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타 2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바람순찰자 문서 참고하십시오.
파곳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소련제 대전차미사일에 대한 내용은
9K111 파곳 문서 참고하십시오.관악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colbgcolor=#ecd8aa,#aa672a> 목관악기 | 동양의 목관악기 | ||
대한민국 | 적 | 당적 · 대금 · 중금 · 소금 | ||
소 | 단소 · 퉁소 · 봉소 · 배소 · 약 · 피리 · 태평소 | |||
기타 | 생황 · 훈 | |||
북한 | 대피리 · 저피리 · 장새납 | |||
중국/대만 | 디즈 · 적 · 지 · 호로사 | |||
일본 | 시노부에 · 샤쿠하치 | |||
몽골 | 림베 · 초르 · 에웨르 부레 | |||
인도 | 셰나이 | |||
서양의 목관악기 | ||||
플루트 | 플루트 · 피콜로 · 피페 · 트라베르소 · 팬플룻 | |||
클라리넷 | 클라리넷 · A♭클라리넷 · E♭클라리넷 · B♭클라리넷 · A 클라리넷 · 베이스 클라리넷 | |||
오보에/바순 | 오보에 · 오보에 다모레 · 잉글리시 호른 · 바순 · 콘트라바순 | |||
색소폰 | 색소폰 · 소프라노 색소폰 · 알토 색소폰 · 테너 색소폰 · 바리톤 색소폰 | |||
기타 | 리코더 · 오카리나 · 백파이프 · 틴 휘슬 · 두둑 · 디저리두 | |||
금관악기 | ||||
동양 | 나발 | |||
서양 | 호른 · 트럼펫 · 트롬본 · 코넷 · 플루겔혼 · 튜바 · 유포니움 · 세르팡 | |||
타관악기 | ||||
동양 | 떠릉 | |||
서양 | 오르간( 파이프 오르간 · 풍금 · 아코디언 · 바얀) · 호루라기 | |||
프리 리드 | ||||
멜로디카 · 하모니카 | ||||
미분류 | 카주 · 윈드 컨트롤러 | |||
}}}}}}}}} |
영어: Bassoon
독일어: Das Fagott
프랑스어: Le Basson
이탈리아어: Il Fagotto
▲ 대략 이런 소리를 내는 악기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바순 협주곡 B♭ 장조 KV 191/186e.
1. 개요
서양음악에 쓰이는 대표적인 관악기들 중 하나. 바순(프랑스식)과 파곳(독일식)은 엄밀하게는 다른 악기이지만, 외형이 유사하며 운지법이 조금 다를 뿐 현대 오케스트라에서는 혼용된다.[1] 최근에는 현대 음악과 대중 음악에서도 바순의 독특한 음색이 점점 더 활용되고 있어, 그 범위와 인기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2. 상세
자단 등 목재가 주 재료라 목관악기로 분류하며, 오보에와 마찬가지로 겹리드를 쓰기 때문에 더블리드 악기로도 분류된다. 목관악기들 중 저음역에 특화된 악기.[2] 파생악기로 더 낮은 음을 내는 콘트라바순이 존재하며, 그것을 개량한 악기로는 콘트라포르테가 존재한다.음역상 낮은음자리표를 많이 쓰고, 보표 아래의 Bb음부터 약 4옥타브 가량의 음역을 연주할 수 있다. 고음역으로 올라갈수록 가온음자리표(정확히는 테너음자리표)를 쓰는데,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의 발레 ' 봄의 제전'이나 프로코피에프의 고전교향곡 등에서는 높은음자리표에서 한참을 노는 고난이도의 부분 역시 존재한다. 당연하겠지만 고도로 숙달된 전문 연주자들을 제외하면 사실상 연주 자체가 불가능하다.
같은 더블리드 악기인 오보에와는 크기와 리드 꽂는 법 등 거의 모든 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일단 악기가 매우 긴데, 목관악기에서는 보기 드문 U자형으로 굽어진 관 두 개가 붙어 있는 형태로[3], 몸통 중간 쯤에 구부러진 금속관이 튀어나와 있는데, 그 관 끝에 리드를 끼워서 연주한다. 위 그림을 보면 마치 악기를 손으로 들고 연주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무게가 상당해서[4] 양손을 다 써서 운지까지 해 가며 악기를 든다는 건 도저히 불가능하다. 그래서 악기 아랫쪽 끝에 가죽끈을 달고, 그 줄을 의자에 올린 뒤 그 위에 앉는 방식으로 악기의 무게를 지탱한다. 그래서 행진하며 연주하는 마칭 밴드에서는 사용하지 않고, 만약 서서 연주할 경우에는 악기에 부착된 고리에 끈을 달아 목에 걸고 연주한다.
낮은 음역을 주로 담당하고 있는 탓에 다른 목관악기들과 비교하면 인지도가 낮지만, 역사적으로는 오케스트라에 거의 최초로 도입된 목관악기이기도 하고[5], 특색 있는 음색 덕분에 종종 독주 파트를 맡기도 한다. 다만 그 특색 있는 음색이라는 것이 저음역에서 뻑뻑 불어대는 스타카토 효과라 뭔가 우스꽝스러우면서도 괴팍한 취급이라 여론이 나쁜 편이다. 실제로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의 아동용 음악 동화 '피터와 늑대' 에서도 플루트가 새, 오보에가 오리, 클라리넷이 고양이를 맡은 데 반해 바순은 피터의 할아버지 역할을 맡았다. 뒤카의 마법사의 제자의 멜로디를 연주하는 부분에서는 뒤뚱뒤뚱 걷는 빗자루[6]를 잘 소화해 낸다. 다만 악기의 구조상 오보에보다는 빠른 연음을 내는 것이 상대적으로 수월한 덕분에[7] 맨정신으로 미친듯이 속주하는 부분도 있다. 예컨대 모차르트의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 중 서곡 도입부가 있다.[8]
음색과 음역상 주로 실내악이나 독주곡 영역에서 진가를 발휘할 기회가 더 많다. 실제로 중음역에서는 오보에 못지 않게 서정적이기도 하다. 악기의 잠재력이나 성능에 비하면 아직도 활용도가 낮고 다소 편협하게 쓰인 바가 없지 않다. 그러나 엄연히 독주곡이나 협주곡 같은 레퍼토리도 존재하고, 목관악기가 주축이 되는 목관 5중주 같은 장르에서도 나름대로 큰 활약을 펼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현대음악 분야에서는 혼자 다중음[9]을 내는 멀티포닉스(multiphonics)나 글리산도 같은 고난이도 기교, 극단적으로 높은 음역의 연주 등이 시도되고 있다.
3. 표기법
프랑스어식 표기인 바송[10] 외에 독일어식의 '파곳'[11]도 많이 쓰는데, 일본어로는 파곳을 가타카나로 전사한 파고토(ファゴット) 쪽을 많이 사용한다. 한편, 영어권에서 Fagott은 '창녀' 내지 '호모'에 해당하는 'Faggot'과 발음이 상당히 유사하기에 주의해야 한다.[12]4. 여담
클래식 악기라는 인식이 지배적이고, 실제로도 대부분 클래식 악곡에 사용되지만 근본이 목관악기인지라 클라리넷이나 오보에처럼 재즈 밴드에 기용할 수도 있다. 특유의 고혹적이면서도 중후한 음색이 일품. 락 메탈에도 이용할 수 있다. ##
아마추어 혹은 취미로 이 악기를 연주하는 사람은 정말로 찾아보기 힘들다. 악기도 무지 비싸고[13], 구하기도 힘들고 악기 자체의 크기 역시 큰 편이라 더욱 그렇다. 그리고 무엇보다 하도 저음역에서만 노는 악기라는 인식이 강하다 보니, 연주해도 멋이 나지 않는다는 현실적인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는 듯하다.
배우 전광렬의 학력이 추계예술대학교 음악학부에서 이것을 전공한 것으로 되어 있다.
MiG-15의 NATO 코드명이기도 하다.
KBS 1FM 밤 프로그램인 < 당신의 밤과 음악>의 시그널 음악인 Bill Douglas의 Hymn에서 바순의 음색을 들어볼 수 있다.
[1]
정확하게는 악기 이름으로는 바순이 파곳보다 우세하지만, 악기의 형태로는 정반대로 파곳이 바순을 거의 밀어내버렸다.
노다메 칸타빌레 파리편에 이와 관련된 에피소드가 등장하기도 한다.
[2]
물론 베이스 플루트나 헤켈폰,
테너 색소폰이나
바리톤 색소폰,
베이스 클라리넷(특히 이쪽은 추가로 저음키가 있을 경우 바순과 최저음이 같다.) 같은 다른 목관 저음악기들이 있지만 이들은 바순에 비해서 늦게 나온 악기라 바순에 비해서는 많이 사용되지 않는다.
[3]
총 길이가 3미터에 육박한다. 이유는 당연히 악기의 길이/크기와 음역이 반비례하기 때문이다. 낮은 음을 내려면 고유 주파수 때문에 관의 크기가 길어질 수밖에 없다.
[4]
상술되어 있지만 3미터 길이의 통나무 관이다.
[5]
클라리넷과
플루트가 교향곡의 필수요소가 된 것은 모차르트 후기 교향곡에나 가서다. 특히나 클라리넷 등의 경우 후기 교향곡에서도 편성에 안 들어 있는 곡들마저 존재한다.
[6]
디즈니 만화영화
판타지아의 명장면 중 하나.
[7]
단, 이것도 기교적으로 꽤 숙달된 연주자에 한한 장점이다. 그리고 악기가 상당히 긴 만큼, 운지 역시 손의 연장선에 있는 금속 키의 조작에 거의 모두 의지해야 하는 형편이다. 그런 점에서 트릴이나 트레몰로 같은 빠르게 떠는 음에서 대단히 취약하다.
[8]
이 곡은 바순 연주자들에게는 큰 숙제이다. 프로 연주자들도 틀리거나 빨라지는 경우가 많다. 이 곡의 빠르기가 "Presto(매우 빠르게)"인데 이것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다. 이 빠르기말이 후대에 수정된 것이라는데 어떤 지휘자는 당시 바순의 키의 개수 및 연주자들의 실력을 생각하면 이 속도는 터무니없이 빨라 연주가 불가능한 수준이라고 하여 당시 악기가 낼 수 있는 한계를 고려하여 흔히 연주되는 속도보다 느리게 연주한다고 한다. 결과적으로 당시에나 현대에나 어려운 부분으로 손꼽힌다. 하지만 정작 모차르트 자신은 이 곡의 첫머리를 두고 "아무리 빨리 연주한다고 해도 지나치다고 생각지 않는다."라고 말했다는 것이 함정이라면 함정이다.
[9]
단, 불협화음이다.
[10]
참고로 '바송'에 대한 영어식 표기가 바로 '바순'이다.
[11]
혹은 이탈리아어의 '파고토'
[12]
실제로 어원이 같다. 보다 자세한 내용을 알기 위해서라면
Faggot 문서를 참조하면 좋다.
[13]
연습용 플룻이나 클라리넷은 백만 원 안쪽으로 웬만한 걸 구할 수 있지만, 오보에는 적어도 이삼백, 바순은 새거라면 오백이 훌쩍 넘어간다. 아니 사실은 연습용 수준의 염가 악기가 없다. 전공자가 쓰던 오래된 중고 제품이라면 존재할지도 모르겠지만 말이다. 사실 200만 원 가량의 연습용 바순은 있으나그것도 연습용으로는 비싸다. 해당 브랜드의 평가가 좋네요 이제 소리만 나면 돼요일 정도라서 사실상 무용지물이나 다름없다. 다만 바순만은 나쁘지 않다는 평가도 있기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