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2대 경상남도의회 의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3px" |
창원 1 | 창원 2 | 창원 3 | 창원 4 | 창원 5 |
서민호 | 백태현 | 박해영 | 박준 | 이찬호 | |
창원 6 | 창원 7 | 창원 8 | 창원 9 | 창원 10 | |
이재두 | 박남용 | 강용범 | 정규헌 | 정쌍학 | |
창원 11 | 창원 12 | 창원 13 | 창원 14 | 창원 15 | |
진상락 | 이장우 | 조영명 | 박동철 | 김순택 | |
창원 16 | 진주 1 | 진주 2 | 진주 3 | 진주 4 | |
이치우 | 정재욱 | 박성도 | 조현신 | 유계현 | |
진주 5 | 통영 1 | 통영 2 | 사천 1 | 사천 2 | |
김진부 | 강성중 | 김태규 | 임철규 | 김현철 | |
김해 1 | 김해 2 | 김해 3 | 김해 4 | 김해 5 | |
최학범 | 서희봉 | 최동원 | 권요찬 | 주봉한 | |
김해 6 | 김해 7 | 김해 8 | 밀양 1 | 밀양 2 | |
박병영 | 이시영 | 손덕상 | 장병국 | 조인종 | |
거제 1 | 거제 2 | 거제 3 | 양산 1 | 양산 2 | |
정수만 | 전기풍 | 윤준영 | 이용식 | 이영수 | |
양산 3 | 양산 4 | 양산 5 | 양산 6 | 의령 | |
최영호 | 권혁준 | 박인 | 허용복 | 권원만 | |
함안 1 | 함안 2 | 창녕 1 | 창녕 2 | 고성 1 | |
조영제 | 조인제 | 이경재 | 우기수 | 백수명 | |
고성 2 | 남해 | 하동 | 산청 | 함양 | |
허동원 | 류경완 | 김구연 | 신종철 | 김재웅 | |
거창 1 | 거창 2 | 합천 | 비례 | 비례 | |
박주언 | 김일수 | 장진영 | 박진현 | 노치환 | |
비례 | 비례 | 비례 | 비례 | ||
전현숙 | 이춘덕 | 한상현 | 유형준 | ||
* 창녕 1
성낙인 사퇴 (2023.1.8.) * 창원 15 박춘덕 사퇴 (2024.1.2.) * 밀양 2 예상원 사퇴 (2024.2.8.) |
|||||
◀
제11대
|
}}} }}}}}} |
경상남도의
의회
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15a38><tablebgcolor=#f15a38> |
창원시 제4선거구
반송동, 용지동 昌原市 第四選擧區 Changwon District 4 |
}}} | |||
|
||||||
<colbgcolor=#f15a38><colcolor=#ffffff> 선거인 수 | 58,608명 ( 2022년) | |||||
상위 행정구역 | 경상남도 | |||||
관할 구역 |
|
|||||
도의원 |
|
박준 (재선) |
[clearfix]
1. 개요
경상남도의회의 선거구로, 2021년 7월에 성산구로 새로 편입된 용지동과 한때 사실상 성산구의 월경지였던 반송동을 합쳐 경상남도의회 증원을 위해 2022년에 신설하였다. 창원시청, 창원교육지원청, 경상남도교육청, 부산지방고용노동청 등 온갖 관공서가 밀집되어있다.의창구 시절에는 그나마 국민의힘 지지세가 약했던 지역이었던 용지동이, 성산구에서는 역으로 웅남동과 함께 가장 국민의힘 지지율이 높은 지역에 속한다. 반송동도 성산구 평균 이상의 보수세를 자랑하므로 성산구 안에서는 보수정당의 지지세가 가장 강한 지역 중 한 곳이다.
2. 역대 선거 결과
대수 | 당선자 | 당적 | 임기 | 비고 |
창원시 제2,3선거구 | ||||
제5대 | 박수봉 |
[[민주자유당| |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 [1][2] |
박판도 | [3][4] | |||
제6대 | 서장근 |
|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 [5] |
박판도 | [6] | |||
제7대 | 박차봉 |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 [5] | |
박판도 | [6] | |||
제8대 | 박차봉 |
|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5] |
박판도 | 2006년 7월 1일 ~ 2010년 3월 2일[10] | [6] | ||
창원시 제3,4선거구 | ||||
제9대 | 정연희 |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12] |
석영철 |
[[민주노동당| |
[13] | ||
제10대 | 정연희 |
[[새누리당|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12] |
박준 | [13] | |||
제11대 | 김영진 |
|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 [12] |
남택욱 | [13] | |||
창원시 제4선거구 | ||||
제12대 | 박준 |
|
2022년 7월 1일 ~ 현재 | [18][19] |
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창원시 제2선거구 사림동, 용호동, 신월동, 사파동, 상남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박수봉(朴壽奉) | 24,079 | 1위 |
[[민주자유당| |
55.55% | 당선 | |
2 | 김상하(金尙河) | 19,260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44.44%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66,771 |
투표율 66.91% |
투표 수 | 44,681 | ||
무효표 수 | 1,342 |
창원시 제3선거구 반림동, 반지동, 대원동, 내동, 중앙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박판도(朴判道) | 16,257 | 1위 |
[[민주자유당| |
45.23% | 당선 | |
2 | 박용호(朴鏞浩) | 8,447 | 3위 |
|
23.50% | 낙선 | |
3 | 이경대(李敬大) | 11,232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1.25%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57,506 |
투표율 64.19% |
투표 수 | 36,918 | ||
무효표 수 | 982 |
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창원시 제2선거구 명곡동, 봉림동, 용지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서장근(徐長根) | 25,551 | 1위 |
|
67.24% | 당선 | |
4 | 정기영(鄭基永) | 12,446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2.75%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89,072 |
투표율 44.06% |
투표 수 | 39,250 | ||
무효표 수 | 1,253 |
창원시 제3선거구 반송동, 중앙동, 상남동, 웅남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박판도(朴判道) | 23,462 | 1위 |
|
62.96% | 당선 | |
4 | 이재구(李載九) | 13,798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7.03%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79,018 |
투표율 48.59% |
투표 수 | 38,396 | ||
무효표 수 | 1,136 |
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창원시 제2선거구 명곡동, 봉림동, 용지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박차봉(朴且鳳) | - | 1위 |
|
- | 무투표 당선 | |
|
|
등록 무효 |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
계 | 선거인 수 | - |
투표율 - |
투표 수 | - | ||
무효표 수 | - |
창원시 제3선거구 반송동, 중앙동, 상남동, 웅남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박판도(朴判道) | 26,122 | 1위 |
|
72.66% | 당선 | |
3 | 정병윤(鄭昞允) | 9,829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7.33%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76,524 |
투표율 48.72% |
투표 수 | 37,285 | ||
무효표 수 | 1,334 |
2.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창원시 제2선거구 명곡동, 봉림동, 용지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2 | 박차봉(朴且鳳) | 30,161 | 1위 |
|
70.97% | 당선 | |
6 | 김휘용(金暉容) | 5,298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2.46% | 낙선 | |
7 | 조덕제(趙德濟) | 7,034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6.55%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95,290 |
투표율 46.10% |
투표 수 | 43,935 | ||
무효표 수 | 1,442 |
창원시 제3선거구 반송동, 중앙동, 상남동, 웅남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2 | 박판도(朴判道) | 27,518 | 1위 |
|
73.06% | 당선 | |
6 | 김용남(金用男) | 10,146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6.93%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73,621 |
투표율 52.31% |
투표 수 | 38,512 | ||
무효표 수 | 848 |
2.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창원시 제3선거구 봉림동, 용지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정연희(鄭蓮姬) | 12,813 | 1위 |
|
42.96% | 당선 | |
5 | 문경희(文景嬉) | 12,597 | 2위 |
[[민주노동당| |
42.23% | 낙선 | |
7 | 강선식(姜善植) | 3,040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0.19% | 낙선 | |
8 | 서교민(徐敎民) | 1,475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4.61%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54,590 |
투표율 56.24% |
투표 수 | 30,705 | ||
무효표 수 | 880 |
창원시 제4선거구 반송동, 중앙동, 웅남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정성동(鄭聖東) | 18,330 | 2위 |
|
47.78% | 낙선 | |
5 | 석영철(石永喆) | 20,028 | 1위 |
[[민주노동당| |
52.21%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64,473 |
투표율 60.80% |
투표 수 | 39,203 | ||
무효표 수 | 845 |
2.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창원시 제3선거구 봉림동, 용지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정연희(鄭蓮姬) | 14,343 | 1위 |
[[새누리당| |
46.70% | 당선 | |
2 | 정해관(丁海寬) | 9,353 | 2위 |
[[새정치민주연합| |
30.45% | 낙선 | |
3 | 김동석(金東石) | 3,484 | 4위 |
[[통합진보당| |
11.34% | 낙선 | |
4 | 안소동(安昭東) | 3,529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1.49%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58,315 |
투표율 54.14% |
투표 수 | 31,576 | ||
무효표 수 | 867 |
창원시 제4선거구 반송동, 중앙동, 웅남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박준(朴俊) | 19,183 | 1위 |
[[새누리당| |
52.10% | 당선 | |
3 | 석영철(石永喆) | 17,632 | 2위 |
[[통합진보당| |
47.89%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64,025 |
투표율 59.30% |
투표 수 | 37,967 | ||
무효표 수 | 1,152 |
2.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창원시 제3선거구 봉림동, 용지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영진(金榮鎭) | 20,044 | 1위 |
|
58.06% | 당선 | |
2 | 정연희(鄭蓮姬) | 14,473 | 2위 |
[[자유한국당| |
41.93%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55,616 |
투표율 63.41% |
투표 수 | 35,269 | ||
무효표 수 | 752 |
창원시 제4선거구 반송동, 중앙동, 웅남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남택욱(南澤旭) | 19,869 | 1위 |
|
47.81% | 당선 | |
2 | 박준(朴俊) | 14,610 | 2위 |
[[자유한국당| |
35.15% | 낙선 | |
6 | 정영주(鄭永珠) | 7,076 | 3위 |
[[민중당(2017년)| |
17.02%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64,189 |
투표율 66.33% |
투표 수 | 42,582 | ||
무효표 수 | 1,027 |
2.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창원시 제4선거구 반송동, 용지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경영(金璟伶) | 12,629 | 2위 |
|
39.31% | 낙선 | |
2 | 박준(朴俊) | 19,493 | 1위 |
|
60.68%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58,608 |
투표율 55.78% |
투표 수 | 32,696 | ||
무효표 수 | 574 |
반송동을 관할하는 더불어민주당 소속이던 남택욱 도의원이 2021년 탈당하고 국민의힘에 입당하였다. 막상 그리고 나서 의령군수 출마를 노리게 되면서 이 곳에는 자연스럽게 불출마가 확정되었다.
막상 의원 한명 잃은 더불어민주당에선 2명의 현직들이 이 지역을 기반으로 하여 교통정리가 필요하다. 용지동을 연고로 하는 김영진 지역구 도의원과 반송동을 연고로 하는 비례대표 김경영 도의원의 지역기반이 겹치게 된 것. 결국 경선을 치르게 되었고 김경영 후보가 승리하게 되었으며, 김영진 후보는 무주공산이 된 창원시 제5선거구로 옮겨서 출마하게 된다.
국민의힘에서는 반송동이 관할 지역구에 포함되었던 박준 전 도의원을 이 곳에 단수공천하며 재선에 도전한다.
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는 아무도 출마하지 않아 양당 1:1 구도로 치러진다.
선거 결과 국민의힘 박준 후보가 성산구에서 가장 높은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양 후보의 지역 기반인 반송동에서는 김경영 후보가 40% 넘게 받으며 비교적 선전했지만, 용지동에서는 박준 후보가 63.2%로 몰표를 받으며 전체 득표율이 60%를 넘기게 되었다.
[1]
창원시 제2선거구 (사림동, 용호동, 신월동, 사파동, 상남동)
[2]
대동제 이전의 행정 구역으로, 이후 용호동과 신월동을 합쳐 용지동이 되었다.
[3]
창원시 제3선거구 (반림동, 반지동, 대원동, 내동, 중앙동)
[4]
대동제 이전의 행정 구역으로, 이후 반림동과 반지동을 합쳐 반송동이 되었다.
[5]
창원시 제2선거구 (명곡동, 봉림동, 용지동)
[6]
창원시 제3선거구 (반송동, 중앙동, 상남동, 웅남동)
[5]
[6]
[5]
[10]
창원시장 선거 출마를 위해 사퇴
[6]
[12]
창원시 제3선거구 (봉림동, 용지동)
[13]
창원시 제4선거구 (반송동, 중앙동, 웅남동)
[12]
[13]
[12]
[13]
[18]
반송동, 용지동
[19]
행정동 봉림동에서 퇴촌동 일부 지역이 성산구 반송동으로 편입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