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23 00:16:19

100식 화염발사기

100식 화염방사기에서 넘어옴
파일:external/www.horae.dti.ne.jp/100kaen1.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Type_100_flamethrower.jpg
100식 화염방사기를 노획한 미군.


一〇〇式火焔発射機 (ひゃくしきかえんはっしゃき)

1. 개요2. 특징3. 실전 기록4. 둘러보기

1. 개요

100식 화염발사기는 1933년에 일본군이 개발한 93식 소화염발사기를 개량한 것으로 1940년 (쇼와 15년)에 제식채용된 화염방사기이다.

2. 특징

구조는 93식 화염발사기와 거의 똑같지만 발사노즐을 관형노즐식으로 변경함으로서 분사거리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었다. 사용횟수는 1회당 1초간 발사하는 것으로 생각할 때 10회 정도 한 번에 10초에서 12초 정도 분사가 가능하였다.

질소탱크는 레귤레이터가 없어서 밸브를 열면 연료탱크에 죄다 밀어넣어버린다. 문제는, 이러면 첫발은 사거리가 최대, 다음 발을 쏠 땐 점점 압력이 떨어져서 사거리가 짧아진다는 것이다. 레귤레이터가 있어서 일관적인 사거리로 나눠쏘던 서방권이나, 연료탱크가 3개이고 한 발에 탱크 하나를 비워버리는 식으로 최대사거리와 최대화력의 적은 탄수를 가진 동구권식과는 다르다.

다만 이 점은 운용의 묘를 전제로 한 듯 하다. 첫발을 최대사거리에서 쏘아넣어서 화염방사기 특유의 심리적 위압 효과를 최대로 누리고, 적 벙커로 접근해나가면서 계속 쏘면 사거리가 짧아져도 문제가 없다. 마지막 발 때쯤엔 벙커 총안구에 접근한 상태인데, 압력이 짱짱한 상태라면 총안구에 대고 쏘면 화염이 역류할 수 있으나 100식이라면 마지막 발 쯤엔 역류할만한 사거리가 나오지 않으니 오히려 좋아. 다만 이 방식이라면 아마 벙커 하나 제압마다 연료통을 다 쓴다고 봐야 할 것이다. 공세적으로 돌진하는 전제의 운용이기에, 중일전쟁의 경험에 기반했을 지도 모른다.

점화 방식은 점화용 공포(화약 카트리지) 방식. 93식에서는 전기 코일을 쓰다가 별로라서 이 방식으로 바꿨다. 총구의 원통 덩어리는 내부에 공포를 넣는 실린더 같은 것이 있으며, 더블액션 리볼버처럼 방아쇠를 당기면 한 칸씩 돌아가며 격발한다. 10개의 칸이 있으므로 한 번에 최대 10발.

이런 화약 카트리지식 점화 방식을 선구적으로 널리 쓴 것은 일본측인 듯하다. 그래서 93식/100식의 이 방식이 미군의 M2 화염방사기에도 영향을 줬다는 설이 있다.

이론상 전기코일형보다 신뢰성이 좋고 배터리 따위를 관리하는 데에 고생하지 않아도 되지만, 100식의 점화 공포는 종이 카트리지라 물에 젖으면 꽝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연료밸브는 발사기의 후방 쪽에 있어서, 밸브를 닫아도 파이프 안에 남은 연료가 제법 있기에 주의해야 한다.

밸브는 90도로 꺾는 방식이고, 닫을 때도 힘주어 되돌려야 한다. 이 방식의 문제점은, 예를 들어 화염방사기 사수가 밸브를 열고 발사했는데 총을 맞고 쓰러졌다 치자. 그러면 밸브가 자동으로 닫리지 않기에 연료통이 빌 때까지 주변에 있는 동료들에게 화염을 퍼붓는다는 끔찍한 일이 생기기 쉽다는 것이다. 서방식은 연료 밸브도 방아쇠 방식이라, 방아쇠를 놓으면 저절로 닫히니 이런 문제가 없다.

3. 실전 기록

채용된 100식 화염발사기는 1942년 2월 14일에 실행된 육군 낙하산부대(정진 제 2연대)의 팔렘방 강하작전 '파렌반 공정작전'에 사용될 예정이었으나 100식 화염발사기를 실은 무기 상자가 바람 때문에 예정된 위치에 떨어지지 않아서 사용하지 못하였다.

그후 바탄 전투등 태평양 전쟁 초기 공격시 적 진지를 공격하는데 사용하였고 또 일부는 해군육전대에 공급되어 사용하였다.

하지만 방위전 중심이던 대전 말기에는 진지 방위에 부적합한 화염방사기는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방어측에서 화염방사기를 사용할 경우 불꽃의 위치로 아군의 수비위치가 들통날 수 있기 때문이었다.

4. 둘러보기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일본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736942> 중일전쟁 제2차 세계 대전
일본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736942> 소총 <colbgcolor=#736942> 볼트액션 소총 13년식 소총, 30년식 소총, 35년식 해군총,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7식 저격총, 99식 소총, 99식 저격총, 100식 소총, 1식 소총, 2식 소총, 간이 소총, 모식 소총, 이식 소총
반자동소총 갑형 자동소총, 을형 자동소총, 병형 자동소총, 4식 자동소총
기관단총 M1927 기관단총, 1형 기관단총, 2형 기관단총, 100식 기관단총, 베식 기관 단총, MAB 38
권총 자동권총 남부 권총, 15년식 권총, 스기우라식 권총, 하마다식 권총, 94식 권총
리볼버 26년식 권총
조명탄 권총 90식 신호권총, 97식 신호권총, 해군 4식 더블배럴 산탄권총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11년식 경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92식 7.7mm 기총, 시제 1식/3식 경기관총
중기관총 3년식 기관총, 92/1식 중기관총, 93식 중기관총, 89/97식 고정 기관총, 98식 중기관총, 97식 중기관총, 98/1식 선회 기관총, 99식 기총
대전차화기 97식 자동포, 4식 7cm 분진포, 5식 8cm 분진포, 99식 파갑폭뢰, 갈고리 폭탄, 자돌폭뢰
화염방사기 93식 소화염발사기, 100식 화염발사기
척탄통 및 박격포 10식 척탄통, 89식 척탄통, 97식 곡사보병포, 94식 90mm 박격포, 96/97식 150mm 박격포
유탄 91식 파쇄 수류탄, 10식 파쇄 수류탄, 수류탄/일본군, 100식 총류탄발사기, 2식 총류탄발사기
냉병기 군도 일본 군도( 구군도/ 신군도), 30년식 총검, 35년식 총검
취소선 : 실전에 투입되지 않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보병장비 둘러보기
근대 (~1914) 대전기 (1914~1945) 냉전기 (1945~1991) 현대전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