코드를 사용한다.4.3. 하드웨어 입력 방식
하드웨어(키보드 등)로 입력하는 키보드 조합 입력은 힌디어 자판의 키보드상 데바나가리 문자들을 한 글자 한 글자 타자한다.[10][11]5. 복자음
복자음 표데바나가리 문자에는 자음과 자음이 겹쳐져 새로운 모양의 글자가 되는 복자음이 많다. 데바나가리 문자와 힌디어의 난이도를 크게 상승시키는 요인이다. 그러나 많이 사용되는 복자음과 복자음 대조표를 기준으로 보면 몇몇 복자음을 제외하곤 규칙성이 있다.[12][13]
- ण(ण्) + य = ण्य
5.1. 복자음표의 구조
아래 복자음표의 빈 공간은 가로줄과 세로줄의 예에서 매우 예측적이므로 생략됐다.전체가 빨강색인 문자는 매우 변형된 예외적인 문자이다.
위의 데바나가리 문자의 복자음표에서 보이듯이 복(합)자음의 구조는 원래의 문자의 일부 또는 전체를 사용해서 축약형을 만들었으므로 언어학적으로 조합적이고 규칙적이다. 특히 문자 र(ra)의 경우 र이 앞에 오는 경우와 뒤에 오는 경우에서 각각 축약된 형태가 다른데, 음성학적 고려에서 그 형태와 위치가 매우 정교하다.
5.2. 추가 변형
복자음 ज्ञ(jña) = ज + ञ 은 그 자체로도 복잡한 표기일 뿐만 아니라 이체자들도 존재한다는 점에서 마찬가지로 데바나가리 문자와 힌디어의 난이도를 크게 상승시키는 요인이다.[14]위의 3가지 데바나가리 문자는 모두 같은 글자들이다. |
6. 손글씨 획 순서
쓸 때는 먼저 아래 부분의 영역을 쓰고 나서 상단의 가로줄인 쉬로레까(शिरो लेखा,śiro-lekhā ,top line)를 그 위에 긋는다.6.1. 쉬로레까
맨 마지막 마침획인 쉬로레까(상단 가로줄)를 기준으로 본다면모음1개 अ(아)계열 그리고 자음4개 थ(th), ध(dh), भ(bh), श(ś)가 상단 가로줄의 길이가 짧다.
6.1.1. 쉬로레까 기둥
맨 마지막 마침획인 쉬로레까(상단 가로줄)를 기준으로 본다면쉬로레까를 긋기 직전에 세로줄을 위에서 아래로 긋어 쉬로레까 세로 기둥 획을 먼저 완성한다. 또한 가운데 세로줄은 ट(ṭ)처럼 짧아진 꼭지형태로 변형된 모습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한편 फ(ph)나 ब(b)처럼 획의 순서에서도 예외가 가능한 문자들이 있다.
6.2. 자음 및 모음 쓰기
상단의 쉬로레까의 획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긋어지듯이 하단의 획들도 일반적으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긋어나간다. 그리고 거의 모든 데바나가리 문자들은 쉬로레까 가로줄이나 세로줄에 획이 연결된다.6.3. 예외
거의 모든 데바나가리 문자들은 쉬로레까 가로줄이나 세로줄에 획이 연결된다. 하지만 현대의 [math( \mathsf{श} )]([math(\acute{s})] 또는 ʃ) 문자만은 쉬로레까 가로줄이 붙거나 또는 떨어뜨리는 경우 둘 다를 인정하는 글자이다.위의 4가지 데바나가리 문자 श([math(\acute{s})])는 모두 같은 글자들이다.
7. 파생 문자
이누이트어 등 캐나다 원주민 언어를 표기하는 데 쓰이는 캐나다 원주민 문자가 데바나가리 문자의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8. 여담
글자 위에 긋는 직선인 쉬로레까 때문에 글자가 마치 빨랫줄에 매달린 것처럼 생겨서 유머소재가 되기도 한다. 류시화의 <지구별 여행자>에서는 데바나가리 문자를 처음 만든 사람이 천 쪼가리에다가 글자를 쓰고 빨랫줄에 걸어서 사람들을 가르쳤는데, 사람들이 그 빨랫줄까지 따라 그리는 바람에 이런 모양이 되었다는 우스갯소리가 있다.얼핏 보면 한글과 비슷해 보이지만 한글과는 전혀 기원이 다르다. 모음+자음이라는 점에서 한글과 비슷한 체계로 느껴지긴 하지만 a 모음을 표시하지 않고 음운의 자질도 반영되지 않은 등 한글과는 체계상 차이가 있다. 이 외에 구자라트 지방에서 사용되고 데바나가리 문자에서 쉬로레까를 없앤 구자라트 문자의 모양과 한글의 모양이 꽤 비슷해 보이지만 단지 우연의 일치이다.
UTF-8에서는 3바이트 문자의 시작을 끊는 위치였으나 2009년 10월, U+0800 ~ U+083F에 사마리아 문자가 추가되면서 맨 앞자리를 뺏겼다.
자음이 한국어보다 발음이 더 많아서 콧소리가 들어가느냐 안 들어가느냐에 따라서도 사용하는 글자가 달라진다.
9. 관련문서
* 분음 기호
[1]
자음이 겹쳐 변하는 복자음이 많으므로 문자 수는 이 표보다 많다.
[2]
LaTeX > \\usepackage{devanagari} > {\\dn 1 2 3 4 5 6 7 8 9 0 }
[3]
쿄토-하버드(kyoto-harvard) 입력방식 참고
[4]
쿄토-하버드(kyoto-harvard) 입력방식 참고
[5]
Kyoto-Harvard 로만표기방식
[6]
\[2강\] 데바나가리의 자음 | 인도의 문자 : 데바나가리 | 온라인 히말라야 인문강좌 한국외대 인도연구소 HK+사업단
#
[7]
UBC Sanskrit: Devanāgarī Transliteration
#
[8]
제5회 시민강좌(류현정 선생_초보자를 Sanskrit 제3강
#
[9]
\[쾰른 대학교\]모니어-윌리엄스 산스크리트-영어 사전
#
[10]
\[스타스21\]세계 언어 번역및 사전 > 힌디어 > 자판 입력 > 힌디어
#
[11]
\[losderi.com\] 가상 데바 나가리 키보드 온라인
#
[12]
Devanagari-Hindi-Language-in-pdfLatex\[github\] ,GussailRaat (파이썬3 프로그램)
#
[13]
\[stackoverflow\] How to type Devanagari using LaTeX ?
#
[14]
(The devnag package , 1991 by Frans Velthuis for the University of roningen, The Netherlands)Devanagari for TEX Version 2.17.1 Anshuman Pandey , 6 March 2019
https://mirror.kakao.com/CTAN/language/devanagari/velthuis/doc/manual.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