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2-01-17 12:50:30

주연(삼국전투기)

파일:주연 삼국전투기.png

1. 개요2. 작중 행적
2.1. 첨산 전투2.2. 유수구 전투2.3. 하변 전투2.4. 번성 전투2.5. 이릉 대전2.6. 삼로 전투2.7. 전투 외편 1 ~ 낙곡 전투2.8. 최후
3. 작중 묘사4. 여담

1. 개요

최훈 작가의 작품 삼국전투기에서 등장한 주연을 서술하는 문서.

주치 오챠노미즈 박사(유식한 박사)로 나왔기 때문에 주치의 양아들인 주연은 아톰으로 나왔다.

2. 작중 행적

2.1. 첨산 전투

조조 적벽대전에서 패한 뒤 조조에게 공세를 펼치던 손권이 합비에서 주춤하자 노숙의 계책에 따라 회유된 진란, 매성이 조조에게 반기를 들자 육손과 함께 한당을 따라 진란과 매성을 지원하기 위해 출전하며 등장한다.

황량하여 이동이 편리한 서쪽길과 번화하여 보급이 쉬운 동쪽길 중 어느 길로 진격하는 것이 더 낫겠냐고 묻는 한당에게 육손이 서쪽길을 제시하자 반대로 동쪽길을 갈 것을 주장하고[1] 한당의 명에 따라 선봉에 선 뒤 봉룡에서 장패와 맞붙는다.[2]

처음에는 탐색전으로 갈 생각으로 승부를 볼 마음은 없었기에 차륜전으로 가지만 장패와 손관에게 큰 피해를 입은 뒤 육손이 주둔한 내석으로 후퇴하며 2차전에서 설욕할 것이라고 자신하지만 미처 정비를 하기도 전에 장패의 2차 공격에 탈탈 털리고 멘붕한 뒤 자신과 정반대의 계획을 제시했던 육손에게 자신의 계획의 문제점을 물어본다. 이에 육손은 전술의 문제가 아닌 승리에 대한 의지의 문제였다고 답하자 깨달음을 얻게 된다.

2.2. 유수구 전투

조조 손권이 유수구에서 맞붙을 때, 본진 1군의 수장을 맡은 주태의 보좌로 들어간다. 하후돈 문빙, 하후상, 손관의 특공대에 의해 배 몇척을 강탈 당하자, 여몽의 배를 지키라는 명령을 주태가 무시하고 배를 되찾으러 가려고 할때, 여몽의 명령을 다시 상기 시키지만, 오히려 주태가 "네 상관의 말에 잔말말고 따르라"며 무시하자 주태의 천박한 출신을 생각하며 짜증을 내며 명에 따른다.

그러나 정작 주태가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조조군의 손관을 부상입히고 조조군을 쓸어나가자, 생각이 있고 없고를 따질 군번이 아니었음을 느낀다.

2.3. 하변 전투

손권이 합비전의 복수로 감녕을 시켜 야밤급습을 하고 조조와 동맹을 맺으면서 주태를 유수오의 총사령관으로 임명하자, 주태의 출신을 거론하며 거부하는데 이에 발끈한 손권이 주태와의 끈끈한 유대를 보여주겠다며 옷을 벗으라고 시키자, 그렇고 그런걸(?) 생각하고 즉각 수긍한다...

유수오의 책임자가 주태가 아닌 여몽이 될 것이라 생각했다며 서성에게 투덜거리지만 이 말을 들은 서성은 앞으로 주요 전장이 합비가 아닌 형주가 될 것이라는 것을 간파한다.

2.4. 번성 전투

관우가 번성 공략에 열을 올리고 있을 때, 여몽을 따라 참전하여 형주를 공략한다. 반장 등이 봉화대를 점령한 뒤 여몽에게 모든 봉화대가 접수되었다고 보고했고, 여몽에게 장강변에 대기하며 관우의 움직임에 즉각 반응할 수 있도록 하라는 명을 받았다.

관우가 맥성에서 탈출을 감행할 때, 반장, 마충과 함께 매복하여 관우를 덮친다. 관우가 필사적으로 저항하며 반장을 죽이기 직전까지 몰아가는 순간, 마충이 관우의 뒤를 찌르자 눈물을 흘리며 관우를 향해 달려가던 관평을 베어죽인다.

2.5. 이릉 대전

대충 이릉 전투 즈음부터 주연의 얼굴이 가로로 납작해지고 둥글어졌다.

초기에 총사령관 후보 중 하나로 나왔고 손권도 주연 쪽으로 마음이 기우는 듯한 묘사가 있었지만 결과적으로는 육손이 대도독으로 임명된 것으로 묘사된다.

육손의 화공에 의해 대패를 당해 진식과 합류하여 달아나는 유비가 수로로 달아나려하자 수군을 이끌고 퇴로를 차단한 모습을 보였다.

2.6. 삼로 전투

조비가 대대적으로 남벌을 단행할 때, 강릉 방면에서 조진, 하후상, 장합의 맹공으로부터 강릉을 사수한다.

강릉을 지원하러 온 손성이 무너지면서 강릉성이 완전포위당하는 위기를 맞게 된다. 요태가 괴질 때문에 동원할 수 있는 병력이 5천도 안 된다며 우려를 표했지만 평년 기온이 강릉보다 높은 곳은 없으니 우기까지 버틴다면 위군은 절대로 강릉의 우기를 넘기지 못할 것이라고 확신하는 모습을 보이며 수성 의지를 다졌다. 이후 조진의 공성이 진행됐지만 주연의 수성도 철저했고 때때로 허를 찔러 카운터까지 넣어서 오히려 공격을 하던 위군을 위축시키기도 했다고 묘사되었다.

도중에 요태가 적과 내통하려는 등 위기가 있었지만 잘 대처하여 진압하기도 했다.

그리고 끝내 조진, 하후상, 장합이 물러나게 만든다.

2.7. 전투 외편 1 ~ 낙곡 전투

전투외편 1편에서는 238년 당시 대사마로, 대장군 제갈근과 더불어 오의 파워 랭킹 4위에 위치해 있다고 묘사된다. 본편에서는 제갈근의 활약이 거의 없기 때문에 제갈근을 보고 대장군이었냐며 놀라기도 했다.

작피 전투 편에서는 북벌을 위한 작전회의 당시 다른 제장들과 더불어 합비는 싫다며 거부반응을 일으켰다.

전종의 의견대로 작피를 공략하기로 정해진 이후에는 제갈근과 함께 위군의 시선을 분산시키기 위해 번성으로 진격하여 호질과 대치했다. 그런데 거기서 그대로 아무런 언급도 없이 작피 전투가 끝나버렸고, 주연은 이에 제갈근, 호질 등과 더불어 공기화된 것을 항의하는데, 하지만 사마의가 출동한다면 어떨까?라는 작가의 말과 함께 사마의가 출격하면서 박살났다고 한다.

낙곡 전투 편에서는 촉이 장강변에 군사를 집중시키는 것을 보고 오를 노리는 것이 아닌가 의심하지만 손권이 쓸데없는 걱정이라고 일축하자 납득하는 모습을 보였다.[3]

2.8. 최후

이궁의 변이 벌어질 동안 별다른 언급이 없다가 전투외편 4편에서 전종과 같은 시기에 사망했다고 언급한다.

3. 작중 묘사

육손을 부각시키기 위해 이론에만 입각한 계략을 세웠다가 장패에게 격파당하고, 상관인 주태를 출신이 한미하다고 무시하다가 그의 무시무시한 전투력을 보고 놀라는 등 초반에는 육손과 장패 그리고 주태를 띄우기 위한 희생양이었으나 전투를 거치면서 깨달음을 얻고 성장형 장군 모습을 보여준다.

형주공방전에서 복병으로 관우를 타격, 관평을 죽이는 등의 활약이 있고 여몽 사후에도 육손과 함께 후계자로 거론되기도 하며 이릉 전투에서도 활약한다. 삼로전투에서 삼각주에서 하후상을 격퇴한 반장과 더불어 6개월 간 조진과 장합에게서 강릉을 수비하는 고군분투하며 끝내 수성에 성공하는 모습이 나온다.

후에 주연이 죽고 아들 주적이 강릉을 맡았을 때, 왕창, 왕기, 주태가 남하하며 공격해올 때, 왕창이 주연이 없으니 계획이 수월하게 풀린다고 언급하기도 한다.

연의에서 워낙 푸대접을 받고 존재감도 없는 탓에 연의보다는 대접이 좋고 작가도 주연이 오나라에서 중요한 인물임을 여러 번 언급하긴 했지만 정작 정사의 활약들이 구체적으로 묘사된 것이 많지 않아 조금은 부족한 느낌을 준다. 그래도 비슷한 처지의 전투력 측정기 취급인 능통보다는 나아보인다.

4. 여담

근육질이며, 팬티 한 장만 입고 있는 건 검소한 성격이기 때문이라는 설정이다(…).[4]

등장 초반에는 얼굴이 각졌는데 세월이 지나면서 점점 얼굴형이 동그란 모양으로 변해간다는 것이 특징이다.

어째 이름을 이용한 개그가 많은데, 주연의 사망 장면에서는 나관중에서 연의에서 자길 조연으로 만들고 잠이 오냐며 따진다든지, 외전에서는 네가 주연이면 난 아카데미 주연상이라며 정장 차림으로 아카데미 상을 들고온 장합의 모습에 당황하는 모습을 보였다.



[1] 육손 또한 후에 말하였듯, 주연의 계획 자체에는 큰 문제점이 없었다. 내석, 봉룡을 지나게 되는 동쪽길의 경우 중간중간 포인트가 되는 도시들이 있어 체계적인 병력 배치에 용이하고 군량을 직접 조달할 수도 있는데다 여차하면 여강 제 1의 상업도시인 서현까지 접수하는 것도 노릴 수 있기 때문. [2] 정사에는 장패와 맞붙는다는 기록이 없다. [3] 촉이 강변에 군사를 집중시키던 건 수로를 따라서 상용 방면으로 위를 공략해 보려 했기 때문이었으나 주연이 이걸 알 리가 없으니 이런 오해가 생긴 것. [4] 참고로 저 팬티 한 장만 걸친 장면은 타이틀 컷에 등장했던 때와 사망씬 딱 2컷만 나온다. 덤으로 평소엔 팬티맨이라고 하지만 작중에서는 제대로 군복을 갖춰 입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