腺 샘 선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肉, 9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3획
|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セン
|
||||||
일본어 훈독
|
-
|
||||||
-
|
|||||||
표준 중국어
|
xià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腺은 '샘 선'이라는 한자로, ' 샘', '내분비샘'을 뜻한다. 여기서 '샘'이란 동물의 신체의 체내 분비물을 배출하는 기관을 말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샘 |
음 | 선 | |
중국어 | 표준어 | xiàn |
광동어 | sin3 | |
객가어 | sien | |
민남어 | sòaⁿ / siàn / sàn | |
일본어 | 음독 | セン |
훈독 | - | |
베트남어 | tuyến |
3. 모양 및 기원
고기 육( 肉)에 샘 천( 泉)[1]을 결합한 형성자이자 회의자이다. 이 글자는 우다가와 겐신(宇田川玄真)이라는 에도 시대의 난학자가 서양 의학서를 번역하는 과정에서 만든 글자이다. 당시에 네덜란드어 klier(샘)를 번역할 마땅한 대체자가 없어서 직접 만든 것이다.[2]그 기관이 체내(⺼, 고기[=신체])에서 체액을 분비한다는 점에서 샘(泉)을 연관지었고 泉을 소리글자로 삼아 형성자로 만들었다고 한다. 이 글자는 한국과 중국에도 도입되어 의학 용어에 널리 쓰이게 되었다. 원래 이 글자의 발음은 (일본에서 발음이 같은) 泉에서 따온 것이지만, 한국과 중화권에서는 이 글자의 발음이 泉이 아닌 線(줄 선) 자와 같다.
4. 용례
4.1. 단어
- 각선( 殼腺)
- 갑상선( 甲 狀腺)
- 견사선( 絹 絲腺)
- 경동맥선( 頸 動 脈腺)
- 경선( 頸腺)
- 구강선( 口 腔腺)
- 누선( 淚腺)
- 다세포선( 多 細 胞腺)
- 단세포선( 單 細 胞腺)
- 독선( 毒腺)
- 밀선( 蜜腺)
- 분비선( 分泌 腺)
- 사향선( 麝 香腺)
- 생식선( 生 殖腺)
- 서혜선( 鼠 蹊腺)
- 선모(腺 毛)
- 선병(腺 病)
- 선상피(腺 上 皮)
- 선암(腺 癌)
- 선역(腺 疫)
- 선열(腺 熱)
- 선위(腺 胃)
- 선종(腺 腫)
- 선포(腺 胞)
- 설선( 舌腺)
- 설하선( 舌 下腺)
- 섭호선( 攝 護腺)
- 성선( 性腺)
- 소화선( 消 化腺)
- 송과선( 松 果腺)
- 순선( 脣腺)
- 악하선( 顎 下腺)
- 위선( 胃腺)
- 위저선( 胃 底腺)
- 유륜선( 乳 輪腺)
- 유선( 油腺)
- 유선( 乳腺)
- 이도선( 耳 道腺)
- 이하선( 耳 下腺)
- 임파선( 淋 巴腺)
- 장선( 腸腺)
- 전립선( 前 立腺)
- 전위선( 前 位腺)
- 점액선( 粘 液腺)
- 정낭선( 精 囊腺)
- 지선( 脂腺)
- 촉각선( 觸 角腺)
- 타선( 唾腺)
- 타액선( 唾 液腺)
- 토사선( 吐 絲腺)
- 편도선( 扁 桃腺)
- 피선( 皮腺)
- 한선( 汗腺)
- 항문선( 肛 門腺)
- 혈관선( 血 管腺)
- 혈선( 血腺)
- 흉선( 胸線)
4.2. 고사성어/ 숙어
4.3. 인명
4.4. 지명
4.5. 창작물
5. 유의자
- 泉(샘 천)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𢝓[⿰忄泉](성급할 견, 급할 연)
- 䤼(쇠줄 선)
- 線(줄 선)
- 瑔(옥이름 전)
- 騡(입술검은흰말 전)
- 楾(그릇 천)
- 㟫/ 湶(샘 천)[3]
- 𧍭[⿰虫泉](조개이름 천)
- 鰁(중고기 천)
- 𠗯[⿰冫泉]
- 𱎽[⿰亻泉]
- 𡎏[⿰土泉]
- 𪡠[⿰口泉]
- 𭒉[⿰女泉]
- 𬯏[⿰⻖泉]
- 𭚛[⿰弄泉]
- 𪵿[⿰丁泉]
- 𰒜[⿰恶泉]
- 𥠘[⿰禾泉]
- 𬎺[⿰生泉]
- 𫇋[⿰自泉]
- 𧪒[⿰言泉]
- 𨡹[⿰酉泉]
- 𩩺[⿰骨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