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의 유전자 (2023) AIの遺電子 |
|||
|
|||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장르 | SF, 사이버펑크 | |
원작 | 야마다 큐리(山田胡瓜) | ||
감독 | 사토 유조 | ||
시리즈 구성 | 킨게츠 류노스케(金月龍之介) | ||
각본 | |||
캐릭터 디자인 | 츠치야 케이(土屋 圭) | ||
총 작화감독 | |||
서브 캐릭터 디자인 | 오자키 토모미(尾崎智美) | ||
색채 설계 | 나카우치 테루미(中内照美) | ||
미술 설정 | 타나카 료(田中 涼) | ||
미술 보드 | 코노 아키라(河野 羚) | ||
촬영 감독 | 하타나카 히로노부(畑中宏信) | ||
모니터 그래픽스 | 카토 미치야(加藤道哉) | ||
편집 | 츠카츠네 마리코(塚常真理子) | ||
음악 |
오오마마 타카시(大間々 昂) 타부치 나츠미(田渕夏海) |
||
음악 제작 | 니치온(日音) | ||
음향 감독 | 코이즈미 키스케 | ||
음향 효과 | 야마우치 나오토(山谷尚人) | ||
음향 제작 | Bit grooove promotion | ||
프로듀서 |
요시타케 신타로(吉武真太郎) 유우키 미라이(結城未来) 카메이 히로시(亀井博司) 마이니치 방송 사토 신야(佐藤真也) 콘도 요헤이(近藤洋平) 이시하라 리코(石原莉子) 후쿠이 노리오(福井詔雄) |
||
제작 프로듀서 |
아시카와 마리코(芦川真理子) 토요타 토모노리 |
||
애니메이션 제작 | 매드하우스 | ||
제작 | AI의 유전자 제작위원회[1] | ||
방영 기간 | 2023. 07. 08. ~ 2023. 09. 30. | ||
방송국 |
MBS,
TBS(
아니메이즘) (토) 01:53 애니박스[2] / (일) 02:00(2회 연속방송) |
||
편당 러닝타임 | 24분 | ||
화수 | 12화 | ||
시청 등급 | 15세 이상 시청가 (주제, 폭력성, 선정성) | ||
관련 사이트 | | |
[clearfix]
1. 개요
일본의 만화 AI의 유전자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사토 유조, 제작사는 매드하우스. 방영 시기는 2023년 7월.한국에서는 애니박스에서 2023년 11월 19일부터 매주 일요일 새벽 2시에 두 편씩 방영한다.
2. 공개 정보
2.1. PV
|
PV 제1탄 |
|
PV 제2탄 |
2.2. 키 비주얼
|
티저 비주얼 |
3. 등장인물
자세한 내용은 AI의 유전자 문서의
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주제가
4.1. OP
OP No Frontier |
|||
|
|||
TV ver. | |||
|
|||
MV ver. | |||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Aile The Shota | ||
작사 | |||
작곡 |
Ryosuke "Dr.R" Sakai Aile The Shota |
||
편곡 | Ryosuke "Dr.R" Sakai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작화감독 | 마츠모토 마미코(松本まみ子) | |
총 작화감독 | 츠치야 케이(土屋 圭) |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4.2. ED
ED 勿忘草 물망초 |
|||
|
|||
TV ver. | |||
|
|||
MV ver. | |||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GReeeeN | ||
작사 | |||
작곡 | |||
편곡 | 요코야마 히로아키(横山裕章)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 사토 유조 | |
연출 | |||
일러스트레이션 | 오자키 토모미(尾崎智美) |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5. 회차 목록
- 2023년 8월 26일 방영분은 결방되었다.
- 전화 각본: 킨게츠 류노스케(金月龍之介)
<rowcolor=#373a3c,#dddddd> 회차 | 제목[3]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제1화 |
バックアップ 백업 |
사토 유조 |
우메하라 타카히로 (梅原隆弘) |
이재한 윤정혜 |
장길용 츠치야 케이[C] (土屋 圭) |
日: 2023.07.08. |
제2화 |
成長限界 성장 한계 |
카와지리 요시아키 |
나카노 아키코 (中野彰子) 강태식 |
김란영 박은아 최은영 유경숙 박송화 장상미 |
류승철 츠치야 케이[C] |
日: 2023.07.15. |
제3화 |
心の在処 마음의 거처 |
사토 유조 | 김민선 |
황영식 서순영 |
송진희 츠치야 케이[C] |
日: 2023.07.22. |
제4화 |
4つのケース 4개의 케이스 |
시미즈 켄이치 |
와카바야시 칸지 (若林漢二) 지양호 |
황영식 박기덕 장길용 |
장길용 츠치야 케이[C] |
日: 2023.07.29. |
제5화 |
調律 조율 |
카와지리 요시아키 | 박재익 |
김봉덕 김현경 신성민 정진영 |
유승철 츠치야 케이[C] 마츠모토 마미코[C] (松本まみ子) |
日: 2023.08.05. |
제6화 |
ロボット 로봇 |
나카노 아키코 양정희 |
박송화 김서진 최은영 박영희 서순영 황일진 |
송진희 츠치야 케이[C] 마츠모토 마미코[C] |
日: 2023.08.12. | |
제7화 |
人間 인간 |
사토 유조 | 김민선 |
장상미 황영식 |
심민현 히나타 마사키[C] (日向正樹) |
日: 2023.08.19. |
제8화 |
告白 고백 |
시미즈 켄이치 |
와카바야시 칸지 박재익 |
김봉덕 김현경 신성민 정진영 |
장길용 츠치야 케이[C] |
日: 2023.09.02. |
제9화 |
正しい社会 정의로운 사회 |
나카노 아키코 지양호 |
황영식 문형준 최은영 한은미 |
류승철 츠치야 케이[C] 마츠모토 마미코[C] |
日: 2023.09.09. | |
제10화 |
来るべき世界 와야만 하는 세계 |
카와지리 요시아키 |
이시다 토오루 (石田 暢) 강일구 |
송현주 최은영 김란영 김서진 |
송진희 히나타 마사키[C] |
日: 2023.09.16. |
제11화 |
トゥ・フィー Too Fee |
사토 유조 |
와카바야시 칸지 박재익 |
김봉덕 김현경 신성민 정진영 |
심민현 츠치야 케이[C] 마츠모토 마미코[C] |
日: 2023.09.23. |
제12화 |
旅立ち 여행길 |
사토 유조 | 강태식 |
이재한 정은희 황일진 정지문 |
장길용 이현정 츠치야 케이[C] |
日: 2023.09.30. |
6. 평가
사토 유조 감독 작품 답게 작화 부분에서 거의 디알무비에게 맡겼다. 덕분에 정적인 연출을 선보이고 있으며, 낮은 밀도의 감정 연출을 보이고 있다.드라마와 서스펜스 묘사에 강점이 있는 사토 유조이니 만큼 연출 자체의 수준은 높다.[20] 또한 캐릭터 디자인이 고전적인 스타일이다.
전반적으로 망작은 아니지만, 감독의 전작 하코즈메 ~파출소 여자들의 역습~에 비해서는 아쉽다는 평을 받는다.
7. 기타
[1]
닛카쓰,
마이니치 방송,
아키타 쇼텐, 히어로 개라지(ヒーローガレージ), Bit Grooove promotion
[2]
미디어캐슬 위탁방영.
[3]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대원방송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C]
캐릭터
[C]
[C]
[C]
[C]
[C]
[C]
[C]
[C]
[C]
[C]
[C]
[C]
[C]
[C]
[C]
[20]
다만 다른 사이버펑크 또는 SF 장르들에 비해 진입장벽이 크다는 의견이 있으며
BEATLESS 처럼 세계관 설명에 대해 공을 들였거나
SYNDUALITY Noir처럼 캐릭터의 신체적 특징을 구분할 수 있는 표식같은게 전혀 없고 심지어 인간에서 안드로이드로 개조한 경우
사이보그같은 구분되는 대체적 용어가 있으면서도 이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인간과 인간이었던 안드로이드와 잉태되지 않고 처음부터 순수 안드로이드인 인물들 간에 그 경계를 허물고 일어나는 주변인들의 관계를 설명하지 않고 전적으로 시청자가 직접 느끼고 판단해야 하는 부분에 치중되어 있는 등 이같은 배경에 대한 연출이 불친절한 점도 한몫하는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