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1 01:45:51

対象a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본곡의 모티브가 된 동일한 명칭의 정신분석학 용어에 대한 내용은 자크 라캉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상a
타이쇼오 아-
対象a
파일:대상a.jpg
<colbgcolor=#373a3c><colcolor=#ffffff> 가수 Annabel (anNina)
발매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7년 8월 22일
작사 interface
작곡 bermei.inazawa (anNina)

1. 개요2. 가사3. 뮤직 비디오4. 여담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2. 가사

《対象a》
あなたの亡骸に土をかける

3. 뮤직 비디오

<colcolor=#373a3c> 《ED 송출 영상》

4. 여담

  • 가사의 모티브는 첫 소절인 "금지된 일이라 할지라도 당신의 시체에 흙을 덮는다"라는 부분에서 보이듯이 그리스 비극 안티고네의 일화[2]를 모티브로 한 가사로 해석된다. 자크 라캉도 이 안티고네의 일화를 정신분석학과 연관지어서 해석한 바가 있다. 전반적으로 안티고네의 이야기를 인용하여 리카의 심경을 대변하는 듯한 내용이다.
  • 애니 OST로는 찾아보기 힘든 재즈풍 음악으로, 오랜 세월이 지난 현재에도 팬들 사이에서는 쓰르라미의 숨은 명곡으로 꼽힌다.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font-size:.9em;letter-spacing:-.3px; word-break: keep-all"
원작 동인 버전 (PC)
동인판 안드로이드 MangaGamer Steam
컨슈머 버전 (콘솔)
쓰르라미 울 적에 제(祭) - PS2 쓰르라미 울 적에 반(絆) - NDS 쓰르라미 울 적에 수(粋) - PS3, PS Vita 쓰르라미 울 적에 봉(奉) - NS, PS4
애니메이션 (TVA, OVA)
쓰르라미 울 적에 쓰르라미 울 적에 해(解) 쓰르라미 울 적에 업(業) 쓰르라미 울 적에 졸(卒)
네코고로시 쓰르라미 울 적에 례(礼) 쓰르라미 울 적에 황(煌) 쓰르라미 울 적에 확(拡) -아웃브레이크-
코믹스
원작 코믹스 쓰르라미 울 적에 업(業) / 순(巡) 쓰르라미 울 적에 령(令) 쓰르라미 울 적에 귀(鬼)
미디어 믹스
소설 드라마 CD 라디오 모바일 게임
쓰르라미 울 적에 명(命) (모바일) 쓰르라미 울 적에 작(雀) (PSP) 쓰르라미 데이브레이크 (대전 게임) 스케코마시 (팬메이드 애니메이션)
||<-3><tablewidth=100%><tablebgcolor=white,#1c1d1f><bgcolor=#8C2221>
실사판
||
영화판 무대판
세계관 설정
히나미자와 히나미자와 증후군 히나미자와 대재해 히나미자와 연속 괴사 사건
오야시로님 삼대 가문 ( 키미요시, 소노자키, 후루데) 성 루치아 학원 작품의 주제
도쿄
기타 정보
히나미자와 정류소 카타리바나시 시라카와고 용기사07
등장인물 OST ( YOU, 대상a, Missing Promise) 2차 창작 쓰르라미 울 적에 마이너 갤러리
}}}}}}}}} ||


[1] 만약 닿게 된다면 그것은 더 이상 대상 a가 아니게 되며 주체는 새로운 결여와 욕망을 가지게 된다. 즉 대상 a는 항상 결핍된 상태로 남아있으며 인간의 욕망을 끊임없이 자극하는 역할을 하는 것. [2] 안티고네는 죄를 저지른 매국노인 친오빠 폴리네이케스의 장례를 치르지 말라는 크레온의 명령을 어기고 시신을 거둬준 행동으로 인해 벌을 받게 된다. 해당 일화는 개인의 정의와 사회적 정의, 또는 인간의 법과 신의 법으로 표현되는 윤리적 딜레마를 묘사한 최초의 설화로 평가되며 라캉 뿐만 아니라 여러 철학자들 사이에서 해석이 오가는 설화로, 전반적인 쓰르라미의 주제의식과 상통하는 점이 있다. 쓰르라미 또한 죄와 용서를 다루는 작품이기에.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