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30 12:59:45

누룩


1. 개요2. 한국의 누룩
2.1. 한국의 산곡(흩임누룩)2.2. 한국의 병곡(막누룩)
3. 일본의 누룩
3.1. 일본의 입국(흩임누룩)3.2. 일본의 병곡
4. 중국의 누룩
4.1. 중국의 병국4.2. 중국의 산국
5. 이스라엘의 누룩

1. 개요

을 만드는 효소를 갖고 있는 곰팡이 곡류에 번식시킨 것을 말한다. 술을 빚는 데 쓰는 발효제로, 이나 찐 등 곡류를 띄워 누룩곰팡이를 번식시켜 만든다. 일반적으로는 밀을 이용하나, , 녹두, 보리 등 다른 곡물을 이용하는 경우도 많다.

2. 한국의 누룩

🌾 한국의 전통주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탁주(濁酒) <colbgcolor=#fff,#191919> 막걸리 · 이화주 · 모주 · 감향주 · 감주 · 사절주 · 하절주
청주(淸酒) <colcolor=#C77D26> 순곡 순곡청주
첨가 약주 ( 약용약주 · 가향주 · 과실주)
기타 동동주 · 신도주
소주(燒酒) 순곡 순곡소주 ( 쌀소주 · 보리소주 · 수수소주 · 밀소주 · 옥수수소주 · 좁쌀소주 · 고구마소주 · 메밀소주)
첨가 약소주 ( 담금주)
혼양주(混釀酒) 과하주 · 합주 · 혼돈주
지역별 강원도 · 경기도 · 경상도 · 전라도 · 제주도 · 충청도 · 평안도 · 함경도 · 황해도
관련용어 누룩 · 고두밥 · 곡차
같이 보기: 한국의 술 }}}}}}}}}

한국은 이미 삼국시대 이전부터 누룩을 만들고 이를 발효제로 하여 술을 빚었으며, 다양한 곡물을 이용하여 누룩으로 만들고 술을 빚었다. 함경도 지역에서는 귀리, 겉보리, 피 등에 술지게미를 섞어 찐 것을 누룩의 원료로 이용해왔다.

만드는 시기에 따라서는 봄(1~3월)에 만들면 춘곡이라고 불렀고, 여름(4~6월)에 만들면 하곡, 가을(7~9월)에 만들면 추곡 또는 절곡, 겨울(10~12월)에 만들면 동곡이라고 불렀으며 형태에 따라서 원료를 가루내어 일정한 형태로 뭉쳐서 만든 것이면 병곡, 낱알이나 곡분으로 만들면 산곡(흩임누룩)으로 불렀다.

한국에서 흩임누룩의 경우 당화력과 효모가 적어 주류에서 밀려 났다.

2.1. 한국의 산곡(흩임누룩)

2.2. 한국의 병곡(막누룩)

3. 일본의 누룩

일본의 《 고사기(古事記)》에는 백제에서 인번 수수보리라는 사람이 와서 누룩을 써서 술을 빚은 신법을 가르치고 그는 일본의 주신이 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3.1. 일본의 입국(흩임누룩)

흩임누룩, 입국(바라코지)이라고도 한다. 찐 쌀()에 배양한 누룩곰팡이를 뿌려 만든다. 일본주 소주, 된장, 간장 등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현재 일본에서 사용되는 입국은 전통누룩이라기보단 현대화된 누룩이라고 볼 수 있다. 애초에 흩임누룩 같은 경우 중국에서부터 시작되어 동아시아 전반에서 두루 사용되던 방법 중 하나 였으나, 낮은 당화력과 적은 효모로 인하여 비주류로 밀려 났었다.

다만, 일본의 경우 습한 기후 때문에 흩임누룩을 사용하였고, 1980년경 일본 전통주 붐이 일어남과 함께 전통주 복원을 하였고, 누룩 또한 현대화시켰다.

현재 일본의 입국인 흩임누룩은 한 종류의 누룩곰팡이를 따로 배양하여 만든다. 따라서 효모가 부족하여, 사케 제조 중에 따로 효모를 넣어주어야 한다.

3.2. 일본의 병곡

떡 누룩이라고도 한다. 익히지 않거나 익힌 곡물을 분쇄하고 물로 반죽하여 굳힌 후 곰팡이를 번식시며 만든다. 한국, 중국 등 일본 외의 동아시아의 술은 떡 누룩을 이용해 만드는 것이 많다.

4. 중국의 누룩

중국 기록에 의하면 술을 만들 때 국얼을 쓴다 하였는데, 국은 곰팡이균사에 덮여 썩은 것으로 누룩을 지칭하고, 얼은 보리를 침지하여 싹을 나게 하는 맥아를 가리킨다.

동아시아의 누룩에 의한 술 역사는 중국에서 비롯되었다고도 볼 수 있다. 누룩은 크게 나뉘어 막누룩과 흩임누룩으로 나뉘는데, 이를 병국과 산국이라고 한다. 병국은 중국 화북지방에서 주로 사용되었고, 중국의 남부에서는 쌀로써 산국을 주로 만들었다.

이는 화북지방의 경우 밀 생산이 많았고, 중국의 남부지방은 덥고 습하며 당시 개발도 덜 되었었고 쌀이 주로 재배되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4.1. 중국의 병국

중국의 병국은 분국과 신국으로 나눌 수 있다.

4.2. 중국의 산국

중국의 산국은 황의와 황증으로 나눌 수 있다.

5. 이스라엘의 누룩

유대교에서는 출애굽기 하느님 유월절에 일주일 동안 누룩을 넣은 빵을 먹지 말라 명령하는 구절이 있다. 딱딱하고 맛없는 발효되지 않은 빵을 일부러 먹으며 이집트에서 노예로 있으며 당한 고난을 기억하고 잊지 말라는 것. 이 누룩은 히브리어 '하메츠'의 번역인데, 하메츠는 곡물을 물에 섞어서 효모를 번식시켜 빵을 부풀릴 때 쓰는 것으로 누룩과는 생물종이나 용도가 조금 다르지만 곡물로 만든 발효제라는 점에서는 일치하므로 이렇게 번역한 것 같다.
[1] 결과물이 산곡이지 처음 누룩을 디딜 때는 병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