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29 14:51:01

경자자

1. 개요2. 상세

1. 개요

庚子字. 1420년 주자소(鑄字所)에서 만든 동(구리)활자로 금속활자이다.

기존의 계미자(癸未字)가 가진 단점을 보완해서 만든 두 번째 동(구리)활자이다. 중세 한국사의 르네상스 시대를 대표하는, 금속활자 사용을 본격적으로 활성화시킨 금속활자라 할 수 있다.

2. 상세

고려 때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를 만들었지만(직지) 조선초 까지 아직 활성화 되지 못했던 듯 하다. 그래서 선대왕이었던 태종 3년에 태종의 명에 따라서 주자소에서 새로운 활자를 만들었는데 그 활자가 바로 계미자(癸未字)였다.

그런데 계미자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활자의 모양이 큰데다 가지런하지 못하고 거기다 거칠어 인쇄를 하는 도중에 활자가 미친듯이 흔들렸던 것. 때문에 하루에 고작 몇 장 인쇄가 한계였었고 그냥 붓 잡고 서책을 필사하는 것이 훨씬 더 나았을 정도였으니 말 다했다(...). 계미자 따위는 장식입니다. 높으신 분들은 그걸 몰라요 세종 즉위 후 집현전을 궁궐내에 두고 활성화 시킴에 따라 서책이 많이 필요하게 되었는데 활자기술이 그 발목을 잡는 상황이었다.

결국 세종은 새로운 활자기술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는지 주자소에 새로운 활자주조를 명하게 된다. 기존활자의 문제점은 밀랍을 이용해서 활자를 고정시키는 방법이였는데 문제는 밀랍은 접착성이 상당이 떨어졌던 것. 밀랍으로 고정을 하면 접착도 잘 안될 뿐만 아니라 밀랍 양에 따라 활자의 높낮이가 제각각이었던 것도 한몫을 했던 것이다. 그래서 당시 공조참판이었던 이천(이분은 군인인데?)과 남급(이분은 음악가인데?)이 제작을 담당하고 개발에 들어갔다.

세종 2년인 1420년, 새로운 타입의 금속활자가 완성되었다. 이전 활자들이 고정방식으로 썼던 밀랍을 통한 고정방식을 과감하게 버렸고, 그 대신에 조립방식을 채택하여 대나무를 이용한 조립을 통해 활자들이 빠지거나 흔들리지 않게 꽉 잡아 고정시키면서 효율을 올렸다.

능률상승에 대한 기록은 제각각이다. 《세종실록》에서는 몇백지라 하였고, 다른 기록에서는 몇십여지라고 되어있다.

경자자가 새롭게 개발되면서 이전과는 다르게 인쇄양이 비약적으로 상승함에 따라 서책을 마음껏 인쇄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