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08 22:43:45

일리야 무로메츠

러시아어: Илья Муромец
우크라이나어: Ілля Муромець
영어: Ilya Muromets

1. 전설의 인물2. 항공기
2.1. 등장 매체

[clearfix]

1. 전설의 인물

파일:일리야 무로메츠.jpg

키예프 공국 시절의 고전 서사시 주인공. 민요 '빌리나'(Bylina)에서 노래하는 영웅이자 가장 위대한 보가트리. 무롬 출신이다.

블라디미르 1세 시절의 편력기사로, 특이하게 농민, 개중에서도 빈농 출신이다. 무로메츠라는 성도 엄밀히 따지자면 '무롬의 일리야', 즉 모스크바 동쪽에 있는 무롬 출신의 일리야라는 뜻. 33년동안 걷지도 못하고 집안에서만 생활하고 있었지만, 어떤 순례자들이 제공한 꿀물을 마시고 나자 오히려 전신에 힘이 솟아올랐다고 한다. 그들의 충고로 일리야는 정교회를 수호하기 위해 수도로 여행을 떠났다.

그 과정 중에서 일리야 무로메츠는 슬라브 신화 거인 '스비야토고르(Svyatogor)'의 죽음을 지켜봐 줌으로써 그에게서 그의 힘이 담긴 숨결을 받고, 체르니고프를 침략한 이교도들을 쓰러뜨렸으며, 수도로 가는 길에 자리잡아 자신의 휘파람 소리로 사람을 죽이던 반인반조의 도둑 '슬로베이 라즈보니크(Solovei Razboinik)'를 사로잡아 블라디미르 1세에게 진상하였다가, 그가 부는 휘파람 소리에 궁궐이 파괴되자 그 목을 치기도 했다. 또한, 수도에 있을 때 주군인 블라디미르 1세를 모독한 거인 이드리시체를 쓰러뜨렸으며, 이후 여행에서는 자신을 제외한 다른 세 기사와 마찬가지로 용 즈메이 고리니치를 쓰러뜨리기도 했다.

파일:external/dic.academic.ru/Die_drei_Bogatyr.jpg
위의 그림에서도 등장하듯, 일리야 무로메츠는 때때로 자신과 마찬가지로 블라디미르 1세를 섬기는 두 명의 기사와 함께 행동하기도 했는데, 이들이 바로 도브리냐 니키티치와 알료샤 포포비치다. 이 셋은 수많은 모험을 같이 하며 러시아 내에서도 특히나 인기가 높은 서사시 중 하나다.

충직한 기사였지만 주군인 블라디미르에게 딱히 경의를 표하거나 하지 않고 늘 솔직하게 본심 그대로 대했다고 한다. 궁정의 파티에 혼자만 초청을 못 받자 키예프의 모든 교회 첨탑을 다 때려부수며 화를 내기도 했을 정도. 이런 순박한 마음씨와 우직하고 집요한 태도 때문에 동슬라브 문화권 공통의 영웅으로 오랜 시간 자리잡았다.

일리야 무로메츠의 토대가 된 것은 정교회의 성인인 '일리야 페체르스키(Илия Печерский / Ilya Pechersky)'이지만, 신화적인 면모로 볼 때 그는 슬라브 신화의 뇌신인 페룬이 정교회의 도입과 함께 변화된 것으로 여겨지기도 하며, 이럴 때의 일리야는 보통 페룬의 말인 번개를 타고 다니는 이미지로 그려진다.

러시아의 국민악파 작곡가인 라인홀트 글리에르(1875~1956)의 교향곡 3번 표제 또한 일리야 무로메츠.

소련 시절 모스필름에서 소련 판타지 영화의 거장 알렉산드르 푸트쉬코(Александр Птушко / Aleksandr Ptushko) 감독이 1956년 영화 <일리야 무로메츠>를 제작하였는데, 이 영화에서 몽골의 무희로 나온 북한의 무용가 안성희 검무를 잠깐이나마 볼 수 있다. 안성희 문서에도 설명이 되어 있지만 안성희는 모스코바의 볼쇼이 발레학교에서 유학 생활을 하던 도중 '집시춤'으로 모스코바 국제 무용 콩쿠르에서 1등상을 수상하였는데, 아마 그 영향으로 이 영화에 우정출연하게 된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또한 이 영화에 나오는 즈메이 고리니치 고지라 시리즈에 나오는 킹 기도라 모티브의 일부가 되기도 했다.

2. 항공기

제1차 세계대전의 연합군 항공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color=#564d44><colbgcolor=#564d44> 전투기 <colcolor=#0080ff><colbgcolor=#564d44> 영국 빅커스 F.B.5 건버스,RAF 빅커스 뱀파이어, 빅커스 F.B.12, 빅커스 E.S.1, 브리스톨 스카웃, 브리스톨 M.1, 브리스톨 F.2, 에어코 DH.2, RAF F.E.8, 솝위드 펍, RAF S.E.5, 솝위드 삼엽기, 솝위드 카멜, 솝위드 돌핀, 솝위드 스나이프, 솝위드 1 1/2 스트러터
프랑스 모랑-소르니에 L, 모랑-소르니에 N, 뉴포르 시리즈, 스패드
폭격기 경 폭격기 암스트롱 휘트워스 F.K.8(영), 브레게 14(프) RAF R.E.8(영), 브와쟁 III, 쿠드롱 G.3(프), 마틴 NBS-1(미)
중 폭격기 핸들리 페이지 폭격기 시리즈(영), 빅커스 비미(영), #항공기(러), 쿠드롱 G.4(프), 카프로니 시리즈(이), 에어코 DH.10(영), 마틴 MB-1(미)
기타 항공기, 요격기, 훈련기 빅커스 F.B.19 정찰기(영), PB.29E/31E 슈퍼마린 나이트호크(영), 샘슨 2(프), 커티스 JN 제니(미), 커티스 모델 D 함재 정찰기(미)
}}}}}}}}} ||


✈️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3D3137> 1차
세계대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협상군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동맹군
전간기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2차
세계대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1943-1947).svg
미국
파일:RAF_type_C1_roundel.svg
영국
파일:독일 공군(나치 독일) 라운델2.svg
나치 독일
파일:일본 공군 라운델.svg
일본 제국
파일:Italy-Royal-Airforce.svg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1914-1940).svg
노르웨이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1934-1945).svg
핀란드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Roundel_of_the_Royal_Thai_Air_Force_(1941-1945).svg
태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대만 국장.svg
중화민국
파일:Czech_roundel_(right_wing).svg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파일:Roundel_of_Bulgaria_(1937-1941).svg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1942-1945).svg
헝가리 왕국
파일:Nationalist_air_force_black_roundel_with_arrows.svg
스페인
파일:Manchukuo_Air_Force_Roundel.svg
만주국
파일:Emblem_of_Mongolian_People's_Army.svg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colbgcolor=#3d3137>남미 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 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북유럽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 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공군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서아시아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0%A1%D0%B0%D0%BC%D0%BE%D0%BB%D0%B5%D1%82_%22%D0%98%D0%BB%D1%8C%D1%8F_%D0%9C%D1%83%D1%80%D0%BE%D0%BC%D0%B5%D1%86%22.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Replica_Sikorsky_S-22_Ilya_Muromets_-_Monino_%289728150992%29.jpg

항공우주공학 이고르 시코르스키가 1913년 개발한 세계 최초의 여객기이다.

세계 최초 타이틀이 굉장히 많은데, 세계 최초의 4발 엔진 비행기, 세계 최초로 기내식을 제공했고, 세계 최초로 전망대가 달렸으며, 최초로 조종석과 분리된 승객 좌석, 최초로 장착된 편안한 좌석, 기내 화장실, 기내 침실, 난방시설과 기내 조명이 장착되어 있었다. 이후 세계 최초의 전략폭격기로 개조된다. 세계 최초 개수만 11개...

개발된 1913년 처음 비행을 성공해, 1914년 2월 11일에 16명의 승객을 태우고 비행했다.

파일:external/i51.photobucket.com/APC09.jpg

이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폭격기로 개조 및 제작돼 약 85대 이상이 제작되었다.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러시아 제국이 전장에서 이탈할 때까지 3년 간 450회 임무를 수행하며 65톤의 폭탄을 투하했다. 손실은 단 3대에 불과했다. 곧이어 발발한 러시아 내전에도 적군과 백군 모두 이 기체를 사용했고, 내전이 끝난 1922년에야 퇴역했다.

2.1. 등장 매체

배틀필드 1의 두번째 국가 DLC "In The Name of Tsar"(황제의 이름으로) 에서 등장이 확인되었다. 성능 평가는 개사기라는 평가가 주류며 날틀필드라는 악명을 더해주었다는 평가도 많다.

대체 역사 소설 조선, 혁명의 시대에서도 등장. 러시아가 전쟁으로 인한 산업 붕괴로 얼마 배치되지 못하지만 러시아와 동맹국인 대한제국의 대한중공업회사가 라이센스를 취득해서 배치하는데 성공, 이후 이고르 시코르스키 적백내전으로 대한제국에 망명하면서 후계기인 S-28을 만든다. 작중에서는 이름이 한국인들에게는 복잡하여 일무(一武), 후계기는 이무(二武)라고 부른다.

조선에는 쿠데타가 필요해요에서도 등장. 여기서는 주인공 덕택에 항공전에 대한 이해가 깊어진 브루실로프가 초기형 스트라이크 패키지를 구성하면서 그 패키치의 주력 항공기 중 하나다. 특히 단단함은 여기서도 입증되는데 독일의 포커 항공기 20대가 한꺼번에 달려들었지만 끝내 격추되지 않고 무사히 귀환했을 정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