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25 01:48:17

다고를라드 평원의 전투

레젠다리움의 역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보기 · 닫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아이눌린달레
발라들의 시대 등불의 시대 아르다 최초의 전쟁
나무의 시대 쿠이비에냐르나 | 권능들의 전쟁 | 대여정 | 벨레리안드의 첫 전투 | 놀도르의 망명 ( 페아노르의 맹세 | 만도스의 저주) | 제1차 동족살상 | 다고르 누인길리아스
태양의 시대 태양의 제1시대 다고르 아글라레브 | 다고르 브라골라크 | 니르나에스 아르노에디아드 | 제2차 동족살상 | 곤돌린의 몰락 | 제3차 동족살상 | 분노의 전쟁
제2시대 요정-사우론 전쟁 ( 과슬로 강의 전투) | 세상의 개변 | 최후의 동맹 전쟁 ( 다고를라드 평원의 전투)
제3시대 앙마르 전쟁 ( 포르노스트 전투) | 친족분쟁 | 대역병 | 전차몰이족 전쟁 | 에오를의 맹세 | 난쟁이와 오르크의 전쟁 ( 아자눌비자르 전투) | 다섯 군대 전투 | 엘론드 회의 | 반지전쟁 ( 오스길리아스 전투 | 아이센 여울목 전투 | 나무 밑의 전투 | 나팔산성 전투 | 아이센가드 전투 | 너른골 전투 | 펠렌노르 평원의 전투 | 모란논 전투 | 강변마을 전투)
제4시대 이후 다고르 다고라스 }}}}}}}}}

<colbgcolor=#556B2F><colcolor=#fff> 레젠다리움의 전쟁
다고를라드 평원의 전투
Battle of the Dagorlad
최후의 동맹 전쟁의 일부
<nopad> 파일:Battle of the Dagorlad.jpg
시기
S.A. 3434
장소
다고를라드 평원
교전세력 요정과 인간의 마지막 동맹 사우론 세력
교전국 파일:곤도르 국기.svg 곤도르
아르노르
린돈
린도리난드
초록숲
크하잣둠
독수리
파일:LorenzoCB_-_Eye_of_Sauron_device.png 모르도르
칸드
하라드
지휘관 길갈라드[1]
엘렌딜[2]
이실두르
키르단
엘론드[3]
아나리온
오로페르[4]
암디르[5]
두린 4세[6]
사우론
마술사왕
카물
나즈굴
병력 인간 군대 10만 명
요정 군대 10만 명
난쟁이 군대 5만 명
오르크 30만 명
와르그 1만 명
트롤 1,000 명
기타 인간 군대 900 명
피해 3만 명 20만 명 이상
결과 연합군의 승리
영향 사우론의 일시적인 무력화
절대반지 파괴 실패

1. 개요2. 전개3. 바랏두르 공성전4. 전투의 결과

[clearfix]

1. 개요

파일:battle_of_dagorlad.png

최후의 동맹 전쟁 당시 최대 규모의 격전이다.

2. 전개

요정과 인간의 마지막 동맹의 목표는 아주 단순했다, 그 사우론을 정공법으로 물리치는 것. 반지전쟁의 주 무대인 제3시대 기준으로는 사우론을 어떻게 정공법으로 이기려 했는지 상식적으로 이해가 안 간다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적어도 한 시대 이전의 두네다인 요정의 국력은 거대한 전쟁을 치를 능력이 되었다. 게다가 그 시대 누메노르인들은 자신들의 이전 왕이었던 아르파라존이 사우론을 직접 누메노르로 끌고 갔던 역사를 기억하고 있었을 것이다. 가운데땅에서 가장 강대한 국가였던 누메노르에 비하면 아르노르 곤도르는 경제와 군사력 등에서 매우 뒤처졌으나, 그들에게 주어진 축복이 완전히 쇠퇴하진 않았다. 그러니 이제 막 돌아왔을 터인 사우론이 쉬게 할 틈을 주지 말고 정공법으로 박살내자는 전략도 충분히 타당한 것이었다.

대군은 모란논 앞에 펼쳐진 광활한 평야인 다고를라드까지 진군해 평원에서 살짝 솟아오른 언덕에 진을 쳤다. 이에 사우론은 적들의 수보다 더 많은 군대를 보내 대적하게 하였다. 하늘을 뒤덮는 화살의 비에 이어 사우론의 군대와 인간ㅡ요정 연합군은 다고를라드에서 전면전을 치렀다. 단순히 머릿수에서 불리하게 보였던 연합군이 적절한 전술과 병기를 적재적소에 사용하여 사우론의 군대를 격파하였으며 후대의 반지전쟁 시기와는 달리 누메노르에서 겨우 생환한 직후, 얼마 안 되어 숨 돌릴 틈이 없었던 사우론에 비해 높은 인구와 비옥한 토지, 탄탄한 경제력을 바탕으로 세력을 유지하고 있던 요정들, 에리아도르 중북부와 남쪽의 주요 거점을 바탕으로 세워진 왕국을 통해 국력을 형성하고 있던 인간 군대는 결정적으로 확실한 구심점이 있었다. 수는 매우 많았으나 반대로 이들의 선전을 예상하지 못한 사우론 측은 일방적으로 밀릴 수밖에 없었다.

3. 바랏두르 공성전

다고를라드 평원의 전투에서 승리한 연합군은 모란논을 넘어 진군하는데 성공했지만 모르도르 북쪽의 우둔 고원에서 벌어진 전투 도중 오로페르의 독단으로 발생한 전술적 실책으로 인하여 서로의 왕을 잃고 다수의 병력 손실을 입은 초록숲 린도리난드 군은 길갈라드에 의해 다시 재편성 되었다. 특히 이로 인한 큰 전략적 손실은 당장 메꾸기 어려웠다. 모란논 바랏두르 사이의 고르고로스 고원에서도 계속해서 병력을 손실하였으며 연합군은 초기에 세웠던 계획과 달리 바랏두르를 공격할 여력을 충분히 가지지 못했다. 다행스럽게도 아나리온이 이끄는 곤도르군의 증원에 힘입어 대군은 모르도르의 심장부인 바랏두르를 포위, 압박하기 시작했다.
<nopad> 파일:사우론 학살.gif
바랏두르 공성전은 7년간 지속되었다. 6년째인 3440년, 엘렌딜의 차남인 아나리온이 투석에 머리를 맞아 전사했다. 7년째 되는 해에 사우론은 휘하 군대의 전력을 모두 소모했는지 이 포위를 풀기 위해서는 자신이 직접 싸워야한다고 판단하여 직접 전장에 나섰다. 강철로 만들어진 관을 쓴 거대한 거인의 모습으로, 한손에는 절대반지를 손에 낀 사우론은 수많은 인간과 요정을 도륙했으며, 길갈라드와 엘렌딜과 운명의 산 기슭에서 맞선다.

비록 강대한 마이아인 사우론이었지만 길갈라드와 엘렌딜이 2:1로 싸움을 맞이해 둘 다 전사하지만 사우론과 공멸하는데 성공해 이실두르가 엘렌딜의 유해와, 마지막 일격을 가하고 쓰러진 사우론의 육체에 깔려 부러진 나르실, 그리고 절대 반지를 수습했다.
<nopad> 파일:절대반지 실종.gif
실사 영화 버전에서는 엘렌딜이 사우론의 철퇴 한 방에 날아가고 이실두르의 나르실도 밟아서 부러트리는데, 이실두르가 부러진 나르실을 쥐고도 필사적으로 사우론을 향해 휘둘러 마침 손을 뻗고 있었던 그의 손가락을 자르게 된다. 여담이지만 이때 사우론이 철퇴로 찍어버렸으면 가운데땅은 암흑에 잠겼을 것이다. #

반지를 낀 손가락이 잘려나가 힘의 유지력을 상실한 사우론의 물리적인 몸은 완전히 붕괴되었으며 바랏두르 탑은 무너졌다.[7] 이것은 사우론이 그의 권능과 마법 전체를 반지 속에 우겨넣었기 때문이며 그를 지탱하는 동력을 잃어버린 사우론은 형체없는 영이 되어 떠돌게 된 것이다. 누메노르의 멸망에서 반지 덕분에 살아돌아온 게 불과 몇년 전이란 것을 잘 생각해보면 바랏두르 탑 또한 반지의 힘을 토대로 세워진 것이다. 엘론드 키르단은 이실두르를 이끌고 운명의 산 심장부로 가 반지를 파괴하도록 설득하지만 이실두르는 아버지와 동생의 희생에 대한 대가로 반지를 자신의 것이라 선언하였다. 이미 반지가 그를 조종하여 자신을 파괴하지 못하도록 한 것이다. 이것이 무서운 대목인데 사우론에 홀린 아르파라존의 금기를 깨고 백색나무의 열매를 훔쳐온 것이 그였고, 이후에도 매우 용맹하고 뛰어난 재능을 가진 영웅이었는데도 반지의 힘에 이리 간단히 굴복하게 된 것이다.

그는 전쟁이 끝난 후 곤도르의 미나스 아노르에 머물며 동생 아나리온의 동생인 메넬딜의 후계자 교육을 하고는 자신에게 계승될 아버지의 왕좌를 물려받기 위해 북쪽으로 향한다. 그러기 전에 그는 미나스 아노르에서 반지에 대해 서술한 기록을 남기는데 반지소유자들이 흔히 하는 변명인 "이것은 나에게 주어진 선물"이라는 말을 하면서도, 반지에 새겨진 읽을 수 없는 글씨가 점차 사라졌고 오직 불 속에서만 그 형체를 드러내며 불 속에서도 오히려 차가운 느낌을 갖는다고 기록해 두었다. 나중에 간달프가 그 기록을 토대로 빌보 프로도의 반지가 이 반지임을 확신하게 된다. 반지 최후의 발악은 욕심이 있든 없든 정신력이 강하든 약하든 그냥 무조건 저항할 수 없다고 하니 그를 탓할 수는 없는 일이다. 톨킨의 투영자 톰 봄바딜처럼 반지를 흘려도 모를 정도로 강고하고 무심한 존재인 게 아니고서야 그 간달프도 저항할 수 없다 했으니...

4. 전투의 결과

이때 죽은 인간, 요정, 오르크의 수가 얼마나 많았는지 다고를라드 평원의 일부가 시체들이 썩은 물로 그대로 늪지대가 되었고, 곧 죽음늪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3천년이 지나도록 아직도 썩지 않은 채 형상을 유지하고 있는 시체가 흔하게 보이고 이 시체와 눈을 마주치면 홀려서 늪에 빠져 그 일부가 된다는 음습한 전설이 전해져올 정도다.


[1] 놀도르의 요정 대왕. [2] 곤도르의 왕. [3] 당시 키르단의 전령이었다. [4] 초록숲의 요정왕. [5] 린도리난드의 요정왕. [6] 크하잣둠의 난쟁이 군주. [7] 하지만 반지가 남아있었기 때문에 그 토대는 존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