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8:16:43

장성


[clearfix]

1. 전라남도 장성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장성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 장성동

2.1.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장성동(청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장성동(포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2.3. 강원도 태백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장성동(태백)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長城

말 그대로 긴 성을 의미한다. 보통 장성하면 가장 유명한 것은 중국 만리장성이며, 우리나라에선 고구려 고려 시기의 천리장성이 기록에 남아 있다.

3.1. 천문학 용어

장성(長星)과 혼동할 수 있으나 영어로 Great Wall인 장성(長城)이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우주 거대 구조 문서
번 문단을
장성(Great Wall)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군대의 장성급 장교(將星級 將校, general officer/admiral/flag Officer/air officer)를 가리키는 단어이다. 여기서 옛 명칭인 장관(將官)은 장관(長官)과는 다르다. 장군이나 제독으로도 부른다. 북한에서는 장령이라고 부른다. 단, 장군, 제독, 계급명과 달리 사람 이름 뒤에 붙일 수 있는 단어는 아니다. 에르빈 롬멜 장군, 체스터 니미츠 제독, 게오르기 주코프 원수 등의 표현은 가능하나 롬멜 장성 같은 식의 표현은 불가하다는 이야기이다.

모양 계급장을 달기 때문에 '별 성'자가 쓰인 것인데, 당연히 한/미군 계급 기준이며, 장군이나 제독급 계급이 아니어도 별 개수 등으로 계급을 나타내는 국가는 많으므로 계급장만 보고 장성이라 생각하면 안 된다. 일본 육군 이등병도 별 1개였다.

대한민국 국군의 장성 계급은 준장, 소장, 중장, 대장, 원수의 5단계가 있으나, 원수 계급은 웬만큼 군 규모가 커지거나 큰 전쟁이 나지 않는 한 나올 일이 없으므로 사실상 4단계다. 을 달았다는 뜻은 이 계급이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예전보단 많이 줄었지만 막대한 영향력이 뒤따라온다.

한국군에서 장교( 준사관 포함)의 수는 2014년 기준으로 71,846 명이며 장성은 441명이다. 장교 163명당 장성 1명인 셈이다. 그런데 장교 중 1%만이 장성을 단다고 생각하면 곤란하다. 3년만 하고 나가는 위관장교가 70%가 넘기 때문. 그렇다 해도 전체 임관자의 10%도 되기힘든 어려운 계급임에는 분명하다.

5.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혜성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1. 제11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장성급 장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육사 18기. 前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6. SBS 드라마 그 겨울, 바람이 분다의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장성(그 겨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삼국시대 서진의 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장성(삼국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