潭 못 담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水, 12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5획
|
||||
미배정[1]
|
|||||||
-
|
|||||||
일본어 음독
|
タン
|
||||||
일본어 훈독
|
ふち
|
||||||
-
|
|||||||
표준 중국어
|
tá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潭은 '못 담'이라는 한자로, '깊다', ' 못'의 뜻을 지닌다. '물가 심'을 뜻하기도 한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6F6D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EMWJ(水一田十)로 입력한다.훈을 나타내는 水(물 수)와 음을 나타내는 覃(깊을 담)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실생활에 쓰이는 단어로는 잘 쓰이지 않는 한자이나, 이름과 지명으로는 상당히 많이 쓰인다. 한편 과거 교육용 한자로 분류되었기 때문에, 지명용으로 많이 쓰이는 한자임에도 2급 인/지명용 한자가 아닌 일반 한자로 분류되었다.
3. 용례
3.1. 단어
3.2. 인명
3.3. 지명
- 도담역( 嶋潭 驛)
-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 송담리( 松潭 里)
- 룡담역( 龍潭 驛)
- 백담사( 百潭 寺)
- 샹탄베이역( 湘潭 北 站)
- 샹탄역( 湘潭 站)
- 서울특별시 청담동( 淸潭 洞)
- 스탄역( 石潭 站)
- 잉탄베이역( 鹰潭 北 站)
- 전라남도 담양군(潭 陽 郡)
-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강진면 갈담리( 渴潭 里)
- 중탄루역( 中潭 路 站)
- 핑탄역( 平潭 站)
- 한라산 백록담( 漢 拏 山 白 鹿潭)
3.4. 창작물
3.5. 기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嘾(가득삼킬 담)
- 䊤(나물국 담)
- 𨅭[⿰𧾷覃](달릴 담)
- 禫/ 𧝓[⿰衤覃](담제 담)
- 䐺(맛있을 담)
- 𪍵[⿰麥覃](맛좋을 담)
- 𧰘[⿰壴覃](북소리 담)
- 蟫(빈대좀 담/음, 움직일 심)
- 贉(선금 담)
- 墰/ 罈(술단지 담)
- 醰(술맛좋을 담)
- 𦗡[⿰耳覃](시끄러울 담)
- 𪒤[⿰黑覃](어두울 담)
- 㜤(여자의자 담, 늘씬한모습 첨, 천할 념/심)
- 憛(염려할 담, 수심에잠길 염, 당황할 탐)
- 驔(정강이흰말 담)
- 㽑(즐길 담/탐)
- 橝(처마 담)
- 譚(클/말씀 담)
- 曋(해지는곳 담)
- 𩡝[⿰香覃](향기 담)
- 鐔(날밑 심)
- 瞫(볼 심)
- 鱏(철갑상어 심)
- 𢕯[⿰彳覃](달아날 점)
- 磹(돌쐐기 점)
- 𥢏[⿰禾覃](점삼 점)
- 燂(무를 첨/섬, 삶을 심, 불사를 담)
- 撢(더듬을 탐, 털어버릴 탄)
- 𢅀[⿰巾覃](담)
- 㻼(담)
- 𬻰[⿰下覃]
- 𫣗[⿰亻覃]
- 𭮠[⿰歹覃]
- 𦅰[⿰糸覃]
- 𨊈[⿰身覃]
- 𫖊[⿰革覃]
- 𮩐[⿰𩙿覃]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1972년 첫 제정 당시에는 고등용으로 배정되었지만, 2000년 개정 당시 제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