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2 17:02:28

홍익대학교/학부/미술대학

홍익대학교 미대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홍익대학교/학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대학 정보
역사 캠퍼스 도서관
입시 학교 법인 사건 사고
교육
학부 대학원 학사 제도
학생 정보
학생 활동 (학생회/ 동아리) 출신 인물 야구부
}}}}}}}}} ||

파일:홍익대학교_UI_Blue.svg 홍익대학교의 단과대학
서울캠퍼스
미술대학 공과대학 경영대학
문과대학 법과대학 사범대학 경제학부
{{{#!wiki style="margin: -16px -11px" 공연예술학부 미래융합학부
세종캠퍼스
과학기술대학 조형대학 상경대학
광고홍보학부 게임학부 }}}


[clearfix]

1. 개요

미술대학
美術大學 / College of Fine Arts
학부 일반대학원 특수대학원 연구소
- 금속조형디자인과
- 도예유리과
- 동양화과
- 디자인학부
(시각디자인/산업디자인)
- 목조형가구학과
- 섬유미술패션디자인과
- 예술학과
- 조소과
- 판화과
- 회화과
- 미술대학 자율전공
- 금속조형디자인과
- 도예과
- 메타디자인과
- 의상디자인과
- 동양화과
- 목조형가구학과
- 섬유미술과
- 예술학과
- 조소과
- 판화과
- 미술대학원
- 산업미술대학원
- 영상커뮤니케이션대학원
- 패션대학원
- 미술디자인공학연구소
- 환경미술연구소
- 동아시아예술문화연구소
미술대학/美術大學, College of Fine Arts[1]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이다. 서울캠퍼스에 편제되어 있다.

2. 상세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건축도시대학과 더불어 홍익대학교의 상징과 같은 단과대학으로 유명한데, 이는 1949년 6월 27일 우리나라 최초의 사립 미술대학을 개설하며 그 역사가 시작되었다.[2]

홍익대학교는 1961년에 5.16 군사정변으로 인해 들어선 군부가 대학비상령을 내려 미술대학 및 당시 미술대학 소속이었던 건축미술학과만 남기고 나머지 학과들을 강제로 폐과하면서 그 역사가 한 차례 끊긴 아픈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후 홍익대학교는 상경계열을 다시 부활시켜 현재의 경영대학 경제학부를 개설하고, 수도공과대학을 합병하여 공과대학을 개설하였다. 80년대에 이르러서는 문과대학 소속 학과들도 다시 개설하면서 다시금 종합대학으로 회귀한 한편, 강제 폐교되지 않고 유지 및 발전해온 미술/건축 분야의 학과들을 발전시켜나갔다.

디자인 학과의 경우 기업에서 리쿠르팅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 위해 졸업전시회를 준비한다. 그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졸업 작품을 필사적으로 준비하게 되며, 적게는 수십만 원에서 많게는 수백만 원에 달하는 비용을 아낌없이 투자한다. 보통 작품 외주 제작(완전 대행 제작이 아니라 학생이 준비한 도면, 모델링 데이터등을 기반으로 새끈한 모형을 뽑아주는) 의뢰비로 쓰인다. 이 과정에서 많은 학생들이 빚을 지는데, 그렇게 작품에 큰돈을 들여 놓고도 취직이 안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난처한 상황에 빠지게 되는 학생들이 계속 나온다.

대부분이 산업디자인 운송 클래스 출신이지만, 순수미술 등 다른 학과를 전공하고 석사과정을 거쳐 자동차 디자인을 하는 경우도 조금 있다. 2010년도 초반부터 입시체제가 현대화되면서 홍대를 목표로 하는 학생이라면 오히려 더욱 입시가 까다로워졌다. 실기고사 폐지로 인해 당시 큰 파장과 많은 비판을 받긴 했지만, 예술고등학교 학생들만의 높은 진학률과 '암기식 그림'에서 탈피했다는 성과를 보이며 폐지 당시부터 지원자가 급증했다고 한다. 하지만 경쟁률이 높은 만큼 오히려 입결 문턱이 더욱 높아졌는데, 수능 반영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더욱더 높은 성적과(2015학년도 정시에서 미술자율전공 입학생들의 평균 점수가 389.23이다.) 내신 점수(2015학년도 수시 기준 섬디가 교과, 종합 각각 평균 1.26, 1.5를 찍었고, 다른 과들도 평균 2점대 초반 밑으로 내려가지 않는다.), 서류(미술활동보고서) 등을 반영한다.

상식적으로 미술과 관련된 진로를 생각하는 학생이라면 학원은 안 다니더라도 적어도 학교에서 미술부에 가입하고 교내대회 등에도 참가할 것이며, 다양한 전시회도 관람하면서 미적감각을 향상시켰을 것이다. 이러한 미적 경험과 예술관, 자신만의 색깔 등은 단순히 학원에서 주구장창 연습한 것으로는 갖춰지지 않는다. 즉, 그림 그리는 기계가 아닌 자신만의 그림을 창작하고 자신의 작품에 관념적인 주제의식을 불어넣을 수 있는 학생을 뽑겠다는 것이다. 미술활동보고서를 대필해주는 학원 등도 존재하지만, 그렇게 해서 만들어진 것은 면접에서 밑천이 드러난다. 현실적으로 다른 학교들이 아직 실기고사를 실시하는 만큼, 홍대 하나만을 목표로 재수하는 수험생이 아닌 이상 실기고사 준비를 병행하는 학생이 대부분일테고, 대부분 적어도 중상위 정도의 필력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일 것이다.

사실 입시미술학원에서 배운 실기도 회화과나 동양화, 조소과처럼 입시미술이 대학에 가서도 영향력 있는 전공이 아닌 디자인과나 공예 관련 과의 경우 그 과에서 요구하는 실기 능력을 다시 처음부터 배워야 한다. 실제로 회화, 동양화과를 제외한 대부분의 입학생의 경우 졸업할 때까지 붓 한 번 잡아보기 힘들 것이다. 물론 순수 계열이더라도 대학에 가서 입시미술 스타일로 그리는 것은 곤란하다. 미대 공통 필수과목인 기초평면 과목에서 교수의 재량에 따라 물감을 접할 기회가 생길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도 실기고사가 폐지된 것을 감안하게 되므로 묘사력 위주로 평가하는 교수는 없다. 또한 실기력을 필요로 하는 학과의 경우 그 과에서 요구하는 실기능력을 1학년에 걸쳐 집중적으로 훈련시킨다. 예를 들어 산업디자인학과의 경우 5주 동안 500장을 그리라는 과제를 던져준다. 불운하게도 교수를 잘못 만난다면 1,500장도 과제로 나온다. 그 외에도 디자인 계열의 경우 포토샵 일러스트레이터 등 기초적인 프로그램 다루는 법을 가르쳐 주고, 하지만 최고의 선생님은 유튜브 시디과나 회화과의 경우 이미지 저작권에서 자유로울 수 있게 직접 사진을 가르친다. 여기서 낙오되지 않는 학생은 대부분 그 학과 실무에 적합한 실기력을 갖추게 된다.

캠퍼스자율전공(이하 캠자)에서 미술대학으로 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캠퍼스자율전공 자체는 2007년부터 존재했는데, 초기에는 건축학부나 미술대학으로 학생들이 몰려서 수용 가능한 인원을 초과할 것을 막기 위해 건축대나 미대로 진입하기 위한 조건을 아주 어렵게 잡고, 캠자로부터 넘어올 수 있는 TO를 미리 설정했었다. 16학년도 입시의 경우 미술대학 디자인학부는 학점 평균 B0학점 이상인 자를 대상으로, 아래 이수 교과목의 학점 평균 성적순으로 14명을 선발했으며, 건축학부의 경우 입학 후 학점 성적이 아닌 입학성적 순으로 수시 상위 24명과 정시 상위 24명만이 건축학부 진입을 선택할 수 있었다. 이미 TO가 정해져 있는 상태였기에 캠퍼스자율전공에서 미대로 진입하는 학생들은 대부분이 미대입시를 꾸준히 준비해온 경우가 대부분이라 굳이 본인이 말하지 않으면 자전으로 입학했는지 다른 사람들이 알 수가 없었다.

그러나 17학번 신입생부터는 이러한 수능 성적 제한과 TO 제한을 폐지하고 필수 이수과목을 두고, 그 과목들의 평균학점 성적으로 진입제한을 두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이로 인해 미술실기를 해본 경험이 없는 학생도 디자인학부로 진입하는 것이 비교적 쉬워졌다. 16학번부터 19학번까지는 미술대학 및 건축대학 소속 학과로 진입하려면 각 학과에서 지정하는 교과목을 모두 이수하여야 하며, 대상 교과목의 학점 평균이 B0학점 이상이 나와야 진입할 수 있었다. 그러나 20학번부터는 미술대학 내의 모든 학과와 건축도시대학 내의 건축학부(건축학전공, 실내건축학전공)로 진입하기 위한 지정 과목 학점 평균 제한이 B0 이상에서 B+학점 이상으로 강화되었다. 그리고 21학번부터는 건축학부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A0학점 이상을 받아야 한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미술대학과 건축학부의 학년별 인원은 17학번을 기점으로 크게 바뀌었는데, 예를 들어 건축학부의 경우 17학번 이전에는 각 학년별 인원이 60명 수준이었다면 진입 기준이 완화된 17학번 이후부터는 캠자로부터 합류하는 인원이 늘어나면서 200명에 육박하는 인원이 한 학년을 구성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이로 인해 미대와 건축학부에서 실기실 부족 문제 등이 불거지면서 캠퍼스자율전공의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얻는 이익보다 대규모로 불어난 실기과 학생들을 감당하기 위해 들어가는 손실이 더 크다고 판단했는지, 다시금 건축학부와 미대로의 진입 조건을 어렵게 설정하고 있는 추세다.

정시모집과 수시모집 모두 실기시험을 실시하지 않고 학생을 선발하기 때문에 실기력 논란이 불거지기 경우도 있다. 교수진들로부터 실기제 폐지와 학생의 질에 관한 논란이 제기되기도 하며, 지나치게 실기제 폐지의 우수성을 강조하는 것은 위험하다. 사실 실기폐지에 대한 의견은 교수들마다 제각각이며, 입시체제가 변경된지 5년이 넘고 비실기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이 절대 다수가 되었기 때문에, 이에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교수들도 노골적으로 반대 의견을 피력하지는 않는다.

2.1. 시설의 열악함

상당히 많은 미대생들이 제기하는 문제인데, 시설이 어마무시하게 열악하다. 건물은 다 쓰러져 갈거같은 데다가, 수업+작업할 공간도 넉넉치 않다. 공간문제에서 여유로운 과는 정말 몇 없다. 참고로 한 시디과 수업의 경우 준비물에 무려 의자가 있었다. 다른 이유도 아니고 앉을 의자가 없어서 수업을 듣기 힘들다는 점은 쉽게 넘어갈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공간문제는 비단 미술대학만의 문제는 아니지만, 작업공간이 학교 곳곳에 흩어져 있는데다가 절대적인 공간 자체가 부족해서 Z동에 미대공동실기실을 만들거나[3], 디자인과 학생들의 경우 아예 인근 24시간 카페에서 야간작업을 하는 등 학생들이 교육권을 보장받지 못하는 수준이다. 그나마 디자인과처럼 카페에서 작업이 가능한 것이 나을 수도 있다. 순수미술학과의 경우 대개 짐이 너무 많아 어쩔 수 없이 좁고 지저분하고 열악한 실기실을 그냥 써야하는데 돈 좀 있는 학생들은 외부 실기실을 구해서 작업을 하기도 한다. 지금 짓고있는 미대 종합강의동의 공간배분 문제가 괜히 불거진 게 아니다.

학생수 대비 전임교원비율도 처참하기 그지없다. 미대 내에서 나름 대형과에 속하는 산디과의 졸전담당(크리틱 등) 교수가 단 1명 밖에 없었으니 말 다한것. 인원이 상당히 많은 시디과의 경우 교수의 수가 부족하여 아예 전공수업을 못 듣는 경우도 있다. 홍대 미대의 시설은 정말 답이 없는 수준이다. 그나마 있는 장비들도 자주 고장이 나고, 고치는 데도 시간이 많이 걸린다.

오죽하면 홍대 미대생의 아웃풋이 좋은 이유가 너무 열악하게 대학생활을 하며 강해져서 어디 가서든 살아남기 때문이라는 우스갯소리도 있다.

사실 학교에서 투자를 안 하는데도 꾸준히 실력있는 예술가들이 배출되는 큰 이유는 캠퍼스 자체 환경보다 홍대 앞의 다양하고 풍성한 문화가 있는 환경이 미대생 역량을 키우는데 좋은 것도 큰 몫을 한다. 이는 건축학과도 마찬가지다.

3. 역사 및 연혁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의 연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자세히 보기 ]
1946 04.25. 재단법인 홍문대학관을 설립
1948 08.10. 재단법인 홍익학원 설립 인가, 홍문대학관 설립
12.10. 교사를 용산구 문배동 24의 8로 이전
1949 홍익대학(Hongik College)으로 개편 인가
- 6월 27일 법학부, 문학부, 초급 대학부의 4년제 홍익대학으로 인가
- 8월 교사확장을 위해 건국실천원양성소를 매입하여 그곳에 미술과를 설치
- 10월 교세확충을 위해 인천시 만석동에 분교를 설치
06.27. 한국의 최초의 미술과 개설
1950 06.25. 한국전쟁 발생
- 부산시 부평동과 대신동 및 대전시 성남동에 각각 분교를 설치하고 전시대학 운영
- 환도 후에는 종로구 누상동에 대학 본부를 두고 중구 남산동과 종로구 인사동에 분산하여 운영
1953 03.23. 미술과 첫 졸업생 배출 - 미술학 6명
1954 미술학부 개설 (회화과, 조각과, 건축미술과)
03.09. 증과ㆍ증원조정 : 문학부(4개학과), 미술학부(3개학과), 법정학부(2개학과), 이학부(2개학과)
1955 05.19.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수동으로 교사 이전 (현 위치)
1958 건축미술학과 1회 졸업생 배출
03. 대학원 건축학과 개설, 대학원 석사과정 설치 인가
1960 강원도 원주시에 제2부(야간) 설치(3개학과)
1961 문교부 대학정비령에 의해 미술학부 4개과(공예과ㆍ회화과ㆍ조각과ㆍ건축미술학과)만 존치하고 기타 학과는 강제폐과
홍익미술대학으로 교명을 변경
1962 홍익대학으로 교명을 다시 환원
1964 02.03. 미술학부/공예학부/건축학부 학과 분리개설
증과ㆍ증원조정
- 미술학부(동양화과ㆍ서양화과ㆍ조각과)
- 공예학부(공예과ㆍ도안과)
- 건축학부(건축과)
- 상경학부(상학과ㆍ경영학과ㆍ경제학과ㆍ무역학과)
1966 12. 건축학부 건축과를 공학부 건축공학과로 개편
1969 10. 홍익대학 미술관 개관
1971 12.31. 수도공과대학(8개학과, 정원1,040명) 인수합병
- 전기공학, 기계공학, 토목공학, 정밀기계공학, 화학공학, 금속공학, 공업교육
종합대학교로 승격 (당시 종합대학이 되기 위해서는 3개 이상의 단과대학이 필요했음)
- 3개 단과대학(이공대학ㆍ상경대학ㆍ미술대학), 20개 학과, 1개 대학원 구성의 편제
- 이공대학 신설(홍익대학 공학부 및 수도공과대학을 계승, 건축공학과 외 11개 학과)
- 홍익대학(Hongik College)에서 홍익대학교(Hongik University)로 교명 변경
미술대학 단과대학으로 승격
- 미술대학 소속 학과 명단
- 미술학부 : 회화과(전공 : 동양화, 서양화), 조소과
- 공예학부 : 응용미술과(전공: 금속공예, 도자기공예, 목칠공예, 섬유공예, 상업도안), 공업도안과
1972 산업미술대학원 신설 (3개 학과, 10개 전공, 주·야간)
- 학과명 : 산업디자인과, 환경디자인과, 산업공예과
1976 09.06. 미술대학을 실험대학으로 승인
- 미술계열/디자인계열 계열별로 모집
1978 10. 이공대학을 공과대학으로 개편, 건축공학과를 건축학과로 개편
10.10~11.15. 개교30주년기념 미술대학 전시회
- 서울(홍대박물관 10.10~10.17) > 대구 > 부산 > 광주
1988 10.29. 미술대학 공예과 4개학과로 분리
- 학과명 : 금속공예과, 도예과, 목공예과, 섬유미술과
조치원 캠퍼스 산업대학(11개학과) 신설
1996 환경대학원이 건축도시대학원으로 명칭 변경
10.21~10.26. 건학 50주년 기념전
- 국제교류미술전
- 조선시대 특별회화전 (11.03~11.31)
- 동문 미술초대전 (12.04~12.10)
1997 10.25. 미술대학원 신설
건축학과 해외 활동
- 건축학과 주최로 오스트리아 건축전 개최
- AA School(영국 건축협회 건축학교) 교류 협약 채결
- IIT(Illinois Institute of Technology)와 자매결연
1999 11.02. 특수대학원 전공신설
- 산업대학원 미술디자인계열-애니메이션 전공 신설
- 일반대학원-공예디자인과 전공별 학과분리
2002 07.10. 미술대학 자율전공제 시행 (2003학년도부터)
대학로 캠퍼스 개설
2004 홍익대학교 미술학부(회화과, 조각과, 건축미술과) 50주년
09.01.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IDAS) 신설
2005 03.01. 박사과정 학과 및 전공 신설
- 광고커뮤니케이션학과 신설
- 디자인·공예학과-색채전공 신설설
2006 03. 건축대학 발족(초대학장 장미셀 빌모트 취임)
- 공과대학 건축학과를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으로 개편
- 건축학부 실내건축학전공 신설
미술대학 시각디자인과와 산업디자인과를 디자인 학부(전공 : 시각디자인, 산업디자인)로 통합
06.27~07.07. 건학 60주년 기념 국제 교류전
- 국제미술제(한·중·일)
2009 10.12~10.25. 미술대학 60주년(1949~2009) 기념 홍익 아트·디자인 페스티벌 개최
- 학생·교수·동문 작품전
- 패션쇼 및 영상제
- 학술제
10.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개관
2010 12.06~12.19. 미술대학, 대학원 교수 작품전
2012 12. 대학로 Art Center(대·소공연장, Gallery) 개관
2014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60주년(1954~2014)
2015 02. 세종캠퍼스 세종관 준공
2016 01. 서울캠퍼스 미술종합강의동, 제2기숙사 준공
06. 홍익대학교 개교 70주년 기념 국제미술교류전
2017 12. 제3기숙사 준공
2018 09. 미술학관 리모델링
연혁
}}}}}} ||

4. 학부

4.1. 금속조형디자인과

금속조형디자인과 / 金屬造形設計科, Dept. of Metal Art and Design
- 1958 : 홍익대학 미술학부 공예과
- 1963 : 홍익대학 미술학부 공예과 금속공예전공
- 1965 : 홍익대학 공예학부 공예과
- 1967 : 홍익대학 공예학부 공예과
- 1969 : 홍익대학 공예학부 응용미술과 금속공예전공
- 1972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공예학부 응용미술과 금속공예전공
- 1977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응용미술과 금속공예전공
- 1989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금속공예과
- 1998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금속조형디자인과

대장장이 뚱땅뚱땅의 이미지가 있지만 사실 그것만 하는 건 아니다. 학과명에서도 볼 수 있듯이, 금속조형과 금속디자인을 동시에 배우는 과다. 라이노 수업이 일학년부터 체계적으로 갖춰져 있으며 학년이 올라가며 공예적인 수업 외에도 가구 디자인 수업이나 디자인프로세스 수업이 개설되는 것을 찾아볼 수 있다. 금속과 관련된 폭넓은 작업 프로세스를 배우며 다양한 제작 공정을 다룬다.

또한 금속 뿐만 아니라 타재료를 금속에 적용하는 것에 학내에서 적극적이므로, 소재에 관심이 많은 산업디자인과 학생들이 복수전공을 신청하며, 이전에 그들이 경험한 목업작업과 차원이 다른 신체적 노동 강도에 허를 내두른다. 그럼에도 복전 학생들이 많으며 학점이 좋은 금디 학생들도 곧잘 산디에 복전한다. 두 과의 시너지가 좋아 업계에서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한다.

가끔 금속조형디자인과를 '금조디'로 줄여 부르는 경우가 있는데, 학과에서 사용하는 정식 명칭은 '금디'이다.
홍익대학교 금속조형디자인과 교육과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개설 교과목 ]
분야 과목명
}}}}}} ||
홍익대학교 금속조형디자인과 소속 교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소속 교원 명단 ]
성명 직위 전공분야 전공(학위) 학위취득대학
}}}}}} ||

4.2. 도예‧유리과

도예‧유리과 / 陶藝‧琉璃科, Dept. of Ceramic and Glass
- 1958 : 홍익대학 미술학부 공예과
- 1963 : 홍익대학 미술학부 공예과 도자기공예전공
- 1965 : 홍익대학 공예학부 공예과
- 1969 : 홍익대학 공예학부 응용미술과 도자기공예전공
- 1972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공예학부 응용미술과 도자기공예전공
- 1977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응용미술과 도자기공예전공
- 1989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도예과
- 2003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도예유리과
홍익대학교 도예유리과 교육과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개설 교과목 ]
분야 과목명
}}}}}} ||
홍익대학교 도예유리과 소속 교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소속 교원 명단 ]
성명 직위 전공분야 전공(학위) 학위취득대학
}}}}}} ||

4.3. 동양화과

동양화과(혁신동양) / 東洋畵科, Dept. of Oriental Painting
- 1949 : 홍익대학 문학부 미술과
- 1954 : 홍익대학 미술학부 회화과
- 1958 : 홍익대학 미술학부 회화과 동양화전공
- 1965 : 홍익대학 미술학부 동양화과
- 1969 : 홍익대학 미술학부 회화과 동양화전공
- 1972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미술학부 회화과 동양화전공/교육학부 미술교육과
- 1977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동양화전공
- 1978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홍익대학교 동양화과 교육과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개설 교과목 ]
분야 과목명
}}}}}} ||
홍익대학교 동양화과 소속 교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소속 교원 명단 ]
성명 직위 전공분야 전공(학위) 학위취득대학
}}}}}} ||

4.4. 디자인학부

디자인학부 / 設計學部, School of Design
전반적으로 높은 입시 난이도를 요구하는 것은 다른 과도 마찬가지이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높은 입결을 자랑한다. 미술대학 내 가장 많은 학생수가 재적중이다. 시디와 산디를 묶어서 뽑기 때문. 물론 학기초 몇몇 행사(퓨휴전-디자인학부 연합전시, 디자이너스컵)[4] 를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행정업무도 분리되어 이뤄지고 있는 등 사실상 완전히 분리된 학과이지만, 재학 중 1회에 한해 재학중 전공을 옮길 수 있다.

4.4.1. 시각디자인전공

시각디자인전공 / 視覺設計專攻, Visual Communication Design Major
- 1958 : 홍익대학 미술학부 공예과
- 1963 : 홍익대학 미술학부 공예과 도안전공
- 1965 : 홍익대학 공예학부 도안과
- 1966 : 홍익대학 공예학부 도안과/도안과(2부)
- 1967 : 홍익대학 공예학부 공업도안과/도안과(2부)
- 1969 : 홍익대학 공예학부 응용미술과 상업도안전공
- 1972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공예학부 응용미술과 상업도안전공
- 1977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산업도안과 상업디자인전공
- 1988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시각디자인과
- 2006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시각디자인전공

파일:ㅎㅇㅅㄷ.svg

시각디자인전공 홈페이지

시각디자인 전공은 사진/영상/광고/일러스트레이션/타이포그라피/인터랙션 여섯 분야에 걸쳐 다양한 수업이 개설되어 있다. 타이포그래피, 사진, 영상, 광고, 시각환경디자인 등등 다양한 분야의 학술 소모임들 또한 매우 활성화 되어있는 편. 학생수에 비해 교원수가 턱없이 부족한 사정으로 인해 수강신청 실패 후 휴학하는 케이스가 매우 흔하다. 2017학년도에 캠퍼스자율전공 학생들의 진입제한이 사실상 폐지됨에 따라 전공진입실패라는 리스크가 사라지고 나서 디자인학부에 오는 자전 학생들이 평년에 비해 매우 늘어났는데, 학교 측에서 어떻게 대응할지가 관건이었으며 17학년도 신입생 수는 220명이었다.[5]

기초 그래픽 디자인, 문자와 조형 요소를 다루는 타이포그래피, 더 나아가 사진 및 영상을 비롯한 실사 작업을 기반으로 하여 편집 디자인, 모션 그래픽 및 영화를 비롯한 영상 미술, 광고, 브랜딩과 패키징, UI/UX 등 다양한 분야의 디자인을 배운다. 산업디자인과는 관심사에 따라 정해진 필수 트랙이 있어 스튜디오 별로 독립된 반이 존재하지만, 시각디자인과의 경우 다양한 스튜디오 수업을 학생의 관심 분야대로 자유롭게 수강신청해 입맛대로 경험해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미대 안에서 가장 많은 쪽수를 자랑한다. 졸업전시 참가인원과 부스도 타과와는 스케일부터가 다르다.

이에 비해 상대적인 학습환경이 열악하여 전공 수강신청을 실패하는 일도 꽤나 벌어진다고. 교내에서 이 과를 복수전공하려는 인기가 탑을 달리며 보통 학점이 4점대는 돼야 그나마 노릴수 있을 정도. 특이하게 내부에 사진 관련 수업이 개설되어 있는데, 보통 사진과가 독립적으로 개설되어 있는 다른 학교와는 꽤나 차이나는 모습이다. 사진 수업에 있어서는 현업 사진 작가로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는 작가를 초빙하여 가르치는 편. 특히 시디과는 일반적으로 미대 타과생(특히 순수미술 계열)들이 실기실에서 작품 만드느라 고생하는 반면, 여기 학생들은 카페에가서 팀플을 하고 컴퓨터로 작업한다. 형제 수준인 산디과도 목업이나 클레이 작업 등 육체 노동을 요구하는 실기작업을 하는데 비해 여기는 그냥 컴퓨터로 결과물 만들어서 인쇄소에서 출력하면 끝이며 아예 파일로 제출하는 경우도 있다. 당연하겠지만 시디과 또한 엄연히 미대이므로 물감에 찌들어 살 일이 거의 없을 뿐 과제의 양과 스케일은 학년이 올라갈 수록 부담스럽게 다가온다.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과 교육과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개설 교과목 ]
<rowcolor=#fff> 분야 과목명
}}}}}} ||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과 소속 교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소속 교원 명단 ]
<rowcolor=#fff> 성명 직위 전공분야 전공(학위) 학위취득대학
}}}}}} ||

4.4.2. 산업디자인전공

산업디자인전공 / 産業設計專攻, Industrial Design Major
- 1958 : 홍익대학 미술학부 공예과
- 1963 : 홍익대학 미술학부 공예과 도안전공
- 1965 : 홍익대학 공예학부 도안과
- 1966 : 홍익대학 공예학부 도안과/도안과(2부)
- 1967 : 홍익대학 공예학부 공업도안과/도안과(2부)
- 1969 : 홍익대학 공예학부 응용미술과(2부)
- 1972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공예학부 공업도안과
- 1977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산업도안과 공업디자인전공
- 1987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산업디자인과
- 1988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공업디자인과
- 1994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산업디자인과
- 2006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산업디자인전공

산업디자인 전공은 공간반/운송반/제품반 세 개의 클래스로 나뉘어있고, 각자 커리큘럼이 존재한다. 공간반의 경우 사실상 실내건축학과와 커리큘럼이 매우 유사하다. 특이한 점은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 건축학부 내에 실내건축학전공이 따로 존재한다는 점. 운송반의 경우 세계적인 수준의 교육환경이라고 알려져있다... 라고 하지만 홍대 미대의 고질적인 열악한 시설로 인해 학생들이 건강을 갈아 과제를 하므로 결과물이 좋은 것이다. 산업디자인 전공 또한 시각디자인 전공과 마찬가지로 소모임이 활성화되어있는 편. 시각디자인 전공에 비해 학생 수는 적은 편이지만 미대 내 타과에 비하면 압도적으로 많은 편이다. 미술대학 내에서 취업률이 가장 높은 축에 드는 이유로, 인기가 많아 복수전공을 하려는 타과생이 많은 편이다. 2017학년도 이전까지는 캠퍼스자율전공에서 올 수 있는 사람 수가 대략 10여명 안팎으로 그 TO가 정해져있었으나[6] 2017학년도부터 자율전공학부의 진입제한기준이 지정이수과목 평균 3.0 이상으로 많이 낮아짐에 따라 디자인학부의 덩치가 매우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전공 수업은 컴퓨터를 많이 사용하는 편이다. 애초에 렌더링, 그래픽, 영상 등을 배우는 과이다 보니 컴퓨터와 친숙할 수 밖에 없다. 리서치 수업이 상당히 많이 개설되어있는데, 듣다 보면 이게 미술 전공인지 경영 전공인지 의심스러울 정도. UX수업에서 리서치만 배우고 한학기가 끝날 때도 있다. 그만큼 단순 작업 외에도 사례 조사(Case Study)를 통한 아이디어의 전개 과정을 중요시한다.

내부적으로 크게 운송디자인, 제품디자인, 공간디자인의 세가지 세부전공으로 나뉜다. 시디과가 스튜디오(작가적, 기업적, 사회문화적) 수업이 독립되어 있지 않고 선택에 제한이 없는 반면에, 산디과는 앞서 말한 세가지 세부전공이 독립적으로 돌아간다. 중간에 세부전공을 갈아타면 스튜디오 수업을 처음부터 다시 들어야 한다. 그 영향인지 시디과가 개인주의적인 면모가 있는 반면 산디과는 집단적으로 뭉쳐 돌아가는 경향이 강하다. 하지만 시대가 시대인지라 이러한 단결력이 약해지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특히 이런 경향은 디자이너스컵이나 체육대회, 축제 등에서 두드러진다. 예전부터 축제 때 주점으로 을 세우는 것으로 유명했으며, 안전문제로 돔을 사용하지 않은 2015년부터도 미대 안에서도 차별화되는 주점으로 전통을 이어나가는 중이다. 남녀 성비가 거의 1:2를 이루는 것으로도 유명하며 전에는 1:1로 적혀 있었는데 그 정도는 아니다. 학번 당 남학생이 많으면 40퍼센트 정도, 적을때는 20% 이하인 경우도 있다. 그럼에도 간혹가다 한학번에 남학생이 한명조차 없는 경우가 생기는 다른과에 비하면 상당히 많은 편이다.

상대적으로 남학생들이 학과행사나 회식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경향이 있어서 체감상 남학생이 더 많아보인다. [7] 이는 운송디자인 때문으로, 여기는 심지어 남초다. 산디과 내부의 학술소모임으로는 제품디자인 소모임 '스튜디오 i', 운송디자인 소모임 '카스텍'[8], 공간디자인 소모임 '덤벙주초', 사진 소모임 '콘트라', 컨셉아트 소모임 'G-Lab'이 있다. 모두 매년 퓨휴전에 작품들을 출품한다. '히드라스'라는 축구소모임과 '플라이트'라는 농구 소모임이 존재한다. 재학생과 졸업생을 막론하고 졸업한 고학번들도 참여해 새내기들과 함께 공을 찬다.
홍익대학교 산업디자인과 교육과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개설 교과목 ]
분야 과목명
}}}}}} ||
홍익대학교 산업디자인과 소속 교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소속 교원 명단 ]
성명 직위 전공분야 전공(학위) 학위취득대학
}}}}}} ||

4.5. 목조형가구학과

목조형가구학과 / 木造形家具學科, Dept. of Woodworking and Furniture Design
- 1958 : 홍익대학 미술학부 공예과
- 1963 : 홍익대학 미술학부 공예과 목칠공예전공
- 1965 : 홍익대학 공예학부 공예과
- 1969 : 홍익대학 공예학부 응용미술과 목칠공예전공
- 1972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공예학부 응용미술과 목칠공예전공
- 1977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응용미술과 목칠공예전공
- 1989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목공예과
- 1995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목조형가구학과
여타 미술 관련 학과들과는 달리 장인을 양성하려는 성향이 강한 편이다. 선후배 간의 관계가 돈독한 편으로, 군기 역시 세...었지만 2016년 기준 군기 따윈 전혀 없다. 아무래도 위험한 공구를 많이 다루고 잠깐 한 눈 팔면 손가락이 날아가거나 갈려버릴 수도 있는, 사용에 주의를 요하는 위험한 공구들이 한가득이다. 힘을 쓰는 일이 많은 과 특성상 전공 과목 대부분이 상당히 빡센 편이며, 이 때문인지 학업을 중도에 포기하고 바로 취직하여 프로로 일하는 경우도 상당히 많다. '왠지 미대 학과중에서 취업률이 높은 것으로 유명해서 학과 중퇴자도 취직이 잘된다는 괴소문이 이 항목에 적혀있기도 했는데, 그 소문의 사실여부는 둘째치고 취업률이 생각보다 높진 않다'라고 적혀있었지만, 2016년 이후로는 다시 어느정도 맞는 소리임이 입증되었다 . 대학알리미에 따르면 2016년 66%, 2017년 77%, 2018년 74%로 미대 취업률 치고는 굉장히 선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미대 취업률이 2018년을 기준으로 홍익대 패디과 66%, 산디과 70%, 시디과 64%이다. 산디과는 2017년에 81%를 달성했던 전통적인 미대 취업률 상위 학과이지만, 2018년 기준 목조과가 역전한 것이다. 2014년, 2015년 이후로 취업률이 급상승했다.
홍익대학교 목조형가구학과 교육과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개설 교과목 ]
분야 과목명
}}}}}} ||
홍익대학교 목조형가구학과 소속 교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소속 교원 명단 ]
성명 직위 전공분야 전공(학위) 학위취득대학
}}}}}} ||

4.6. 섬유미술패션디자인과

섬유미술패션디자인과 / 纖維美術衣類設計科, Dept. of Textile Art and Fashion Design
- 1958 : 홍익대학 미술학부 공예과
- 1963 : 홍익대학 미술학부 공예과 섬유공예전공
- 1965 : 홍익대학 공예학부 공예과
- 1969 : 홍익대학 공예학부 응용미술과 섬유공예전공
- 1972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공예학부 응용미술과 섬유공예
- 1977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응용미술과 염색전공
- 1989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섬유미술과
- 2003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섬유미술패션디자인과
대부분이 '패션디자인'하면 떠올리는 의상 디자인보다는, 섬유 그 자체에 대해 접근하는 풍조가 강하다. 졸업 전시를 보더라도 의상보다는 섬유가 가지고 있는 재질감과 그것을 바탕으로 응용한 실험적인 작품이 대다수다. 그래서 그런지 과 이름 또한 '섬유미술'이 붙어있으며, 여기에 충실하다. 그래도 패션 계열이라 그런지, 미대 내에서도 여러모로 센스가 독특한 학생이 많이 모여있다.
홍익대학교 섬유미술패션디자인과 교육과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개설 교과목 ]
분야 과목명
}}}}}} ||
홍익대학교 섬유미술패션디자인과 소속 교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소속 교원 명단 ]
성명 직위 전공분야 전공(학위) 학위취득대학
}}}}}} ||

4.7. 예술학과

예술학과 / 藝術學科, Dept. of Art Studies(Art History and Theory)[9]
- 1987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예술학과
미술대학에 소속된 유일한 비실기과로 묘한 정체성을 발휘한다. 실제로 교과과정 소개 책자에 나와있는 졸업학점 등에서도 예술학과는 미술대학이 아닌 일반 인문계열과 함께 묶이고, 졸업장에도 인문학사로 발부된다. 미술대학 공통 전공선택 과목도 들을 수 없다.(타 미술대학 학생들 학점 문제로 수강이 금지되었음) 학생들 스스로도 간혹 정체성 혼란을 느끼기도 한다. 소속된 학생들의 성향은 분명 미대와 인문대의 중간 쯤으로 특이하고도 특이하다.
1학년부터 4학년까지의 평균 학점이 3.7~3.8이라는 소문이 있는 어마어마한 과이다. 교양에서는 전부 a를 받는 학생들도 전공으로 오면 c가 뿌려져 있는 현상을 발견한다고 한다. 4를 넘어도 "와 공부 진짜 잘한다." 라는 말을 들을 수 없는 과로, 4.2 정도 이상부터 공부로 인정 받을 수 있다. 실제로 4.5받는 학생들이 한 학기에 3~4명 정도 존재하는 미친 과. 항상 예술학과라고 하면 받는 질문은 "그건 어떤 과에요? 그래서 뭐 배워요? 나와서 뭐해요?" 졸업할 때까지 외부에서 받는 질문이기 때문에, 처음엔 성심껏 답하다가 후에 귀찮아지는 예술학과 학생들은 '미학 배운다, 미술사 배운다.' 식으로 대충 답을 하는 스킬이 생긴다. 혹은 복수전공을 하는 학생일 경우 설명의 귀찮음 때문에 복수전공 과를 전공으로 말하기도 한다.

공부 내용으로는 예술 관련된 인문학(미술사 미학 등), 사회과학(예술심리학 예술사회학 등)과 함께 제 2의 외국어(불어 혹은 독일어), 전시 관련 공부와 박물관 행정 등 다양성과 함께 엄청난 양과 난이도를 자랑한다. 양과 난이도도 문제는 문제인데 진짜 문제는 흥미와 관심이 없다면 절대 공부할 수 없다는 분야다. 미술사 같은 경우 과목 명이 매력적이라(르네상스 미술사 미학개론 등) 교양과목이 부족한 홍대에서 타과생이 흥미삼아 수강했다가 학점 및 수업에서 피를 보는 경우가 많다. 특히 3-4학년 전공수업은 미친 분량과 미술철학 미술사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이 있다는 전재 아래 진행된다.
실제로 그냥 성적 맞추어 들어온다거나 제대로 모르고 들어오는 일도 없는 과인게 수시 예비가 안 빠지기로 유명하다. 수능 커트라인이 높고 실기의 비중이 낮다. 그만큼 마니아들이 많이 지원하는 과라는 뜻. 1학년 수업 한 달 안에 반수를 결심하게 된다. 공부 분야도 분야이다 보니 사람들이 다들 자기 세계가 미친 듯이 깊어 덕술학과라고 불리기도 한다. 고등학교 때까지 '이 분야에서만은 내가 최고다.' 라고 생각할만큼 무언가에 덕질을 했던 사람들도 이 과에 오면 자신보다 대단한 선배를 항상 마주하게 된다.
홍익대학교 예술학과 교육과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개설 교과목 ]
분야 과목명
}}}}}} ||
홍익대학교 예술학과 소속 교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소속 교원 명단 ]
성명 직위 전공분야 학위취득대학
하선규 교수 서양근현대미학 베를린 자유대학교
전영백 교수 서양미술사/현대미술이론 리즈 대학교
정연심 교수 근현대미술이론 뉴욕 대학교
김미진 교수 조형예술 파리 제1대학교 팡테옹 소르본
권지연 부교수 동양미술사/한국미술사 프린스턴 대학교
김은지 부교수 현대미술이론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
이필 부교수 현대미술/사진 시카고 대학교
지민경 부교수 동아시아미술사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Joinau Benjamin 부교수 문화인류학 파리 경제학교
손수연 조교수 미술사 위스콘신 대학교
유재빈 조교수 고고미술사 서울대학교
이임수 조교수 미술사/미술이론 플로리다 대학교
금빛내렴 초빙교수 미학 홍익대학교
전예완 초빙교수 미학 서울대학교
이순아 강사 미학 홍익대학교
최소영 강사 미학 홍익대학교
김병주 외래교수 조소 홍익대학교
이지연 초빙교수 미술사 스트라스부르 대학교
최경원 외래교수 미술사 캔자스 대학교
안영주 초빙교수 미술비평 홍익대학교
장원 강사 미술비평 홍익대학교
}}}}}} ||

4.8. 조소과

조소과 / 彫塑科, Dept. of Sculpture
- 1949 : 홍익대학 문학부 미술과
- 1954 : 홍익대학 미술학부 조각과
- 1969 : 홍익대학 미술학부 조소과
- 1972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미술학부 조소과
- 1977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미술대학 중에서 육체적 노동 강도가 가장 높다. 커리큘럼 상으로 순수예술계에서 다루어지는 거의 모든 기술을 배울 수 있다. 흙, 석고, 나무, 돌, 철, 플라스틱, 3D 그래픽 등 커리큘럼의 모든 강의를 수강한다면 이론상 모든 매체를 다룰 수 있게 된다. 저학년에는 기술위주의 강의가 주를 이루며, 고학년이 되고 나서야 이론 강의가 강화된다. 자신만의 포트폴리오를 쌓는다는 것도 3학년은 되어야한다. 자유방임주의라는 말이 가장 어울리는 학과. 학생이 먼저 작업 방향성을 제시하지 않는다면, 교수님들도 별다른 지시사항이 없다. 정말 다양한 것을 배우는 학과인 만큼, 학생들 개개인의 개성이 몹시 강한 편이다. 그만큼 졸업 이후의 진로도 미술대학에서 가장 다양한 축에 속한다.
홍익대학교 조소과 교육과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개설 교과목 ]
분야 과목명
}}}}}} ||
홍익대학교 조소과 소속 교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소속 교원 명단 ]
성명 직위 전공분야 전공(학위) 학위취득대학
}}}}}} ||

4.9. 판화과

판화과 / 版畫科, Dept. of Printmaking
- 1988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판화과
특이하게도 회화과 내에 편입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떨어져 나와있다. 열악한 작업 환경으로 인해 곤욕을 치르고 있다. 커리큘럼은 기초 실력을 연마하며 목판, 실크스크린, 동판화부터 시작해서 석판화, 더 나아가 디지털 프린팅과 사진제판까지 다루는 구조로 이뤄져 있다. 특이한 점은 일러스트레이터 아웃풋이 많다.
홍익대학교 판화과 교육과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개설 교과목 ]
분야 과목명
}}}}}} ||
홍익대학교 판화과 소속 교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소속 교원 명단 ]
성명 직위 전공분야 전공(학위) 학위취득대학
}}}}}} ||

4.10. 회화과

회화과 / 繪畫科, Dept. of Painting
- 1949 : 홍익대학 문학부 미술과
- 1954 : 홍익대학 미술학부 회화과
- 1958 : 홍익대학 미술학부 회화과 서양화전공
- 1965 : 홍익대학 미술학부 서양화과
- 1969 : 홍익대학 미술학부 회화과 서양화전공
- 1972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미술학부 회화과 서양화전공
- 1977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서양화전공
- 1978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 1990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입학 전형에서 실기시험이 사라진 후 기초조형능력을 증진시키는 목적으로 개설된 저학년 커리큘럼에 대한 불만이 존재한다. 학풍은 자유롭고 각자의 개성을 존중이라 쓰고 상호 무시라 읽는다하는 분위기. 졸업 전시에서도 자유 분방한 화풍을 보여주는 학생이 많고, 실험적인 작업 또한 자주 등장. 취업의 압박에서 자유로운 편이나. 대신 자신의 생존 방식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해야 한다.(!) "이들이 직업을 구할 수 있는 유일한 곳은 고대 그리스일테니까." 실제로 회화과를 나와 디자이너로 전향하여 취직하는 졸업생이 적지 않은 편이고 이에 대한 비난의 목소리도 있으나 어디까지나 개인의 자유다. 과행사 참여도는 그리 높지 않으며 이에 대해 딱히 뭐라 하지도 않는다. 과 정원에 비해 아싸의 수가 많아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과의 정체성이 희미한 편이다. 회화과에 진학하여 자신이 하고 싶은 공부가 무엇인지 생각해볼 시간을 갖지 못했다면 방황기가 길어질 수도 있다.
홍익대학교 회화과 교육과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개설 교과목 ]
분야 과목명
}}}}}} ||
홍익대학교 회화과 소속 교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소속 교원 명단 ]
성명 직위 전공분야 전공(학위) 학위취득대학
}}}}}} ||

4.11. 미술대학 자율전공

회화과 / 繪畫科, Dept. of Painting
- 1969 : 홍익대학 미술학부 미술교육과
- 1972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미술학부 미술교육과
- 1978 : (폐과)
일단 자율전공이긴 한데 캠퍼스 자율전공과는 전혀 상관이 없다. 미술대학에서 자체적으로 만든 자율전공 과정이며, 소속 학생들을 흔히 '미자(혹은 미자전)'라고 한다. 미대 내에서 캠퍼스 자율전공 소속학생들을 '자전'보다 '캠자'로 불리게 만드는 존재로, 캠자의 미대 전용 버전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다만 '미자'의 소속감 자체는 캠자에 비하면 부족한 편. '미자'보다는 'OO과' 학부생의 정체성이 강한 편이며, 따로 미자라고 말하거나 미자과잠을 입지 않은 이상 캠자와는 달리 딱히 티가 나지 않는다. 미자 전용의 학번코드가 별도로 존재하며, 자율전공 특성상 학생들 관리도 미대 교학과에서 맡고, 아직 전공진입을 하지 않은 1학년의 경우 과내 투표권에도 제약이 생겨 별도로 투표를 해야한다. 캠자만큼은 아니지만 미대 내 개설수업을 자유롭게 들을 수 있는 특권이 있으며, 이를 잘 이용하면 별도로 복수전공을 하지 않아도 타과 수업을 마음껏 들을 수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인지 입시에서도 다른 과보다 높은 최저등급을 요구한다.학과진입 이후에는 캠자와 마찬가지로 소속 과 학생들과 동등한 행정처리를 받는다. 캠자와는 달리 디자인학부 전공으로의 진입에 별도의 제한이 없다. 이로 인해 한두명 뜻이 있는 학생을 제외하고는 십중팔구 디자인학부로 진입하게 되는 광경을 지켜볼 수 있다.

[1] 최근 들어 학생들 사이에서 Arts & Design이란 표현을 사용하는데, 홈페이지나 입학자료 등 공식자료에서는 College of Fine Arts라고만 표시한다. 디자인학부가 미술대학 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압도적이어서 학생들 간에는 이런 명칭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공식적으로는 세종캠퍼스 조형대학의 영문 번역명이 'College of Design & Arts'여서 혼동을 유발하기 좋은 표현(...)이라 사용하지 않는 모양이다. 저렇게 이름을 변경해버리면 경영대학(Business Administration)과 상경대학(Business Management) 간의 차이보다 더 큰 동일성을 갖는다. [2] 1953년 3월 23일 미술과 첫 졸업생 배출 - 미술학 6명. [3] 공동실기실인 만큼 관리의 문제가 뒤따른다. [4] 코로나 이후 현재는 이 두 행사도 진행되고 있지 않다. 퓨휴전 대신 시디와 산디 개별 학과내 소모임 연합전시가 이루어지고 있다. [5] 2023년 현재는 거의 300명에 육박한다.. [6] 물론 이때에도 자율전공학부 소속으로 주전공을 시/산디 중 하나로 정하고 졸업전시 및 졸업까지 할 수 있었다. [7] 하지만 청소나 비품을 옮기는 일등, 몸 쓰는 일이 필요할 때 마다 호출되는 남학생 수를 보면 산디 또한 심각한 여초과인걸 실감하게 될 것이다. [8] 운송반의 일원은 거의 다 카스텍 인원과 중복된다고 봐도 좋을정도로 참여도가 높다. [9] 홍익대학교 본부는 "Art Studies(미술이론과)"로, 미술대학은 "Art History and Theory(미술사학미학과)"로 번역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9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91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