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08 01:04:14

플라잉 핀



파일:external/24.media.tumblr.com/tumblr_m9oxx6rA2m1qdmaaeo1_500.jpg
점핑웨버에 이은 필수요소 플라잉 핀
짤방과는 관계없다[1]

말 그대로 ''나는 핀란드인".

빠른 스피드가 요구되는 기록경기에서 유독 두각을 나타내는 핀란드인들이 있어서 생긴 호칭이다. 원래 장거리 육상에서 붙은 호칭이 포뮬러 1 등 모터스포츠로 넘어가서 지금은 모터스포츠에서의 용례가 더 두드러진다.

1. 육상

지금은 케냐, 에티오피아 등이 지배하는 장거리 육상은 원래 핀란드의 메달밭이었다. 유독 핀란드인들이 장거리 육상에서 활약하자 누군가가 이에 '플라잉 핀'이라고 부른 것이 이 별명의 시초이다.

초대 플라잉 핀은 하네스 콜레마이넨. 1912 스톡홀름 올림픽에서 5000m, 10000m, 크로스컨트리 3관왕의 위업을 달성했다. 이후 마라톤으로 종목을 바꿔 1920 앤트워프 올림픽 금메달까지 추가해서 통산 4개의 금메달을 획득했다.

핀란드의 육상 중장거리 지배가 본격화된 것은 1924 파리 올림픽이었는데, 이 때 핀란드는 육상에서 획득한 17개의 메달 중 13개를 마라톤 포함 중장거리에서 획득한다. 그 중심에는 세기의 라이벌 파보 누르미빌 리톨라가 있었는데 이 둘이 플라잉 핀 칭호를 계승한 선수들이다.

누르미는 이미 1920 올림픽 때 10000m 금메달 및 크로스컨트리 개인전과 단체전 금메달로 3관왕을 달성했었고, 이후 리톨라가 1924년에 올림픽 무대에 데뷔하면서 둘의 치열한 라이벌리가 시작된다. 이 대회에서 누르미는 5관왕이라는 위업을 달성했는데, 그 중 5000m 및 개인 크로스컨트리는 리톨라와의 맞대결에서 승리하면서 얻은 금메달이었다. 리톨라는 누르미가 출전하지 않은 1500m와 3000m장애물 경기에서 우승하는 등 금메달 4개와 은메달 2개에 만족해야 했다.

1928 암스테르담 올림픽에서 둘의 맞대결 2라운드가 치러진다. 이 대회에서 둘의 맞대결은 세 차례 있었는데, 가장 먼저 치러진 10000m에서 누르미는 리톨라보다 불과 0.6초 먼저 결승선을 통과하면서[2] 먼저 1승을 거둔다. 그러나 다음으로 치러진 5000m에서, 리톨라는 누르미를 불과 2초 차이로 따돌리고 금메달을 목에 걸면서 반격. 둘의 대결은 1승1패가 된다.

자연스레 마지막 맞대결을 놓고 초미의 관심이 집중되었는데, 마지막으로 치러진 3000m장애물에서는 싱겁게도 리톨라가 중도 기권하면서 누르미의 승리, 둘의 대결은 최종적으로 2승1패 누르미의 판정승으로 끝난다. 그런데 정작 금메달은 제3의 인물 토이보 루콜라가 차지하고(...)[3] 누르미는 은메달을 목에 건다. 아무튼 둘의 불꽃튀는 라이벌리는 플라잉 핀이란 별명이 대중화되는 계기를 만들었다.

이후 1932 LA 올림픽 1936 베를린 올림픽에서 3000m 장애물 2연패를 달성한 볼마리 이소홀로, 한 투어 대회에서 세계기록을 다섯 개를 갈아치우면서 육상계에 충격을 선사한 타이스토 마키, 1972 뮌헨 올림픽, 1976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연속 5000m, 10000m 2관왕을 달성한 라세 비렌 등이 플라잉 핀의 호칭을 계승했다.

2. 모터스포츠

이후 이 별명은 모터스포츠 쪽으로 넘어갔다. 원래 처음 플라잉 핀 호칭을 부여받은 드라이버들은 WRC 쪽이었다. WRC에는 수많은 핀란드인 챔피언이 있는데 유하 칸쿠넨, 토미 매키넨, 마르쿠스 그뢴홀름은 물론이고 아리 바타넨[4], 한누 미콜라, 티모 살로넨이 대표적이다. 2024년 기준 현역 핀란드인 랠리 드라이버 중에는 칼레 로반페라가 플라잉 핀 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고 있다.

그러다 1974년에 F1에 출전한 핀란드인 드라이버 레오 키누넨이 자기 헬멧에 플라잉 핀이라고 써넣은 것을 계기로 F1에서도 플라잉 핀이라는 별명이 유행하게 된다.[5] 대체로 꼽는 F1계에서 초대 플라잉 핀은 1982년 챔피언 케케 로즈버그. 니코 로즈버그의 아버지이다.

이후 F1 더블 챔프로 유명한 미카 해키넨 키미 래이쾨넨이 보통 이 별명으로 불린다. 헤이키 코발라이넨 또한 플라잉 핀 별명이 아주 잠깐 붙은 적이 있으며 2020년 현재에는 차기 플라잉 핀 후보로 발테리 보타스가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모든 핀란드인 F1 드라이버가 다 이 칭호를 얻은건 아닌데, 대표적으로 상술된 미카 살로, 그리고 이르키 후아니 아르빌레토(JJ 레토)는 챔피언은 커녕 대회 우승도 못해본 드라이버들이라 활동 기간 내내 실력이 특출나지 못했다.

인구수도 우리나라의 10분의 1에 지나지 않고, 특출난 자동차 메이커는 커녕 공장도 얼마 없는 핀란드에서 유독 뛰어난 드라이버가 자주 배출되는 이유가 핀란드의 엄격하고 가혹한 운전교육이라는 가설이 유력하다. 핀란드는 얼어붙은 빙판길이나 녹은 뒤 생긴 진창길이 상당히 흔한데, 이런 도로에서 안전하게 운행하기 위해 운전면허 시험이 상당히 가혹한 코스로 구성되어 있다. 물을 잔뜩 뿌린 공터에서 슬라럼을 시키거나, 접지력을 떨어뜨리는 특수한 보조 바퀴를 단 차로 빙판길 시험도 치른다. 이 과정에서 운전의 재미를 느끼고 랠리를 비롯한 각종 모터스포츠로 나아가는 것 아닐까 하는 것이 세계인의 추측.

비슷하게 험로가 많은 이웃나라 러시아도 있지만, 러시아 출신 드라이버가 성공하는 사례가 별로 없는 것도 생각해볼 거리. 이 나라는 빈 땅이 너무 많아 도로를 넓게 내는데다가 사소한 교통법규는 밥 먹듯 깨고 다니는 운전자들이 많아 교통문화가 별로 좋지 못하다. 어뢰라 불리는 다닐 크비얏[6], 스핀에 자주 빠지고 위협적인 운전을 해 "마제스핀" 이라는 별명을 얻은 니키타 마제핀이 러시아 출신이다.[7]

3. 축구(?)

축구 그 자체 셰프키 쿠키 역시 플라잉 핀이다... 자세한 것은 항목을 참조하자.


[1] 항목과 완전히 관련이 없는 사진은 아니지만 사진에 찍힌건 키미 래이쾨넨이다.(...) 2012 독일 그랑프리 후 퇴근하던 중에 주차장 펜스를 넘다가 걸려서 떨어지는 사진인데 워낙 역동적인 포즈라서 팬 사이에서 잠깐 유행한 적이 있다. # [2] 단거리가 아니라 무려 10000m 경기이다. 장거리에서 0.6초면 100m로 따지면 0.006초 정도의 머리카락 하나 정도 격차였던 것. [3] 물론 이분도 핀란드인이다! [4] 1981년 WRC 챔피언에 다카르 랠리는 4번이나 평정했다. [5] 정작 키누넨은 1974년 한 시즌만 F1에 출전했고 우승경력은 없었다. [6] 제바스티안 페텔이 붙여준 별명이다. 중국과 러시아 그랑프리에서 자신과 키미 라이코넨을 엄청나게 들이받아서 포디움 전 쿨다운룸에서 "니가 어뢰처럼 들이받았잖아" 라며 탓한것이 밈이 되면서 붙은 별명이다. 그저 레이싱이라고 받아치는 크비얏은 덤 [7] 그래도 비탈리 페트로프는 꽤나 고평가받았던 드라이버다. 세르게이 시로트킨 또한 차량이 문제지 몇몇 그랑프리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줬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