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8 17:13:35

광주시 을

광주을에서 넘어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광주시/정치
,
,
,
,
,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제22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수원 갑 수원 을 수원 병 수원 정
김승원 백혜련 김영진 김준혁
수원 무
염태영 김태년 이수진 안철수
김은혜 박지혜 이재강 강득구
부천 갑 부천 을
민병덕 이재정 서영석 김기표
부천 병 광명 갑 광명 을 평택 갑
이건태 임오경 김남희 홍기원
평택 을 평택 병
이병진 김현정 정성호 김성원
고양 갑
양문석 김현 박해철 김성회
고양 을 고양 병 고양 정
한준호 이기헌 김영환 이소영
구리
윤호중 최민희 김병주 김용민
오산 시흥 갑 시흥 을 군포
차지호 문정복 조정식 이학영
하남 갑 하남 을 용인 갑 용인 을
추미애 김용만 이상식 손명수
용인 병 용인 정 파주 갑 파주 을
부승찬 이언주 윤후덕 박정
이천 안성 김포 갑 김포 을
송석준 윤종군 김주영 박상혁
화성 갑 화성 을 화성 병 화성 정
송옥주 이준석 권칠승 전용기
광주 갑 광주 을
소병훈 안태준 김용태 김선교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국회 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580009>
광주시 을
오포동, 초월읍, 도척면 등
廣州市 乙
Gwangju B
}}}
파일:국회선거구 광주시 을.svg
<colbgcolor=#580009><colcolor=#fff> 선거인 수 170,215명 (2024)
상위 행정구역 경기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광주시 일부
오포1동, 오포2동, 신현동, 능평동, 초월읍, 곤지암읍, 도척면
신설년도 2016년
이전 선거구 광주시
국회의원
안태준

1. 개요2. 분석3.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clearfix]

1. 개요

경기도 광주시 선거구. 20대 총선 때 광주시의 인구가 늘어나면서 갑/을로 분할되었다. 현 지역의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소속 안태준 의원이다.

2. 분석

2022년 9월 이전까지는 모두 읍면으로만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1] 동 지역이 포함된 갑 선거구보다 민주당 지지세가 더 강한 선거구였다. 보수정당 당선자들도 제법 있었지만, 내막을 보면 후보 분열로 인한 어부지리를 본 경우가 많았다.

이런 진보세는 21세기 들어 오포, 초월읍에 아파트 및 원룸 단지가 늘어나면서 청장년층 인구가 증가한 것이 한 요인이다. 특히 오포읍이 성남시 분당 지역 옆인지라, 분당, 판교, 강남 출퇴근을 하면서 저렴한 집을 찾으려고 오는 젊은 외지인들이 많은 편이다.

다만 광주시 갑 선거구보단 상대적으로 점점 보수화되는 경향은 있는데, 이는 초월읍 곤지암읍, 도척면이 고령화되어가고 있고, 오포도 부동산 이슈가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물론 그럼에도 구도상 절대치로는 여전히 민주당 세가 더 강한 선거구긴 하다.

또 고산지구에 들어서는 아파트들은 한동안 인구유입을 가속화 시킬 것이다. 대부분의 신축 아파트들은 진보 성향을 보인다는 점에서 보수세가 강화된다고만 볼 수는 없다는 의견도 있다.

3.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rowcolor=#fff> 총선 당선인 당적 임기 선거구
제13대 유기준

[[통일민주당|
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광주군
제14대 정영훈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하남시·광주군
제15대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제16대 박혁규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광주군
제17대

2004년 5월 30일 ~ 2005년 9월 9일 광주시
정진섭 2005년 10월 27일 ~ 2008년 5월 29일
제18대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제19대 노철래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제20대 임종성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광주시 을
제21대 2020년 5월 30일 ~ 2024년 2월 8일[2]
제22대 안태준
2024년 5월 30일 ~

3.1.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광주시 을
오포읍, 초월읍, 곤지암읍, 도척면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노철래(盧喆來) 28,946 2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43.81% 낙선
2 임종성(林鍾聲) 37,119 1위

56.18% 당선
선거인 수 129,583 투표율
52.0%
투표 수 67,354
무효표 수 1,289

3.2.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광주시 을
오포읍, 초월읍, 곤지암읍, 도척면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임종성(林鍾聲) 52,468 1위

56.88% 당선
2 이종구(李鍾九) 38,910 2위


[[미래통합당|
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
42.18% 낙선
7 한옥현(韓玉炫) 864 3위


[[국가혁명배당금당|
파일:국가혁명배당금당 흰색 로고타입.svg
]]
0.93% 낙선
선거인 수 155,614 투표율
59.9%
투표 수 93,174
무효표 수 932
||<-5><tablealign=center><bgcolor=#004ea2><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4ea2> 21대 총선 경기 광주시 을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더불어민주당 미래통합당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임종성 이종구
득표수
(득표율)
52,468
(56.88%)
38,910
(42.18%)
+13,558
(△14.70)
93,174
(59.87%)
오포읍 57.80% 41.40% △16.40 54.94
초월읍 55.47% 43.55% △11.92 58.28
곤지암읍 49.35% 49.58% ▼0.23 56.82
도척면 46.10% 52.73% ▼6.62 59.72
후보 임종성 이종구 격차
거소·선상투표 60.97% 34.63% △26.34
관외사전투표 65.61% 33.23% △32.38
재외투표 71.31% 28.68% △42.62
더불어민주당에선 현역 국회의원인 임종성이 재선을 노리고 출마해 무난히 공천을 받았다.

미래통합당에서는 강남구 갑 지역의 의원이던 이종구가 공천을 받아 출마했다.[3] 당시 당내에서 정치 신인들을 당선권에 배치하기 위해 비례대표로 이동시키거나 강남권에 공천시키고, 기존 지역구 의원들을 험지로 차출했기 때문에 이종구 또한 그 일환에서 옮긴 것이다. 이종구와 광주시와의 인연은 그가 광주 이씨인 것 단 하나밖에 없었다.

선거 결과 임종성 의원이 약 14%p 차로 낙승하면서 재선에 성공하였다.

세부적으로 결과를 살펴보면 임종성 후보는 오포읍, 초월읍에서 승리하였고, 이종구 후보는 곤지암읍(25표차), 도척면에서 승리하여 이긴 지역 수는 같았으나 오포읍과 초월읍의 인구 수가 워낙 많다 보니 임종성 후보가 표차를 많이 벌렸고, 관외사전투표에서 이종구 후보를 더블 스코어 가까이 이기면서 여유 있게 승리할 수 있었다.

3.3.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광주시 을
오포1동, 오포2동, 능평동, 신현동,
초월읍, 곤지암읍, 도척면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안태준(安泰俊) 57,935 1위

55.06% 당선
2 황명주(黃明柱) 47,275 2위


44.93% 낙선
선거인 수 170,215 투표율
62.49%
투표 수 106,373
무효표 수 1,163
||<-6><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bgcolor=#152484><tablebordercolor=#152484> 22대 총선 경기 광주시 을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안태준 황명주
득표수
(득표율)
57,935
(55.06%)
47,275
(44.93%)
+10,660
(10.13%)
106,373
(62.49%)
오포1동 55.97% 44.03% △11.94 61.12
오포2동 58.08% 41.92% △16.16 58.76
신현동 54.61% 45.39% △9.22 54.63
능평동 55.46% 44.54% △10.92 59.15
초월읍 54.69% 45.31% △9.38 59.58
곤지암읍 46.05% 53.95% ▼7.90 59.52
도척면 45.74% 54.26% ▼8.52 60.69
후보 안태준 황명주 격차
거소·선상투표 43.43% 54.04% ▼10.61
관외사전투표 60.89% 38.03% △22.86
재외투표 68.22% 31.20% △37.02
선거를 앞두고 인구가 많았던 오포읍 지역이 4개동(오포1동, 오포2동, 능평동, 신현동)으로 분동되었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친명계인 임종성 의원의 3선 도전이 예상되었으나, 이미 선거법 위반으로 의원직 상실형을 선고받아 출마가 상당히 불투명해졌는데, 결국 징역형으로 의원직을 최종 상실하기도 전에 불출마를 선언했다.

결국 전략경선지역으로 분류되어 안태준 전 경기주택도시공사 부사장, 신동헌 전 광주시장, 박덕동 전 도의원의 3자 경선이 실시될 예정이었으나 박덕동 예비후보가 안태준 예비후보를 지지하며 사퇴하였고, 최종적으로 안태준 예비후보가 승리해 공천을 받았다.

그 과정에서 문학진 전 의원이 경선에 참여하고자 하였으나 이재명 대표와의 통화 후 사퇴하며 물러나게 되었는데 이때 특정 후보 밀어주기용 설문조사 유도 의혹을 제기하면서 친명 공천 논란이 일기도 했다.

국민의힘에서는 황명주 전 광주시의원이 공천을 받았다.

선거 결과 안태준 전 부사장이 당선되었다. 민주당은 지난 선거처럼 곤지암읍과 도척면을 빼고 전 지역에서 승리했는데, 특히 신현동, 능평동은 '난개발'이라는 평가를 받을 정도로 신규 다세대주택이 계속하여 들어섰고, 오포1동은 '더샵오포 센트럴포레', '오포자이디오브' 등 신규 아파트가 꾸준히 공급되면서 인구가 지속적으로 유입되고 있는만큼 민주당에게 더욱 유리한 선거 환경이 조성되면서 승리했다는 평가가 많다.

[1] 2022년 9월부터 구 오포읍이 4개의 동으로 분동되었다. [2]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의원직 상실. [3] 강남구 갑 지역은 태영호가 당시 '태구민'이라는 이름으로 출마했다. 개명 과정이 어렵기 때문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