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tablebgcolor=white,black> 체제선전시설 | |
평양시 | ||
<colbgcolor=#cccccc,#333333> 중구역 | 김일성광장 ( 대주석단) · 당창건사적관 · 조선혁명박물관 · 천리마동상 | |
대동강구역 | 당창건기념탑 · 옥류전시관 | |
대성구역 | 금수산태양궁전 · 대성산혁명렬사릉 | |
만경대구역 | 국가선물관 · 만경대고향집 · 청년운동사적관 · 칠골혁명사적관 | |
모란봉구역 | 개선문 · 조중우의탑 · 해방탑 | |
보통강구역 |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 (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탑 / 푸에블로호) · 중앙계급교양관 | |
서성구역 | 3대혁명전시관 · 조국해방전쟁참전렬사묘 | |
기타 |
애국렬사릉 (
형제산구역) ·
재북인사릉 (
룡성구역) · |
|
량강도 | ||
전체 | 백두산지구 혁명전적지 ( 정일봉) · 보천보전투승리기념탑 | |
자강도 | ||
전체 | 국제친선전람관 | |
함경북도 | ||
전체 | 회령고향집 | |
황해남도 | ||
전체 | 신천박물관 | |
전국 | ||
전체 | 구호나무 · 김일성김정일동상 · 명제비 · 영생탑 | |
일반 박물관 | ||
평양시 | ||
중구역 | 조선미술박물관 · 조선민속박물관 · 조선우표박물관 · 조선중앙력사박물관 · 철도성 혁명사적관 | |
대성구역 | 자연박물관 · 조선중앙동물원 · 조선중앙식물원 | |
락랑구역 | 과학기술전당 · 락랑박물관 | |
기타 | 지하철도건설박물관 ( 모란봉구역) · 평양문화전시관 ( 대동강구역) | |
개성시 | ||
전체 | 개성고려박물관 | |
강원도 | ||
전체 | 원산력사박물관 | |
자강도 | ||
전체 | 강계력사박물관 | |
량강도 | ||
전체 | 혜산력사박물관 | |
평안남도 | ||
전체 | 평성력사박물관 | |
평안북도 | ||
전체 | 신의주력사박물관 · 향산력사박물관 | |
함경남도 | ||
전체 | 함흥력사박물관 | |
함경북도 | ||
전체 | 청진력사박물관 | |
황해남도 | ||
전체 | 해주력사박물관 | |
황해북도 | ||
전체 | 사리원력사박물관 | |
}}}}}}}}} |
평양시의
체제선전시설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40001,#222222><tablebgcolor=#e40001,#222222> |
천리마동상 千里馬銅像 Chollima Statue |
|
|
▲ 천리마동상의 전경 | |
<colbgcolor=#e40001,#222222><colcolor=white> 준공 | 1961년 4월 15일 |
규모 | 높이 46m |
주소 |
천리마동상 (
평양시
중구역 만수동)
|
[clearfix]
1. 개요
북한의 체제선전시설. 평양시 중구역 만수동 모란봉공원에 있다.청동 조각상 높이는 14m, 길이는 16m이며 받침대 높이는 32m, 총높이는 46m이다. 1961년 만수대창작사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같은 해 4월 15일(김일성의 생일)에 제막했다.
근처에 칠성문, 모란봉극장, 해방탑, 평양시청년공원야외극장, 조선혁명박물관 등이 있다.
북한 이백원 지폐 앞면의 도안이다.
2. 특징
6.25 전쟁으로 폐허가 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복구하기 위해 노력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민들의 영웅적 기상을 상징하는 작품이라고 설명된다. 공산주의 국가에서 흔히 볼수 있는 프로파간다적인 기념물이며, 밤에는 조명을 설치해서 밝게 빛난다고 한다.
청동 조각상은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의 붉은 편지(높이 1.3m×1m)[1]를 높이 치켜들고 있는 남자 노동자와 볏단을 안은 여자 농민이 날개를 펼친 천리마[2]를 타고 승천하는 모습을 형상화하였다. 받침대는 화강암 2500개를 붙여 제작되었다. 해당 도안은 1959년 김일성이 직접 제안한 것이라고 한다. 처음에는 말 3필을 노동자, 농민, 지식인이 각 한 필씩 타고 달리는 모습으로 제작하려다가, '말의 모습이 부각되지 않을 것 같다'며 말을 1필로 줄이고, 대신 각계각층을 대표하는 상징으로 남녀상을 넣었다고 한다. 현재 세워진 조각상은 처음에 구상한 크기에서 2배로 규모를 키운 것이다.
조선중앙텔레비죤 방송 개시 화면에서, 북한 국가가 끝나감과 함께 화면에 등장하며 60년대부터 북한 영화의 시작장면에 나오는 상징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