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ef4123>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자치구 | ||||
동구 |
남구 |
북구 |
광산구 |
}}}}}}}}}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0a651>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행정동 | 법정동 | |||||||||||
<colbgcolor=#ed1c24> 중앙동 | 누문동 | 북동 | 유동 | 중흥동 | |||||||||
임동 | 임동 | ||||||||||||
중흥동 | 중흥동 | ||||||||||||
신안동 | 신안동 | ||||||||||||
용봉동 |
구청
용봉동
|
||||||||||||
우산동 | 우산동 | ||||||||||||
풍향동 | 풍향동 | ||||||||||||
문화동 | {{{#!wiki style="margin: -16px -11px -5px;" | }}} 문흥동 | |||||||||||
문흥1, 2동 | |||||||||||||
두암1, 2동 | 두암동 {{{#!wiki style="margin: -5px -11px -16px;" |
풍향동
|
}}} | ||||||||||
두암3동 | |||||||||||||
삼각동 | 삼각동 | ||||||||||||
매곡동 | 매곡동 | ||||||||||||
오치1, 2동 | 오치동 | ||||||||||||
운암1~3동 | 운암동 | ||||||||||||
동림동 | 동림동 | ||||||||||||
석곡동 | 금곡동 | 덕의동 | 망월동 | 운정동 | |||||||||
장등동 | 청풍동 | 충효동 | 화암동 | ||||||||||
일곡동 | 일곡동 | ||||||||||||
건국동 | 대촌동 | 본촌동 | 생용동 | 수곡동 | |||||||||
오룡동 | 용강동 | 용두동 | 용전동 | ||||||||||
월출동 | 지야동 | 태령동 | 효령동 | ||||||||||
양산동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양산동 | 연제동 | 일곡동 | }}} | ||||||||
신용동 | 신용동 |
광주광역시의
자치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
북구
北區 Buk-gu |
}}} | |||
<colbgcolor=#00a651><colcolor=#fff> 구청 소재지 | 우치로 77 ( 용봉동) | |||||
광역자치단체 | 광주광역시 | |||||
하위 행정구역 | 28 동[1] | |||||
면적 | 120.26㎢ | |||||
인구 | 424,535명[2] | |||||
인구 밀도 | 3,530.14명/㎢[3] | |||||
구청장 |
|
문인 (재선) | ||||
구의회 |
|
18석[4] | ||||
|
1석[5] | |||||
|
1석[6] | |||||
시의원 |
|
5석[7] | ||||
|
1석[8] | |||||
국회 의원 |
<colbgcolor=#00a651><colcolor=#fff> 갑 |
|
정준호 (초선) | |||
을 |
|
전진숙 (초선) | ||||
상징 | 구화 | 느티나무 | ||||
구목 | 백일홍 | |||||
구조 | 비둘기 | |||||
지역번호 | 062 | |||||
홈페이지 | ||||||
SNS | | | |
[clearfix]
1. 개요
|
북구청 |
구정 슬로건 |
북구청 지하에 민방위 대피소가 있으니 알아두면 좋다.
2. 지역 특징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a651><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a651> | }}} |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colbgcolor=#00a651> 2 | <colbgcolor=#ffffff,#191919> 2순환로 | |
ㄱ | 경양로 · 경열로 · 구성로 · 군왕로 · 금남로 · 금재로 · 금호로 | ||
ㄷ | 도동로 · 독립로 · 동운로 · 대자로 · 대천로 | ||
ㅁ | 면앙로 · 무등로 · 문산로 · 문화소통로 · 민주로 | ||
ㅂ | 밤실로 · 북부순환로ᆞ 비엔날레로 | ||
ㅅ | 삼소로 · 삼정로 · 서강로 · 서방로 · 서림로 · 서양로 · 서하로 · 설죽로 · 송월로 · 송해로 | ||
ㅇ | 앰코로 · 연양로로 · 양산로 · 양산택지로 · 양일로 · 오문로 · 용봉로 · 용봉택지로 · 우치로 · 유림로 · 일곡마을로 · 일곡택지로 | ||
ㅈ | 자미로 · 자동차로 · 제봉로 · 중가로 · 중문로 | ||
ㅊ | 참판로 · 천지인로 · 천변우로 · 첨단과기로 · 첨단연신로 | ||
ㅍ | 평동로 · 평동산단1번로 · 평동산단2번로 · 평동산단3번로 · 평동산단5번좌로 · 평동산단5번우로 · 평동산단6번로 · 평동산단로 · 평동산단외로 · 평동옥동로 · 풍영로 · 풍영철길로 | ||
ㅎ | 하서로 · 하남진곡산단로 · 호동로 · 화운로 · 황계로 | ||
광주광역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 |
도심에서 비교적 가깝고 광주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답게 일찍부터 대단위 택지개발을 벌였다.[11] 1960년대 말, 태봉산을 없애버리고 개발한 저밀도 주택단지부터 1970년대 호남고속도로 건설과 함께 개발된 운암지구, 1990년대의 두암지구, 문흥지구, 일곡지구, 그리고 2000년대의 양산지구, 첨단2지구까지, 유명한 주거지구가 많다. 단 도심과 인접한 북동, 누문동, 유동, 임동, 중흥동 등은 도심공동화 현상을 겪고 있다.
덕분에 학교도 많은 편. 도심지의 광주제일고등학교부터 시작해서 여러 군데에 일반계 고등학교가 골고루 분포되어 있어서, 개발제한구역 거주 학생이 아니라면 통학 거리가 멀어지는 일은 별로 없다.[12] 또한 제31보병사단 사단 본부와 직할대가 있어 군용차나 군인들을 많이 볼 수 있다.[13]
또 남구와 함께 사립중학교와 사립고등학교가 많다. 고려중학교, 고려고등학교, 살레시오중학교, 살레시오고등학교[14], 서강중학교, 서강고등학교, 금호고등학교, 금호중앙여자고등학교, 광주경신여자고등학교, 국제고등학교, 광주숭일고등학교, 광주동신고등학교 등이 있으며 대한민국 최초로 주민참여예산 제도를 도입한 자치단체이기도 하다.
3. 인구
광주광역시 북구 인구 추이 (1980년~현재) |
1980년 4월 1일 광주시 동구 일부지역[15] + 광주시 서구 일부지역[16] → 광주시 북구 설치 |
1980년 223,894명
|
1985년 299,929명
|
1990년 353,063명
|
1995년 459,065명
|
2000년 477,962명
|
2005년 460,868명
|
2010년 466,866명
|
2015년 446,316명
|
2020년 430,431명
|
2024년 10월 424,797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0만 명 |
행정동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용봉동 37,161명
|
양산동 36,101명
|
|
신용동 28,968명
|
|
일곡동 28,260명
|
|
동림동 22,809명
|
|
문화동 22,806명
|
|
건국동 21,146명
|
|
운암1동 18,530명
|
|
우산동 15,713명
|
|
문흥1동 15,468명
|
|
두암2동 15,091명
|
|
문흥2동 14,799명
|
|
매곡동 13,317명
|
|
삼각동 13,314명
|
|
운암3동 13,269명
|
|
두암3동 12,434명
|
|
신안동 12,289명
|
|
오치2동 11,621명
|
|
운암2동 11,277명
|
|
오치1동 10,289명
|
|
임동 9,048명
|
|
중흥2동 8,334명
|
|
두암1동 7,248명
|
|
중흥3동 6,565명
|
|
풍향동 5,230명
|
|
중흥1동 4,450명
|
|
중앙동 3,817명
|
|
석곡동 2,329명
|
|
2023년 12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
1990년대에 두암지구, 문흥지구, 일곡지구가 개발되면서 인구가 폭증하였지만 2000년대 들어서는 48만명 정도를 최대로 한 이후 감소하고 있는데, 광주광역시의 주요 주거지역으로 광산구가 개발되기 시작한 시점과 일치한다. 현재 건국동 쪽으로 AI 융복합지구 개발이 예정되어 있으면서 동시에 그 주변으로 주거 구역 증설로 힐스테이트, 첨단제일풍경채, 소규모 공동주택단지, 소규모 단독주택단지가 들어설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인구감소 흐름을 바꿔볼 수 있는 가능성이 그나마 있다.
===# 행정동별 인구 #===
중흥1동 인구 추이 (1970년~현재) |
1970년 1월 1일 효죽동 → 중흥동, 효죽동, 풍향동 분동 |
1970년 14,672명
|
1975년 26,242명
|
1979년 1월 1일 중흥동 → 중흥1동, 중흥2동 분동 |
1980년 15,309명
|
1985년 15,307명
|
1990년 11,417명
|
1995년 8,205명
|
2000년 6,137명
|
2005년 5,305명
|
2010년 4,626명
|
2015년 3,916명
|
2020년 5,040명
|
2023년 12월 4,450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
중흥2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 |
1979년 1월 1일 중흥동 → 중흥1동, 중흥2동 분동 |
1980년 28,541명
|
1982년 9월 1일 중흥2동 → 중흥2동, 중흥3동 분동 |
1985년 18,393명
|
1990년 17,401명
|
1995년 16,333명
|
2000년 12,979명
|
2005년 11,448명
|
2010년 9,436명
|
2015년 8,699명
|
2020년 6,867명
|
2023년 12월 8,334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
중흥3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82년 9월 1일 중흥2동 → 중흥2동, 중흥3동 분동 |
1985년 17,168명
|
1990년 17,504명
|
1995년 12,693명
|
2000년 9,479명
|
2005년 8,242명
|
2010년 6,453명
|
2015년 5,814명
|
2020년 4,905명
|
2023년 12월 6,565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
중앙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22,266명(유루동 11,916명 + 북동 10,350명)
|
1970년 7월 1일 유루동 → 유동, 누문동 분동 |
1970년 21,978명(유동 9,768명 누문동 4,007명 + 북동 8,185명)
|
1975년 22,971명(유동 10,826명 누문동 4,266명 + 북동 7,879명)
|
1980년 18,856명(유동 9,276명 누문동 3,715명 + 북동 5,865명)
|
1985년 19,243명(유동 9,683명 누문동 3,463명 + 북동 6,097명)
|
1990년 12,553명(유동 6,224명 누문동 2,312명 + 북동 4,017명)
|
1995년 8,825명(유동 4,359명 누문동 1,549명 + 북동 2,917명)
|
1997년 3월 1일 유동 + 누문동 + 북동 → 중앙동 합동 |
2000년 5,334명
|
2005년 4,325명
|
2010년 4,406명
|
2015년 3,944명
|
2020년 3,273명
|
2023년 12월 3,817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
임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57년 12월 1일 임동(법정동) → 임동(행정동) |
1966년 11,686명
|
1970년 15,790명
|
1975년 17,831명
|
1980년 23,601명
|
1985년 24,756명
|
1990년 21,325명
|
1995년 15,464명
|
2000년 11,009명
|
2005년 8,993명
|
2010년 10,808명
|
2015년 10,010명
|
2020년 7,943명
|
2023년 12월 9,048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
신안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57년 12월 1일 신안동 + 용봉동 → 신용동 신설 |
1966년 6,971명
|
1970년 9,480명
|
1973년 7월 1일 신용동 → 태봉동 개칭 |
1975년 14,164명
|
1980년 27,579명
|
1983년 10월 1일 태봉동 → 신안동, 용봉동 분동 |
1985년 23,708명
|
1990년 23,770명
|
1995년 20,038명
|
2000년 15,877명
|
2005년 14,854명
|
2010년 12,499명
|
2015년 11,877명
|
2020년 11,842명
|
2023년 12월 12,289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
용봉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
1983년 10월 1일 태봉동 → 신안동, 용봉동 분동 |
1985년 14,177명
|
1990년 22,473명
|
1995년 34,164명
|
2000년 33,215명
|
2005년 41,581명
|
2010년 41,037명
|
2015년 39,368명
|
2020년 38,683명
|
2023년 12월 37,161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25만 명 |
운암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57년 12월 1일 동림동 + 운암동 → 동운동 신설 |
1966년 4,188명
|
1970년 4,850명
|
1975년 5,415명
|
1980년 25,476명
|
1982년 9월 1일 동운동 → 동운1동, 동운2동 분동 |
1985년 26,454명
|
1990년 33,337명
|
1993년 12월 1일 동운1동 → 동운1동, 동운3동 분동 |
1995년 21,529명
|
1997년 3월 1일 동운1동 → 운암1동 개칭 |
2000년 16,964명
|
2005년 8,097명
|
2010년 24,541명
|
2011년 10월 1일 동림동 일부 + 운암1동 일부 → 동천동 신설 및 서구 이관 |
2015년 20,743명
|
2020년 19,487명
|
2023년 12월 18,530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
운암2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
1982년 9월 1일 동운동 → 동운1동, 동운2동 분동 |
1985년 18,386명
|
1990년 23,902명
|
1995년 26,153명
|
1997년 3월 1일 동운2동 → 운암2동 개칭 |
2000년 21,561명
|
2005년 18,698명
|
2010년 15,754명
|
2015년 14,418명
|
2020년 12,410명
|
2023년 12월 11,277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0만 명 |
운암3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
1993년 12월 1일 동운1동 → 동운1동, 동운3동 분동 |
1995년 31,617명
|
1997년 3월 1일 동운3동 → 동림동, 운암3동 분동 |
2000년 21,230명
|
2005년 20,359명
|
2010년 19,211명
|
2015년 17,836명
|
2020년 13,180명
|
2023년 12월 13,269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
동림동 인구 추이 (2000년~현재) |
1997년 3월 1일 동운3동 → 동림동, 운암3동 분동 |
2000년 22,742명
|
2005년 23,072명
|
2008년 33,837명
|
2009년 36,378명
|
2010년 36,863명
|
2011년 10월 1일 동림동 일부 + 운암1동 일부 → 동천동 신설 및 서구 이관 |
2011년 22,638명
|
2012년 22,612명
|
2013년 22,502명
|
2014년 21,938명
|
2015년 21,734명
|
2016년 21,361명
|
2017년 21,171명
|
2018년 23,070명
|
2019년 22,890명
|
2020년 23,770명
|
2021년 23,375명
|
2022년 22,827명
|
2023년 12월 22,809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
우산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57년 12월 1일 중흥동 + 우산동 + 풍향동 → 효죽동 신설 |
1966년 18,143명
|
1970년
1월 1일 효죽동 → 중흥동, 효죽동, 풍향동 분동 1970년 7월 1일 효죽동 → 우산동 개칭 |
1970년 8,800명
|
1975년 11,931명
|
1980년 13,109명
|
1985년 20,438명
|
1990년 25,505명
|
1995년 28,115명
|
2000년 22,378명
|
2005년 18,909명
|
2010년 16,073명
|
2015년 13,922명
|
2020년 10,714명
|
2023년 12월 15,713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
풍향동 인구 추이 (1970년~현재) |
1970년 7월 1일 효죽동 → 중흥동, 우산동, 풍향동 분동 |
1970년 12,325명
|
1975년 22,359명
|
1979년 5월 1일 풍향동 → 풍향1동, 풍향2동 분동 |
1980년 23,779명(풍향1동 15,211명 + 풍향2동 8,568명)
|
1985년 24,849명(풍향1동 15,749명 + 풍향2동 9,100명)
|
1990년 20,355명(풍향1동 13,037명 + 풍향2동 7,318명)
|
1995년 15,303명(풍향1동 10,122명 + 풍향2동 5,181명)
|
1997년 3월 1일 풍향1동 + 풍향2동 → 풍향동 합동 |
2000년 10,463명
|
2005년 9,538명
|
2010년 7,753명
|
2015년 4,441명
|
2020년 6,017명
|
2023년 12월 5,230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
문화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57년 12월 1일 문흥동 + 각화동 + 두암동 → 문화동 신설 |
1966년 4,487명
|
1970년 6,686명
|
1975년 9,838명
|
1980년 15,475명
|
1985년 38,092명
|
1985년 11월 1일 문화동 → 문화동, 두암동 분동 |
1990년 30,241명
|
1995년 3월 1일 문화동 → 문화동, 문흥동 분동 |
1995년 22,603명
|
2000년 19,640명
|
2005년 18,961명
|
2010년 16,219명
|
2015년 14,622명
|
2020년 19,028명
|
2023년 12월 22,806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
문흥1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
1995년 3월 1일 문화동 → 문화동, 문흥동 분동 |
1995년 45,018명
|
1996년 1월 1일 문흥동 → 문흥1동, 문흥2동 분동 |
2000년 24,402명
|
2005년 23,008명
|
2010년 20,016명
|
2015년 18,553명
|
2020년 16,450명
|
2023년 12월 15,468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5만 명 |
문흥2동 인구 추이 (2000년~현재) |
1996년 1월 1일 문흥동 → 문흥1동, 문흥2동 분동 |
2000년 25,409명
|
2005년 23,345명
|
2008년 20,424명
|
2009년 19,855명
|
2010년 19,552명
|
2011년 19,349명
|
2012년 19,318명
|
2013년 19,001명
|
2014년 18,494명
|
2015년 18,256명
|
2016년 17,925명
|
2017년 17,478명
|
2018년 16,997명
|
2019년 16,671명
|
2020년 16,237명
|
2021년 15,707명
|
2022년 15,218명
|
2023년 12월 14,799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
두암1동 인구 추이 (1990년~현재) |
1985년
11월 1일 문화동 → 문화동, 두암동 분동 1989년 5월 15일 두암동 → 두암1동, 두암2동 분동 |
1990년 30,024명
|
1995년 3월 1일 두암1동 → 두암1동, 두암3동 분동 |
1995년 15,254명
|
2000년 12,235명
|
2005년 11,871명
|
2010년 9,722명
|
2015년 9,139명
|
2020년 7,961명
|
2023년 12월 7,248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
두암2동 인구 추이 (1990년~현재) |
1989년 5월 15일 두암동 → 두암1동, 두암2동 분동 |
1990년 22,531명
|
1995년 25,338명
|
2000년 26,140명
|
2005년 23,748명
|
2010년 20,276명
|
2015년 18,831명
|
2020년 16,456명
|
2023년 12월 15,091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
두암3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
1995년 3월 1일 두암1동 → 두암1동, 두암3동 분동 |
1995년 28,939명
|
2000년 24,833명
|
2005년 22,971명
|
2010년 19,839명
|
2015년 16,267명
|
2020년 13,908명
|
2023년 12월 12,434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
삼각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57년 12월 1일 삼각동 + 오치동 + 매곡동 → 서산동 신설 |
1966년 5,026명
|
1970년 5,744명
|
1975년 6,720명
|
1980년 9,454명
|
1985년 10월 1일 본촌동 일부(법정동 일곡동 일부) → 서산동 편입 |
1985년 11,649명
|
1990년 15,026명
|
1994년 7월 1일 서산동 → 서산동, 오치동 분동 |
1995년 19,530명
|
1997년 3월 1일 서산동 → 서산동, 매곡동 분동 |
2000년 44,415명
|
2003년 7월 7일 서산동 → 삼각동, 일곡동 분동 |
2005년 14,691명
|
2010년 13,362명
|
2015년 12,884명
|
2020년 14,390명
|
2023년 12월 13,314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5만 명 |
일곡동 인구 추이 (2005년~현재) |
2003년 7월 7일 서산동 → 삼각동, 일곡동 분동 |
2005년 35,731명
|
2008년 35,096명
|
2009년 34,786명
|
2010년 34,520명
|
2011년 34,285명
|
2012년 34,323명
|
2013년 34,136명
|
2014년 33,279명
|
2015년 33,186명
|
2016년 32,889명
|
2017년 32,340명
|
2018년 31,989명
|
2019년 31,274명
|
2020년 30,499명
|
2021년 29,944명
|
2022년 28,899명
|
2023년 12월 28,260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
매곡동 인구 추이 (2000년~현재) |
1996년 1월 1일 서산동 → 서산동, 매곡동 분동 |
2000년 12,019명
|
2005년 14,593명
|
2008년 16,112명
|
2009년 15,884명
|
2010년 15,846명
|
2011년 15,661명
|
2012년 15,442명
|
2013년 14,975명
|
2014년 15,252명
|
2015년 15,076명
|
2016년 14,914명
|
2017년 14,968명
|
2018년 14,807명
|
2019년 14,511명
|
2020년 14,126명
|
2021년 13,842명
|
2022년 13,544명
|
2023년 12월 13,317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
오치1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
1994년 7월 1일 서산동 → 서산동, 오치동 분동 |
1995년 34,597명
|
1997년 3월 1일 오치동 → 오치1동, 오치2동 분동 |
2000년 15,295명
|
2005년 14,305명
|
2010년 13,432명
|
2015년 13,036명
|
2020년 11,350명
|
2023년 12월 10,289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
오치2동 인구 추이 (2000년~현재) |
1997년 3월 1일 오치동 → 오치1동, 오치2동 분동 |
2000년 19,356명
|
2005년 17,788명
|
2008년 16,256명
|
2009년 15,610명
|
2010년 15,378명
|
2011년 15,177명
|
2012년 15,042명
|
2013년 14,962명
|
2014년 14,746명
|
2015년 14,409명
|
2016년 14,217명
|
2017년 13,856명
|
2018년 13,350명
|
2019년 13,037명
|
2020년 12,728명
|
2021년 12,523명
|
2022년 12,045명
|
2023년 12월 11,621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
석곡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55년
7월 1일
광산군 석곡면 대부분 → 광주시 편입 및 폐지 1957년 11월 6일 담양군 남면 덕의리, 충효리, 금곡리 → 광주시 편입 1957년 12월 1일 덕의동 + 충효동 + 금곡동 → 충효동 신설 망월동 + 청풍동 + 화암동 → 청옥동 신설 장등동 + 운정동 → 장운동 신설 |
1966년 8,754명(충효동 2,873명 청옥동 3,218명 + 장운동 2,663명)
|
1970년 8,274명(충효동 2,444명 청옥동 2,861명 + 장운동 2,969명)
|
1975년 8,946명(충효동 2,700명 청옥동 3,124명 + 장운동 3,122명)
|
1980년 6,047명(충효동 1,709명 청옥동 2,289명 + 장운동 2,049명)
|
1985년 6,209명(충효동 1,811명 청옥동 2,288명 + 장운동 2,110명)
|
1990년 4,690명(충효동 1,234명 청옥동 1,912명 + 장운동 1,544명)
|
1995년 3,906명(충효동 1,030명 청옥동 1,530명 + 장운동 1,346명)
|
1998년 9월 21일 충효동 + 청옥동 + 장운동 → 석곡동 합동 |
2000년 3,413명
|
2005년 2,918명
|
2010년 2,983명
|
2015년 2,823명
|
2020년 2,671명
|
2023년 12월 2,329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천 명 |
건국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57년
11월 6일 광산군 지산면 → 광주시 편입 1957년 12월 1일 본촌동 + 양산동 + 연제동 + 신용동 + 용두동 + 지야동 + 일곡동 → 본촌동 신설 태령동 + 수곡동 + 효령동 + 용전동 + 용강동 + 생용동 → 우치동 신설 월출동 + 대촌동 +오룡동 → 삼소동 신설 |
1966년 16,908명(본촌동 7,502명 우치동 5,892명 + 삼소동 3,514명)
|
1970년 17,370명(본촌동 7,879명 우치동 5,841명 + 삼소동 3,650명)
|
1975년 16,906명(본촌동 8,218명 우치동 5,456명 + 삼소동 3,232명)
|
1980년 16,668명(본촌동 9,887명 우치동 4,166명 + 삼소동 2,615명)
|
1985년 10월 1일 본촌동 일부(법정동 일곡동 일부) → 서산동 편입 |
1985년 21,100명(본촌동 14,194명 우치동 4,080명 + 삼소동 2,826명)
|
1990년 21,009명(본촌동 15,573명 우치동 3,390명 + 삼소동 2,046명)
|
1995년 25,441명(본촌동 21,607명 우치동 2,712명 + 삼소동 1,122명)
|
1998년 9월 21일 본촌동 + 우치동 + 삼소동 → 건국동 합동 |
2000년 41,437명
|
2005년 43,517명
|
2010년 56,261명
|
2013년 3월 18일 건국동 → 건국동, 양산동 분동 |
2015년 46,105명
|
2020년 7월 27일 건국동 → 건국동, 신용동 분동 |
2020년 22,605명
|
2023년 12월 21,146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75만 명 |
양산동 인구 추이 (2013년~현재) |
2013년 3월 18일 건국동 → 건국동, 양산동 분동 |
2013년 35,218명
|
2014년 36,200명
|
2015년 36,407명
|
2016년 36,080명
|
2017년 35,813명
|
2018년 36,159명
|
2019년 35,937명
|
2020년 38,182명
|
2021년 37,958명
|
2022년 37,038명
|
2023년 12월 36,101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
신용동 인구 추이 (2020년 7월~현재) |
2020년 7월 27일 건국동 → 건국동, 신용동 분동 |
2020년 7월 29,869명
|
2020년 10월 29,862명
|
2021년 1월 29,639명
|
2021년 4월 29,736명
|
2021년 7월 30,041명
|
2021년 10월 30,028명
|
2022년 1월 29,906명
|
2022년 4월 29,677명
|
2022년 7월 29,527명
|
2022년 10월 29,358명
|
2023년 1월 29,231명
|
2023년 4월 29,122명
|
2023년 7월 29,048명
|
2023년 10월 29,021명
|
2023년 12월 28,968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
4. 상권
광산구에 앞서 광주의 주요 주거지역으로 조성된 지역으로, 지역상권이 군데군데 형성되어 있다. 그 중 가장 큰 상권은 전남대학교 후문 상권으로, 호남권 최대 대학인 전남대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대학가 상권이 발달되어 있다. 그 외 전남대 상대(용봉패션의거리), 두암타운사거리, 홈플러스 동광주점, 삼각동, 운암동, 신용동 등 대형 상권보다는 근린상권 위주로 형성되어 있다.4.1. 금융
광주 북구에 위치한 금융기관 [괄호] | |||
제1금융권 [괄호] | |||
국가기관 | |||
북광주우체국 (15) | |||
국책은행 | |||
중소기업은행 (3) | |||
특수은행 | |||
수협은행 (2) | 농협은행(중앙회) (8) | ||
시중은행 | |||
신한은행 (4) | 우리은행 (1) | ||
하나은행 (1) | 국민은행 (6) | ||
지방은행 | |||
광주은행 (18) | |||
제2금융권(상호금융) [괄호] | |||
농업협동조합 | |||
광주농협 (9) | 서광주농협 (5) | 광주축협 (2) | 전남낙농농협 (1) |
송정농협 (1) | 광주원예농협 (2) | 북광주농협 (7) | |
새마을금고 | |||
광주중앙새마을금고 | 중흥새마을금고 | 북광주새마을금고 | 서방새마을금고 |
동신새마을금고 | 동부새마을금고 | 정다운새마을금고 | 광주새마을금고 |
예향새마을금고 | 빛고을새마을금고 | 제일새마을금고 | 광주북부새마을금고 |
동운새마을금고 | 태봉새마을금고 | 엠코테크놀로지코리아새마을금고 | |
신용협동조합 | |||
문화신용협동조합 | 광주개인택시신용협동조합 | 광주의사신용협동조합 | 광주건축사신용협동조합 |
밀알신용협동조합 | 북광주신용협동조합 | 두암신용협동조합 | 광주교회신용협동조합 |
광주중앙신용협동조합 | 광주신안신용협동조합 | 광주미래신용협동조합 | 삼애신용협동조합 |
광주재활신용협동조합 | 광주중흥신용협동조합 | 롯데칠성음료신용협동조합 | |
상호저축은행(상호금고) | |||
대한상호저축은행 (1) |
5. 교육
광주광역시 북구의 초등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각화초등학교 | 건국초등학교 | 경양초등학교 | 광주교육대학교광주부설초등학교 | |
광주동운초등학교 | 광주동초등학교 | 광주동초등학교충효분교장 | 광주문화초등학교 | ||
광주북초등학교 | 광주서림초등학교 | 광주서산초등학교 | 광주수창초등학교 | 광주양산초등학교 | |
광주용봉초등학교 | 광주우산초등학교 | 광주운암초등학교 | 광주중흥초등학교 | 광주지산초등학교 | |
광주풍향초등학교 | 광주효동초등학교 | 대자초등학교 | 동림초등학교 | 두암초등학교 | |
매곡초등학교 | 무등초등학교 | 문산초등학교 | 문우초등학교 | 문정초등학교 | |
문흥중앙초등학교 | 문흥초등학교 | 본촌초등학교 | 삼각초등학교 | 삼정초등학교 | |
서일초등학교 | 신용초등학교 | 양지초등학교 | 연제초등학교 | 오정초등학교 | |
오치초등학교 | 용두초등학교 | 용주초등학교 | 일곡초등학교 | 일동초등학교 | |
일신초등학교 | 태봉초등학교 | 하백초등학교 | 한울초등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고등기술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광주광역시 북구의 중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
||||
각화중학교 | 고려중학교 | 광주경신중학교 | 광주동신여자중학교 | ||
광주동신중학교 | 광주북성중학교 | 광주숭일중학교 | 광주예술중학교 | ||
광주체육중학교 | 금호중앙중학교 | 두암중학교 | 문산중학교 | ||
문화중학교 | 문흥중학교 | 살레시오중학교 | 서강중학교 | ||
신광중학교 | 신용중학교 | 양산중학교 | 용두중학교 | ||
용봉중학교 | 우산중학교 | 운암중학교 | 일곡중학교 | ||
일동중학교 | 일신중학교 | 전남대학교사범대학부설중학교 | 지산중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고등기술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광주광역시 북구의 고등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
고려고등학교 | 광주경신여자고등학교 | ◈ 광주공업고등학교 | |||
▣ 광주과학고등학교 | 광주동신고등학교 | 광주동신여자고등학교 | |||
광주숭일고등학교 | ▣ 광주예술고등학교 | ◈ 광주자연과학고등학교 | |||
⊙ 광주제일고등학교 | ▣ 광주체육고등학교 | 국제고등학교 | |||
◈ 금파공업고등학교 | 금호고등학교 | <colbgcolor=#ffcbcb,#340000> 금호중앙여자고등학교 | |||
문정여자고등학교 | 빛고을고등학교 | 살레시오고등학교 | |||
서강고등학교 | 전남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 ◈ 전남여자상업고등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고등기술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들이 상당히 많이 위치하고 있다. 광산구의 경우 첨단지구, 수완지구, 신창지구, 운남지구 등 택지지구들이 들어서면서 인구가 증가했으나 고등학교 수요를 따라가지 못해 광산구 중학생들이 북구의 고등학교로 배정되면, 북구의 중학생들이 서구, 동구, 남구 소재 고등학교로 튕겨나가는 일이 매년 발생하고 있다. 광주광역시교육청에서도 마땅한 대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6. 의료기관
서구처럼 중형 종합병원들이 상당히 많다. 대형 대학병원들이 모두 동구에 치우쳐져 있기 때문인데, 북구에서는 광주병원(두암동, 291병상)이 가장 크며, 그 뒤를 해피뷰병원(유동, 250병상), 운암한국병원(운암동, 217병상), 광주현대병원(용봉동, 211병상), 광주희망병원(용두동, 188병상), 광주일곡병원(일곡동, 144병상)이 잇고 있다. 이외에 전남대학교치과병원이 있다.7. 정치
자세한 내용은 북구(광주광역시)/정치 문서 참고하십시오.8. 하위 행정구역
자세한 내용은 북구(광주)/행정 문서 참고하십시오.9. 자매우호도시
9.1. 자매도시
9.2. 우호도시
- 중국 장쑤성 우시시 시산구
- 베트남 꽝빈성 바돈시
10. 출신 인물
- 곽승용 - 국민의힘 부대변인
- 김광두[20] - 전 대통령 직속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
- 김기태 - 전 야구 선수, 전 감독
- 김남국 - 국회의원
- 꿀돔 - 유튜버
- 문근영 - 배우
- 문현준 - 현 T1 소속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 노재욱(배구선수)
- 박재홍 - 현 야구 해설위원
- 서아 - 걸그룹 tripleS의 멤버
- 서재덕 - 배구선수
- 소연 - 걸그룹 라붐의 멤버
- 수지 - 배우, 가수, 미쓰에이의 전 멤버
- 안산 - 양궁 선수
- 우석 - 보이그룹 펜타곤의 멤버
- 오영종 - 전 프로게이머
- 윤호 - 보이그룹 ATEEZ의 멤버
- 연희 - 걸그룹 로켓펀치의 멤버
- 이강철 - 전 야구 선수, 현 감독
- 이종범 - 전 야구 선수, 현 코치
- 장다운 - 코미디 유튜브 체널 흔한남매의 멤버
- 장범준 - 버스커 버스커의 멤버
- 정창선 - 대한민국의 기업인
- 정다한 - 트로트 가수
- 제이홉 - 보이그룹 방탄소년단의 멤버
- 차선우 - 배우, 보이그룹 B1A4의 전 멤버
- 차윤지 - 가수, 차선우의 여동생
- 한기주 - 전 야구 선수
- 한강 - 소설가, 노벨문학상 수상자
[1]
41개
법정동, 28개
행정동.
[2]
2024년 11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3]
2024년 11월 기준.
[4]
북구 가선거구 (중흥1동, 중흥2동, 중흥3동, 중앙동, 임동, 신안동): 고영임, 전미용
북구 나선거구 (우산동, 문흥1동, 문흥2동, 오치1동, 오치2동): 김건안, 신정훈, 최무송
북구 다선거구 (풍향동, 문화동, 두암1동, 두암2동, 두암3동, 석곡동): 김영순, 이숙희, 최기영
북구 라선거구 (용봉동, 삼각동, 일곡동, 매곡동): 김형수, 정달성
북구 마선거구 (운암1동, 운암2동, 운암3동, 동림동): 임종국, 주순일, 황예원
북구 바선거구 (건국동, 양산동, 신용동): 강성훈, 정재성, 한양임
북구 비례대표: 김귀성, 정상용 [5] 북구 라선거구 (용봉동, 삼각동, 일곡동, 매곡동): 손혜진 [6] 북구 가선거구 (중흥1동, 중흥2동, 중흥3동, 중앙동, 임동, 신안동): 기대서 [7] 북구 제1선거구 (중흥1동, 중흥2동, 중흥3동, 중앙동, 임동, 신안동): 안평환 (초선)
북구 제2선거구 (우산동, 문흥1동, 문흥2동, 오치1동, 오치2동): 정다은 (초선)
북구 제3선거구 (풍향동, 문화동, 두암1동, 두암2동, 두암3동, 석곡동): 신수정 (재선)
북구 제4선거구 (용봉동, 삼각동, 일곡동, 매곡동): 조석호 (재선)
북구 제6선거구 (건국동, 양산동, 신용동): 김나윤 (재선) [8] 북구 제5선거구(운암1동, 운암2동, 운암3동, 동림동): 심창욱 (초선) [9] 중흥동, 풍향동, 우산동, 두암동, 문흥동, 각화동, 오치동, 삼각동, 일곡동, 석곡동. [10] 중앙동, 신안동, 임동, 용봉동, 운암동, 동림동, 매곡동, 양산동, 건국동. [11] 도로망을 의식하지 않은 것인지 아파트 난개발이 심하며, 대표적인 지역은 운암동, 매곡동, 연제동, 양산동이다. [12] 하지만 통학 거리가 한 번 꼬이면 한없이 꼬이는 지역으로, 한 학생은 집이 5.18. 묘역 근처인데 학교는 일곡동으로 배정받아 버스를 2번 갈아타야 했다. 기숙사가 아니었으면 망했을 것이다. [13] 31사단 본부와 인접한 오치동/삼각동/일곡동 한정. 이외엔 동네는 군용차와 군인들을 보기가 드물다. [14] 동구의 살레시오여자중학교, 살레시오여자고등학교와는 많이 멀다. 살레시오초등학교와 살레시오여중고는 살레시오 수녀회에서, 살레시오중고는 살레시오 수도회에서 운영하고 있다. 두 수도회 모두 같은 인물( 요한 보스코 성인)이 세운 남녀 수도회이다. [15] 중흥1동, 중흥2동, 우산동, 풍향1동, 풍향2동, 문화동, 서산동, 충효동, 청옥동, 장운동 [16] 유동, 누문동, 북동, 임동, 동운동, 태봉동, 본촌동, 우치동, 삼소동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20] 태어난 뒤 2살 때 광주광역시 북구로 이사를 와서 북구에서 자랐고 현재까지도 그의 외가 식구들이 모두 북구 우산동과 중흥동에 살고 있다.
북구 나선거구 (우산동, 문흥1동, 문흥2동, 오치1동, 오치2동): 김건안, 신정훈, 최무송
북구 다선거구 (풍향동, 문화동, 두암1동, 두암2동, 두암3동, 석곡동): 김영순, 이숙희, 최기영
북구 라선거구 (용봉동, 삼각동, 일곡동, 매곡동): 김형수, 정달성
북구 마선거구 (운암1동, 운암2동, 운암3동, 동림동): 임종국, 주순일, 황예원
북구 바선거구 (건국동, 양산동, 신용동): 강성훈, 정재성, 한양임
북구 비례대표: 김귀성, 정상용 [5] 북구 라선거구 (용봉동, 삼각동, 일곡동, 매곡동): 손혜진 [6] 북구 가선거구 (중흥1동, 중흥2동, 중흥3동, 중앙동, 임동, 신안동): 기대서 [7] 북구 제1선거구 (중흥1동, 중흥2동, 중흥3동, 중앙동, 임동, 신안동): 안평환 (초선)
북구 제2선거구 (우산동, 문흥1동, 문흥2동, 오치1동, 오치2동): 정다은 (초선)
북구 제3선거구 (풍향동, 문화동, 두암1동, 두암2동, 두암3동, 석곡동): 신수정 (재선)
북구 제4선거구 (용봉동, 삼각동, 일곡동, 매곡동): 조석호 (재선)
북구 제6선거구 (건국동, 양산동, 신용동): 김나윤 (재선) [8] 북구 제5선거구(운암1동, 운암2동, 운암3동, 동림동): 심창욱 (초선) [9] 중흥동, 풍향동, 우산동, 두암동, 문흥동, 각화동, 오치동, 삼각동, 일곡동, 석곡동. [10] 중앙동, 신안동, 임동, 용봉동, 운암동, 동림동, 매곡동, 양산동, 건국동. [11] 도로망을 의식하지 않은 것인지 아파트 난개발이 심하며, 대표적인 지역은 운암동, 매곡동, 연제동, 양산동이다. [12] 하지만 통학 거리가 한 번 꼬이면 한없이 꼬이는 지역으로, 한 학생은 집이 5.18. 묘역 근처인데 학교는 일곡동으로 배정받아 버스를 2번 갈아타야 했다. 기숙사가 아니었으면 망했을 것이다. [13] 31사단 본부와 인접한 오치동/삼각동/일곡동 한정. 이외엔 동네는 군용차와 군인들을 보기가 드물다. [14] 동구의 살레시오여자중학교, 살레시오여자고등학교와는 많이 멀다. 살레시오초등학교와 살레시오여중고는 살레시오 수녀회에서, 살레시오중고는 살레시오 수도회에서 운영하고 있다. 두 수도회 모두 같은 인물( 요한 보스코 성인)이 세운 남녀 수도회이다. [15] 중흥1동, 중흥2동, 우산동, 풍향1동, 풍향2동, 문화동, 서산동, 충효동, 청옥동, 장운동 [16] 유동, 누문동, 북동, 임동, 동운동, 태봉동, 본촌동, 우치동, 삼소동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20] 태어난 뒤 2살 때 광주광역시 북구로 이사를 와서 북구에서 자랐고 현재까지도 그의 외가 식구들이 모두 북구 우산동과 중흥동에 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