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9 16:35:12

글렌 밴허크

파일:미합중국 북부사령부 휘장.svg
미합중국 북부사령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공군

Ralph E. Eberhart
해군

티모시 키팅
공군

빅터 레누아트
해군

제임스 윈펠드
<rowcolor=#fff>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육군

Charles H. Jacoby Jr.
해군

윌리엄 가트니
공군

로리 로빈슨
공군

Terrence J. O'Shaughnessy
<rowcolor=#fff> 제9대 제10대
공군

글렌 밴허크
공군

그레고리 기요
}}}}}}}}}
<colbgcolor=#2a2980><colcolor=#fff> 미합중국 제9대 북부사령관
글렌 밴허크
Glen VanHerck
파일:Gen_Glen_D._VanHerck.jpg
본명 글렌 데이비드 벤허크
Glen David VanHerck
출생 1962년 10월 20일 ([age(1962-10-20)]세)
켄터키 머레이
재임기간 제9대 북부사령관
제26대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관
2020년 8월 20일 ~ 2024년 2월 5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2a2980><colcolor=#fff> 학력 미주리 대학교 (자유전공 / 학사)
복무 미합중국 공군
1987년 ~ 2024년
최종 계급 대장 (미합중국 공군)
주요 보직 공군전투센터장
제509폭격비행단장
제7폭격비행단장
제71작전전대장
주요 서훈 국방공로훈장
국방우수근무훈장
공군공로훈장
}}}}}}}}}

1. 개요2. 커리어3. 계급 경력4. 여담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미국 군인.

2. 커리어

1962년 10월 20일 켄터키 주 머레이에서 태어나 미주리 주 비스마르크에서 자랐다. 1987년 미주리 대학교에서 자유 전공으로 학사 학위를 따고 ROTC 과정을 거쳐 가데나 공군기지에서 F-15C 조종사로 군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제94전투비행대대, 공군화기학교에서 F-15 파일럿으로 근무하던 중 제325폭격비행대대 작전장교를 맡은 것을 시작으로 공군전투사령부 내의 B-2 프로그램 사무실에서 근무한 뒤 B-2로 기종전환을 했다. 이후 제325폭격비행대대장과 제509작전전대 부전대장을 지낸 뒤 이번에는 T-6 교관 교육을 받고 제71작전전대장과 제71훈련비행단 부단장을 지냈다. 이후 공군지구권타격사령부에서 근무하다가 제7폭격비행단장을 지냈고, 임기 중에 준장으로 진급했다.

이후 제509폭격비행단장으로 전임되었고[1], 공군지구권타격사령부 작전참모부장을 지낸 뒤 소장으로 진급해 공군전투센터장, 합동참모본부 전략기획·정책본부 차장, 합동참모본부 부본부장을 지냈고, 부본부장을 지내던 도중 본부장 마이클 길데이 해군 중장이 대장으로 진급하자 본부장 대리를 맡았다. 이후 중장으로 진급해 합동참모본부장[2]으로 임명되었으며, 2020년 8월 대장으로 진급해 북부사령관 겸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관에 임명되었다.

2024년 2월, 후임으로 그레고리 기요 장군이 임명되면서 전역하였다.

3. 계급 경력

4. 여담

  • 한 심포지움에서 북한이 2020년 10월 열병식에서 공개한 KN-28이 'significantly long range'를 가졌다고 발언하여, 화성-17이 KN-28임을 간접 언급했다. # #

5. 둘러보기

파일: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 로고.svg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공군

얼 E. 파트리지
공군

로렌스 S. 커터
공군

John K. Gerhart
공군

Dean C. Strother
공군

Raymond J. Reeves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공군

Seth J. McKee
공군

루시어스 클레이 주니어
공군

대니얼 제임스 주니어
공군

James E. Hill
공군

James V. Hartinger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공군

로버트 헤레스
공군

John L. Piotrowski
공군

도널드 쿠티나
공군

Charles A. Horner
공군

Joseph W. Ashy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공군

Howell M. Estes III
공군

Richard B. Myers
공군

Ralph E. Eberhart
해군

티모시 키팅
공군

Victor E. Renuart Jr.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제25대
해군

제임스 윈펠드
육군

Charles H. Jacoby Jr.
해군

윌리엄 가트니
공군

로리 로빈슨
공군

Terrence J. O'Shaughnessy
제26대 제27대
공군

글렌 밴허크
공군

그레고리 기요
}}}}}}}}}

파일:미합중국 합동참모본부.png
미합중국 합동참모장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육군

알프레드 그루엔터
해군

Arthur C. Davis
공군

Charles P. Cabell
공군

Frank F. Everest
육군

Lemuel Mathewson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해군

Bernard L. Austin
공군

Oliver S. Picher
육군

얼 휠러
해군

Herbert D. Riley
공군

David A. Burchinal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육군

앤드류 굿파스터
육군

Berton E. Spivy
해군

Nels C. Johnson
공군

존 W. 보트
육군

George M. Seignious II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해군

Harry D. Train II
공군

Ray B. Sitton
해군

Patrick J. Hannifin
육군

John A. Wickham Jr.
해군

C. Thor Hanson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제25대
공군

James E. Dalton
육군

Jack N. Merritt
해군

Powell F. Carter Jr.
육군

Robert W. RisCassi
공군

Hansford T. Johnson
제26대 제27대 제28대 제29대 제30대
공군

Michael P.C. Carns
공군

Henry Viccellio Jr.
해군

리처드 매크
공군

Walter Kross
해군

Dennis C. Blair
제31대 제32대 제33대 제34대 제35대
해군

Vern Clark
해병대

Carlton W. Fulford Jr.
해군

Scott Fry
육군

존 아비자이드
육군

George W. Casey Jr.
제36대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해군

티모시 키팅
공군

노턴 슈워츠
육군

월터 L. 샤프
육군

스탠리 매크리스털
육군

로이드 오스틴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제45대
해군

윌리엄 가트니
육군

커티스 스캐퍼로티
공군

데이비드 골드파인
육군

William C. Mayville Jr.
해병대

케네스 매켄지
제46대 제47대 제48대 제49대 제50대
해군

마이클 길데이
공군

글렌 밴허크
육군

Andrew P. Poppas
육군

제임스 밍거스
육군

Douglas A. Sims II
}}}}}}}}}



[1] 후임 509폭격비행단장이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 당시 제509혼성비행단장이었던 폴 티비츠 2세의 손자인 폴 티비츠 4세다. [2] 합참 내에서는 합참의장, 합참차장 다음의 No.3 포지션으로 각 본부장들을 조율하는 참모장 역할을 한다. 미군 중장 보직 중 최고의 요직으로 대장(진)이라고 생각하면 되며, 1947년 이후 재임한 47명의 본부장 중 37명이 대장 진급에 성공했다. 심지어 2000년대 이후 재임한 16명의 본부장 중 대장 진급에 실패한 본부장은 단 두 명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