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21 01:18:49

젖병


파일:babybottle.jpg
Babybottle

1. 아기들의 음료용 젖병2. 장난감 젖병3. 아기의 놀이4. 여담

1. 아기들의 음료용 젖병

🍼 / Babybottle

제목 그대로 아기들이 사용하는 병. 당연하지만 영·유아가 사용하니 유아용품 중 하나이다. 분유, 모유 등을 빨아 먹거나, , 음료수 마실 때 사용한다. 본래 아기들, 특히 돌이 채 지나지 않은 아기들은 아직 음식을 씹어 먹을 수 없으므로 엄마로부터 모유를 먹어야 한다( 이유식을 먹이긴 하지만 주식이 되기 힘들며 영아는 이유식도 못 먹는다). 과거에는 모유를 대체할 만한 식품 자체가 흔치 않았고, 우유나 기타 동물의 을 아이에게 먹이려 해도 어린 아이들은 이를 제대로 마시지 못하므로 먹이기 쉽지 않았다. 그래서 아이의 엄마가 바쁘거나 굳이 젖을 물리고 싶지 않거나 혹은 젖을 줄 수 없는 상황(병이 들었거나, 안타깝게도 사별했거나)에서 아이에게 젖을 줄 수 있는 방법은 동냥젖 아니면 유모를 이용하는 방법뿐이었다.

그 뒤 젖병의 등장 덕에 현대에 이르러서는 어린 아기에게 훨씬 수월하게 젖(혹은 그 대체용품)을 먹일 수 있게 되었다. 분유는 물론 모유도 따로 엄마가 착유해 놓았다가 아이에게 젖병에 담아 먹일 수 있다. 즉 엄마 이외에 다른 사람이 젖을 물릴 수 있으므로 엄마들은 젖병덕에 육아 문제에 있어 엄마가 좀 더 자유로워 질 수 있게 된 셈이며 맞벌이 같은 사회진출도 쉬워졌다 할 수 있다(물론 이는 젖병에만 국한된 문제는 아니고 현대의 많은 육아용품이 엄마에게만 집중되는 육아분담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물론 현대적인 젖병이 등장하기 전 과거에도 여러 종류의 젖병이 고안되기는 했다. 과거에는 동물의 뿔이나 토기등을 이용하여 깔대기 모양의 용기를 만든 다음 뾰족한 끝부분에 작은 틈을 내어 지금의 젖병과 비슷한 효과를 낸 것들도 있었다. 서양에서 유리를 이용한 생활용품이 본격화된 시점에는 지금의 소스병 비슷한 젖병도 고안되었으며 19세기 무렵이 되면 유리병에 호스를 연결하고 그 끝에 젖꼭지 비슷한 구조를 연결한 젖병도 나온다. 그리고 20세기 초반에는 과도기적으로 유리(혹은 플라스틱) 젖병 위쪽에 고무로 된 일종의 젖꼭지 캡을 눌러 씌우는 구조가 등장한다.

현대의 일반적인 젖병의 구조는 말랑말랑한 고무재질로 된 젖꼭지가 끼워져 있는 뚜껑을 병에다가 나사를 이용하여 돌려 끼우는 구조다. 일반 물병과 마찬가지로 젖꼭지가 달린 뚜껑을 돌려서 손쉽게 열 수 있기 때문에 음료를 넣거나 분유를 탈 때 편하다.

젖꼭지 끝쪽에는 미세한 틈이 있기 때문에 아기가 엄마 젖을 빨듯 이 젖꼭지를 빨면 액체가 흘러 나온다. 이 젖꼭지의 구멍 크기도 아이의 성장에 맞춰 단계별로 정해져 있으며, 아이가 클 수록 보통 한 번에 더 많은 양의 액체가 나오도록 되어 있다. 이 젖꼭지는 세척 등을 하기 쉽도록 힘을 주면 뚜껑과 분리되게 되어 있다.

젖병에는 용량을 알 수 있게 눈금이 그어져 있다. 특히 영아기에는 하루 전체 수유량(모유건 분유건)과 한 번에 주는 수유량을 계산하는 것도 중요하고, 분유를 탈 때도 물 얼마에 분유 몇 숟갈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이 용량표시 눈금이 유용하다. 다만 양각되어 있는 게 아니라 칠만 해 놓은 것은 우유병 세척을 계속하다 보면 눈금이 지워지기도 한다.

좀 고급 젖병 중에는 배앓이 방지 젖병이란 것도 있다. 영아 때는 젖병을 빨 때 들어가는 공기 때문에 아기가 트림을 자주 해야 하는데, 아무리 등을 토닥여줘도 트림을 잘 하지 못하여 배가 더부룩하다 보니 아기가 불쾌하여 울거나 먹은 것을 도로 토할 수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기가 젖병을 빨아도 공기가 함께 들어가지 않도록 몇 가지 장치가 추가된 젖병들도 있다. 물론 아기들 마다 개인차가 있어서 이런 거 없어도 배앓이 한 번 안 하는 아기들도 있다.

젖병의 세척과 관리는 초보 부모들이 고생하는 것 중의 하나로 생각보다 어렵다. 특히 조금이라도 대충 헹구면 우유 썩은내가 진동한다(...).젖병은 그냥 우유만 닦아 헹군다고 생각하면 안되며 미세한 틈새와 가장자리까지 빡빡 닦아도 모자랄 지경이다. 종종 부모들이 젖병을 정기적으로 펄펄 끓는 물에 열탕소독을 하는 모습도 볼 수 있다.

대부분의 젖병은 자연재료에서 추출한 합성수지인 PLA를 주재료로 사용하여 상온에서 유해물질이 배출되지 않고 물 끓는 온도에서는 유해물질을 합성시키지 않는다. PLA는 식품 관련된 용도로 사용하는 플라스틱과 3D 프린터 필라멘트의 주성분이기도 하다.

젖병을 끊는 권장시기는 만 2세. 계속 쓰면 치아에 안 좋다고 카더라. 물론 이것도 케바케.

모유 수유와 분유 중 어느 쪽이 아기에게 좋은지는 아주 오래된 떡밥인데, 여기엔 이 젖병 문제도 포함한다. 앞서 말한 젖병의 위생 문제나 유해물질 떡밥도 있고, 젖병 사용 자체가 모유에 비해 아기의 턱이나 치아 건강에 나쁠 수도 있다는 속설도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선 속설과는 달리 실제론 명확한 연구 결과는 나오지 않았다.

다른 유아용품들처럼, 친환경 마케팅이 효과가 있는 대표적 상품이기도 하다.

이거에 페티시가 있는 사람들이 존재한다. 정확히 말하면 다 큰 어른이 아기 흉내를 내면서 페티시를 느끼는 것. 오토네피필리아 기저귀 페티시즘 항목 참조. 위험해 보이지만 엄연히 취향 중 하나며 에이지 플레이 등으로 불린다.

2. 장난감 젖병

장난감 젖병은 대형마트 장난감 코너에서 장난감 아기를 유심히 살펴보면 장난감 젖병을 볼 수 있다. 유튜브에서 캐리와 장난감 친구들 에서도 볼 수 있다. 거대 장난감 젖병도 있는데 이 젖병은 중간 크기의 젖병 여러 개를 넣을 수 있다. 거대 젖병은 유튜브에서 볼 수 있다. 이 장난감 젖병은 인터넷에서 주문해도 볼 수 있다. 실바니안 패밀리 장난감을 파는 곳에서는 아주 작은 크기의 젖병을 볼 수 있으며 중간 크기의 젖병 안에 아주 작은 젖병 여러 개를 넣을 수 있다. 거대 젖병 안에도 작은 크기의 여러 개를 넣을 수 있으며 작은 크기의 젖병을 중간 크기의 젖병 안에 넣은 다음에 이 젖병을 거대 젖병 안에 넣을 수 있으며 장난감 젖병을 이중이나 삼중으로 넣는 놀이가 있다. 여기에서 주의점이 있는데 작은 크기의 장난감 젖병은 만 3세 미만의 어린이에게는 절대로 주면 안 된다.

3. 아기의 놀이

거대 젖병 안에 중간 크기의 젖병을 절반 정도 넣고 흔들고 소리내서 아기에게 들려주면 좋은 놀이가 된다.

4. 여담

  • 실제 젖병을 기억하는 사람은 매우 드물다. 이유는 새로운 뇌 세포 발달과 두뇌 발달 때문인데 뉴스에서 나온 적이 있다. 참고로 추억 회상 형식 만화 중 하나인 안녕 자두야에는 젖병이 나오지 않으며 엄마는 단짝친구에도 젖병이 나오지 않는다.
  • 특이하게도(?), 홈쇼핑 방송에서는 팔 수 없는 상품 중 하나였다(방송통신심의위원회규칙인 '상품소개 및 판매방송 심의에 관한 규정'에 의거). 이는 분유, 젖꼭지도 마찬가지며 모유 수유를 장려하기 위해 정책적으로 제한했다고 한다. # 그 뒤 해당 규정이 개정되어 # 젖병, 젖꼭지의 상품소개 및 판매방송이 2017년부터는 허용되었다. 다만, "그 제품의 사용으로 모유수유의 기능 및 효과를 대체할 수 있다거나, 산모의 건강 등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표현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라는 제한이 있다. 조제분유, 조제우유의 상품소개 및 판매방송은 여전히 금지되고 있다.
  • 동물용 젖병도 있다. 이걸로 어린 동물에게 우유 같은 걸 먹일 때의 주의점은 자세. 원숭이 같은 영장류들은 사람처럼 비스듬히 누운 자세로 젖을 먹지만, 보통 가정에서 애완동물로 키울 법한 개나 고양이 같은 사족보행 동물들은 사람과 달리 배가 바닥을 보는 엎드린 자세로 젖병을 물려야 한다. 만약 그렇게 물리지 않을 경우 우유가 기도로 넘어가 질식사한다.
  • 젖병은 아기를 상징하는 의미가 있다보니 축구 선수들은 득점을 했을때 젖병을 무는 골 세리머니를 하면서 자신의 아내나 약혼녀의 임신이나 출산 소식을 알리기도 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