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홈페이지
1. 개요
Ruby on Rails는 Ruby를 사용하는 웹 프레임워크로 덴마크의 데이비드 하이네마이어 핸슨(David Heinemeier Hansson)이 오픈 소스로 만들었다. 줄여서 Rails나 RoR이라고도 부른다. 풀 스택 웹 프레임워크이고, non full-stack 웹 프레임워크로는 Sinatra 등이 있다.Ruby on Rails 이후 등장한 거의 모든 풀스택 웹 프레임워크는 Rails의 디자인에 영향을 받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다. Python의 Django나 PHP의 Laravel이 그 영향을 받아 설계되었다. MVC 모델 패턴을 채택하고 있으며, 사용하는 언어가 Ruby인지라 고급지고 간결한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특히 애자일 프로세스에 초점을 맞추는 스타트업 기업들이 많이 채택하였다.
다만 2016년 부터 Node.js기반의 웹프레임워크(예, express, nest.js 등) 라는 신흥 강호가 갑툭튀해 점유율이 바짝 쫓기는 상황이다. 2020년 이후로는 전세계적으로 Node.js를 더 많이 쓴다.
2. 특징
루비로 작성된 MVC 패턴을 이용하는 오픈 소스 웹 프레임워크이다2.1. 장점
- 언어의 특성이 애자일에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생산성이 높다.
- 확장성과 이식성이 높다.[1]
- 데이터베이스 작업할 때 액티브레코드 패턴을 적용한 ORM을 도입하여 편리하다.
- 세부적인 설정이 적은 편이다.
2.2. 단점
- 개발자가 부족하다. 물론 이것은 국내의 얘기.
- 파이썬의 장고만큼 속도가 느리다.
- 암시적 규약이 많다. [2]
3. 여담
- Ruby를 모르는 사람도 강좌 몇 개를 보면 쓸만한 블로그 하나를 만들 수 있을 정도로 쉽고 빠르게 웹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할 수 있다.
- 빠르게 서비스를 개발해야 하는 스타트업 회사에서 많이 사용한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Ruby라는 언어 자체가 굉장히 마이너하기 때문에 요즘에는 PHP의 라라벨을 쓰거나, Python Django, JavaScript 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
성능 문제가 있다고 하는데, 파이썬보다는 느리지만 깃허브, 그루폰,
트위터[3]에서도 사용하고, 루비가 일본인이 개발한 언어라 일본에서는 개발자도 많고 대형회사들도 사용한다. 사실 하드웨어 자원을 빡세게 활용하는 애플리케이션(게임 등)이 아닌 이상, 성능은 언어의 속도보다는 데이터베이스를 얼마나 빠르게 가져오느냐 등 외부적 요소에 영향을 더 크게 받는다. - Python의 Flask에 해당하는 Ruby의 마이크로 웹 프레임워크는 Sinatra이다.
4. Rails로 만들어진 한국 내 서비스 현황
구글에 inurl:users/sign_in
키워드로 검색해보면 레일즈를 사용중인 사이트들을 확인할 수 있다.5. 관련 문서
[1]
프레임워크의 '확장성(Scalability)'이란 시스템의 스펙이 변경되어도 그에 맞추어 기능이 계속 동작하게끔 만들 수 있는지의 여부를 의미한다. 시스템에서 '확장성'은 두 가지로 나뉘는데, 특정한 (서버) 하드웨어의 CPU나 RAM을 업그레이드하는 것을 수직적 확장성이라고 하고, 아키텍처 자체를 늘리는 것(ex. 단일 서버 → 서버/로드 밸런서/DB 인스턴스로 분할)을 수평적 확장성이라고 한다. '이식성'은 다양한 운영 체제에서 사용될 수 있는지의 여부이다.
[2]
프로젝트 초반에는 빠른 개발이 가능해 장점일 수 있지만 초반을 지나면 '사이드 이펙트'를 만들 가능성이 급격히 커진다
[3]
Scala로 변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