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3 16:58:31

제57보병여단

제173보병연대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10기계화여단 로고.jpg 파일:20기계화여단.jpg 파일:제8기동사단 부대마크.svg 파일:23사단 부대마크.png
제10기계화보병여단 제20기계화보병여단 제21기계화보병여단 제57보병여단
파일:23사단 부대마크.png 파일:23사단 부대마크.png 파일:제20기계화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26기계화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58보병여단 제59보병여단 제62기계화보병여단 제76기계화보병여단
파일:77보병 마크.png 파일:제27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27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IMG_80여단_080552456.jpg
제77보병여단 제78보병여단 제79보병여단 제80보병여단
파일:제30기계화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0기계화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0기계화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90기계화보병여단 제91기계화보병여단 제92기계화보병여단 제109보병여단
파일:11기동사단 포병여단 로고.png 파일:제23보병사단 포병여단.jpg 파일:불무리 포병여단 로고.png 파일:27포병 마크.png
제11기계화보병사단 포병여단 제23보병사단 포병여단 제26기계화보병사단 포병여단 제27보병사단 포병여단
파일:30사단 포병여단.png 파일:제53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26기계화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30기계화보병사단 포병여단 제125보병여단 제75기계화보병여단
※ 둘러보기: 해체·해편된 각급 육군 부대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


(구)제23보병사단 예하부대
제57보병여단 제58보병여단 제59보병여단
포병여단
※ 군 공통의 직할부대( 본부근무대, 의무근무대 등)는 소속 부대 문단 참고
※ 과거 소속 예하부대( 제23보병사단 신병교육대 등)는 과거 소속 부대 문단 참고

제57보병여단
第57步兵旅團
The 57th Infantry Brigade
파일:23사단 부대마크.png
동해안 최전선에서 우리는 승리한다
창설일 1975년 8월 1일( 제173보병연대)
1998년 12월 1일(제57보병연대)
2020년 12월 1일(제57보병여단)
해체일 2021년 11월 1일[1]
상징명칭 동천부대
소속 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 제23보병사단
규모 여단
역할 강원도 동해안 해안경계
초대 연대장 대령 000(육사 00기)
해체 전 여단장 대령 구형준(육사 00기)
위치 강원도 동해시

1. 개요2. 연혁 및 특징3. 예하부대
3.1. 여단직할대3.2. 군수지원대대 (舊 수송대)3.3. 제1대대 쌍룡3.4. 제2대대 청룡3.5. 제3대대 황룡
4. 출신인물
4.1. 여단장4.2. 장교/부사관4.3. 병
5. 기타
5.1. 근무환경5.2. 여단가
6. 사건사고7.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육군 제8군단 제23보병사단 예하 제57보병여단. 별칭은 동천부대.

2. 연혁 및 특징

여단장 대령이며 예하 대대장은 중령급 지휘관이다.

강원도 동해시 일대를 담당한다.

사단 예하 보병연대 중 가장 넓은 책임섹터를 가지고 있다. 강릉과 동해를 거점 삼고 있다.

원래 명칭은 제173보병연대였으나 제68보병사단이 제23보병사단으로 확대개편되면서 단대호가 바뀌었다. 그래서 22년간 제57보병연대였으나 국방개혁 2.0 기본계획에 의거, 상비사단과 지역방위사단이 개편돼 57보병연대 역시 2020년부로 제57보병여단으로 격상되었다.

2021년 11월 1일을 끝으로 해체되었으며, 이 부대의 예하대대들은 전부 존속하여 제1산악여단, 제23경비여단 등에 편입되었다.

3. 예하부대

3.1. 여단직할대

3.2. 군수지원대대 (舊 수송대)

2020년 12월 국방개혁 2.0으로 인해 연대에서 여단급으로 격상되면서 수송대가 해체되며 군수지원대대가 창설되었다.

3.3. 제1대대 쌍룡

여단 해체와 함께 예속전환되어 제23경비여단 2대대로 개편.
  • 본부중대

3.4. 제2대대 청룡

여단 해체와 함께 예속전환되어 제23경비여단 1대대로 개편.
  • 본부중대
  • 1중대
  • 2중대
  • 3중대
  • 화기중대

3.5. 제3대대 황룡

여단 해체와 함께 예속전환되어 제1산악여단 3대대로 개편.
  • 본부중대

4. 출신인물

4.1. 여단장

볼드체 대장 진급이 된 연대장 및 여단장.
역대 제57보병여단장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000 예) 대령 육사 00기 연대장
00대 최진규 예) 중장 학사 9기 지상작전사령부 부사령관
00대 박성제 소장 학사 17기 육군교육사령부 교육훈련부장
00대 박창석 대령 연대장
00대 노준 준장(진) 학사 23기 연대장
00대 구형준 대령 육사 53기 여단장

4.2. 장교/부사관

4.3.

5. 기타

5.1. 근무환경

특이사항으로 사단 보수대대와 공병대대가 연대본부와 같은 주둔지에 있다. 연대본부와 예하 1개 대대가 붙어 있고 멀찍이 사단 예하의 보급수송대대와 공병대대가 붙어있다. 위병소는 같이 쓰지만 근무는 57연대만 선다

연대본부 주둔지에는 종교시설이 교회 밖에 없어서 불교, 천주교인 용사는 일요일마다 대형버스를 타고[2] 사단 본부에 있는 법당, 성당을 이용하게 된다. 뜀걸음 코스의 경우, 같은 코스 5바퀴 반을 뛰어야 3km인데 급경사 오르막을 5~6번 올라야한다. 보수대대, 공병대대와 같은 주둔지를 쓰지만 식당은 달리 쓴다. 정확히는 조리실을 기준으로 양옆으로 식당이 나뉘며 한쪽은 여단 본부와 주둔 대대 인원들이 쓰고 다른 쪽은 보수, 공병대대 인원이 쓴다.

3개의 대대가 번갈아 가면서 본부, 내륙, 해안 초소에 교체 투입된다.내륙에 주둔하는 독립대대의 경우 큰 도로와 크게 떨어져있고 해서 위병소에서 나가는 길이 매우 멀다. 바닷가와 굉장히 가까이 있어[3] 근처 해안소초의 순찰로가 대대 주둔지로 이어지는 괴악한 구조다. 여름철에 해안가 철책을 열고 간부 통제하에 해수욕을 즐기기도 한다.

5.2. 여단가

6. 사건사고

7. 여담


[1] 동년 9월 1일 임무해제 [2] 대략 15분 소요 [3] 가장 외곽에 위치한 중대 생활관은 철책 하나만 넘으면 수제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