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7 14:00:07

하위타선

야구의 타선
<rowcolor=#4a4f81> 1 2 3 4 5 6 7 8 9
테이블 세터 클린업 트리오 하위타선
관련 문서: 강한 2번 타자


1. 개요2. 상세

[clearfix]

1. 개요

야구에서 상위타선 다음 순번에 오는 타선으로 대개 6번 - 7번 - 8번 - 9번 타자를 말한다.

공격력이 높은 선수를 많은 타격 기회를 가지게 하기 위해 앞순위로 먼저 타선을 배정하기 때문에, 타격 능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선수들이 배정받는 자리가 바로 6번부터 9번까지의 하위타선이라고 불리는 곳이다. 모든 선수들의 공격력이 강하다면 더 바랄 것이 없겠지만 현실적으로 그렇기에는 매우 어려운 것이 야구라 어쩔 수 없이 편차는 존재하기 마련이다. 대개 수비 비중이 높은 포수, 2루수, 유격수, 중견수 등이 이 자리를 차지하는 경우가 많다.

투수들에게는 클린업 트리오의 강타선을 거치고 난 뒤에 오는 상대적으로 용이한 타선이지만 하위타선에서 두들겨 맞는다면 그 충격은 배가 된다.

2. 상세

6번 타자부터 9번 타자까지는 테이블 세터나 클린업과는 달리 타격 스타일에 관계없이 그냥 타격 능력순으로 6-7-8-9번순으로 세운다. 다만 하위타선 4명의 타격 능력이 모두 도토리 키재기식으로 고만고만하다면 체력을 아끼기 위해서 대체적으로 수비 부담이 큰 포수 유격수는 뒤로 놓는 경우가 많다.

6번 타자의 경우에는 하위타선 중에서는 가장 타격이 강한 선수가 들어간다. 타격이 강한 팀에는 웬만한 클린업 트리오 만큼의 OPS가 높은 강타자가 6번 타순에 들어가 클린업 콰르텟을 구성하는 경우도 있다. 혹은 3, 4, 5번 클린업 트리오가 출루에 테이블 세터 역할을 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제 2의 4번 타자라고 할만한 득점권 타율이 높은 타자를 놓기도 한다.[1] 투수들이 장타력이 있는 클린업 트리오를 고의사구 등으로 피하고 6번 타자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런 점 때문에 류중일 감독은 "6번 타자를 보면 그 팀의 공격력을 알 수 있다" 라고 이야기하기도 한다.[2] 하지만 6번 타자에 OPS 0.800 이상의 준수한 타자를 넣을 수 있을 정도로 타격이 강한 팀은 별로 없기 때문에 대개는 리그 평균 OPS를 겨우 따라가는 평범한 타자가 6번 타자에 들어가는 것이 보통이다.

2-5번 타선에 거포를 배치하고도 거포형 선수들이 남아도는 많은 강팀들은 보통 홈런은 많은데 생산성이 떨어지는 공갈포를 6, 7번에 넣는 경우가 많다. 발도 느리다면 더욱. 예를 들자면 소프트뱅크의 마츠다 노부히로 등. 마츠다는 30홈런을 치는 3루수지만 OPS가 7할대 후반일 정도로 공갈포인데다 유리스벨 그라시엘, 알프레도 데스파이네, 야나기타 유키 등 홈런도 많고 OPS도 마츠다보다 높은 타자들이 즐비하다보니 2019년 기준으로 주로 6-7번 타자로 자주 나왔다.

일본프로야구는 KBO랑은 다르게 용병타자가 6~7번으로 나오는 일도 흔하다. KBO 리그에 비해서 공갈포인 용병타자들이 더 많은 데다가 이런 용병들은 발도 느리기 때문이다. 중심타선에는 홈런도 많고 OPS도 높거나, 홈런은 좀 적어도 정교한 타격을 해서 OPS가 더 높은 다른 선수를 쓴다.

7번 타자부터 9번 타자는 타격 능력 순서대로 세우는 것이 원칙이다. 지명타자가 없는 리그에서는 9번 타자로 항상 투수를 세우며 지명타자가 있는 리그도 가장 타격이 약한 타자를 9번 타자 혹은 8번 타자에 놓는다.[3] 다만 지명타자 제도가 있는 리그의 경우 9번 타자는 테이블 세터진으로 이어질 수 있는 찬스를 위하여 타격은 약하더라도 주루와 선구안, 작전 수행 능력이 좋은 타자가 들어가는 경우도 있다. 2명의 타격 최하위 타자가 있을때 둘 중 한명이 유격수나 포수처럼 수비부담이 큰 선수라면 유격수/포수에게 체력을 조금이라도 아끼게 하기 위해 타순을 뒤로 놓는 것이 보통이다. 유격수와 포수가 둘다 타격이 나쁘다면 그나마 발이 빠른 유격수를 9번에 놓고, 8번 타자로 발이 느린 포수에 넣는 경우도 종종 볼 수 있다. 경기를 진행하다 보면 9번 타자가 출루하고 바로 1번 타자가 등장하는 순간이 나오기 때문에, 작전 성공률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발 빠른 타자를 9번에 놓기도 한다. 게다가 타격 능력과 별도로 좌타/우타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4] 타순을 짤때는 타격 능력을 기준으로 하되 좌타/우타를 섞는 것과 수비 포지션 부담, 주루 능력도 어느 정도 감안해서 타순을 짜기 때문에 최종적인 타순은 반드시 타격 능력순으로 정해지는 게 아니라 감독의 성향에 따라 많이 달라진다. 2010년대 중반 강한 2번 타자 이론이 떠오르면서 17 시즌 기아 타이거즈의 김선빈 등 발 빠르고 타율 좋은 타자를 9번 타선에 배치해 팀 공격력을 극대화한 케이스들도 생기고 있다. 또 타율은 좋지 않더라도 공을 오랫동안 신중하게 지켜보면서 볼넷을 얻어낼 수 있는 탁월한 선구안을 가진 타자를 9번에 배치해 상위타선과의 연결고리 역할로 기용하는 경우도 있다.[5]

토니 라 루사 감독은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를 맡던 시절 투수를 8번 타순에 넣고 9번에 발빠른 선수를 넣기도 했다. 물론 모든 경기에서 그랬다는 것은 아니고, 투수 중에서도 기본적인 배팅 능력이 좋거나 번트를 잘 대는 선수를 8번에 뒀다. 일본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알렉스 라미레스 감독도 이를 본떠 이마나가 쇼타 조 윌랜드 등 타격이 괜찮은 투수들을 8번에 배치하는 기용을 보여주기도 했다.


[1] 가장 대표적으로 강민호 선수가 그 예이다. 강민호는 2015시즌의 경우 아예 팀에서 가장 OPS도 높고 홈런도 가장 많이 치면서 에릭 테임즈 박병호의 뒤를 이어 WRC+ 리그 전체 3위의 후덜덜한 기록을 세웠으며 예전부터 강력한 클러치 히터로서 활약해왔지만 포수라는 수비가 중시되는 포지션 때문에 예전부터 줄곧 6번에 배치가 되어왔다. 세이버매트릭스 계열에선 발이 빠른 뜬금포형 타자가 있다면 6번 타순이 최적이라고 본다. 뜬금포로 앞서 출루한 중심타자를을 불러들일 수도 있고, 빠른 발을 이용해서 장타력이 떨어지는 하위타순 앞에서 득점권에 갈 수도 있기 때문이다. 후속 타자들이 안타를 쳐준다면 그걸 이용해서 득점할 수 있으니까. [2] 대표적으로 홍대갈시절의 강민호, 이마양 트리오 뒤에 나오던 김한수(2003년 한정. 2002년은 양준혁이 6번 가면 김한수는 무조건 5번으로 출장하였다가 2002 한국시리즈에서는 6번에서 타격했다.), 우동수 다음에 나오던 안경현, 넥센의 L(또는 유한준의 R)PG 트리오 뒤에 나오는 김민성, 2016년 KIA 타이거즈의 김주찬(3)-나지완(4)-이범호(5) 뒤에 나오던 브렛 필(6) 등이 있다. 삼성 왕조 시절 클린업 채최박 뒤의 이승엽은 14년도 6번타자에서 32홈런을 기록하며 가공할 타격을 보여주었다. 심지어 2016년 두산 베어스는 민병헌(3)-김재환(4)-오재일(5)에 20홈런 타자들인 에반스(6) 양의지(7)로 이어졌으며 2017년의 KIA 타이거즈는 버나디나(3)-최형우(4)-나지완(5) 뒤에 역시 20홈런 타자인 안치홍(6)-이범호(7)가 연속으로 등장하는 타순을 보여주었다. [3] 사회인 야구나 야구 동아리 같은 아마추어 레벨에서는 가장 못 치는 타자는 항상 9번에 배치한다. 게다가 그 타자의 보직이 우익수이면 구멍 확정. [4] 타순을 짤 때 주전 9명의 타격이 엇비슷하다면 가능한 한 좌타/우타를 섞어서 타순을 짜는게 가장 이상적이다. 상대팀의 플래툰 작전에 크게 휘말리지 않기 위함이다. [5] 실제로 2020년의 키움 히어로즈 박준태를 이런 용도로 기용해서 엄청난 이득을 봤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