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경상북도 의성군 탑리리 고분Ⅰ 돌무지덧널무덤에서 발견된 5세기 경 신라의 금동관. 현재 국립대구박물관에 원본이, 의성조문국박물관에 복제본이 소장되어 있다.2. 내용
1960년 국립중앙박물관이 경상북도 의성군의 탑리리 고분에서 발견한 신라의 금동관으로, 유물의 제작 연대는 5세기 초(서기 400년대 초)로 추정되고 있다.
경북 의성군에는 금성면 학미리, 탑리리, 대리리 일원에 200여기의 고분군이 있다. 이 무덤들은 5세기 초~6세기 후반까지 만들어 진 것으로 추정되는데, 진한의 12개 소국 중 하나로 서기 185년 신라에 의해 합병된 조문국(召文國)의 후예들이 세운 고분군으로 파악하고 있다. 총 29만 6,825㎡에 걸쳐 분산되어 있는 이 고분들은 현재 사적 제555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금동관은 5세기 경 의성군 탑리리 일대에 조성된 고분에서 발견한 것으로, 185년 조문국의 멸망 이후 원활한 지방통치를 위하여 옛 조문국 왕족들에게 여전히 이곳의 통치권리를 인정한다는 뜻으로 신라 경주 중앙정부에서 하사한 금동관으로 여겨지고 있다.
띠 모양의 테두리 위에 가장자리를 가늘게 자른 후 이를 꼬아 새의 깃털 모양으로 만든 세움 장식 세 개를 부착한 것으로 이러한 형태의 관을 ‘조우형(鳥羽形)’이라고 부른다. 일반적인 신라 금관 또는 금동관이 띠 모양의 테두리 위에 나뭇가지를 간략하게 도안화한 ‘출(出)’자 모양의 장식을 겹쳐 올린 장식을 세 개 세우고, 뒤쪽에는 사슴뿔 장식을 세운 것과는 전혀 다른 형태를 보이고 있다.
이와 비슷한 ‘조우형’ 금동관의 모습은 경주 황남대총 남분에서 출토된 은제관에도 있으며, 고구려에서 지금까지 발견된 3종의 금동관 중 집안 출토 금동관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또한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에 있는 아프라시압 궁전 벽화에 그려진 사람에게서도 이러한 양식이 발견되고 있어서 중앙아시아 쪽에서 한반도로 유입된 양식임을 확인할 수 있다.
1960년 국립중앙박물관이 탑리리 고분을 발굴했을 때 이 금동관을 비롯한 많은 황금유물과 신라토기, 철제무기 등의 유물이 나왔다. 또한 이 유물이 만들어질 당시 이 곳에 다수의 금광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고 있는데, 일제강점기 때 지질조사에서 의성을 중심으로 안동, 예천, 상주 등지에서 많은 고대 금광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이를 통해 이 지역이 5세기 경 찬란한 신라 황금문화의 원류 중 하나로, 과거 이 곳을 정복했던 신라 김씨세력에게 풍족한 경제적 기반을 제공한 지역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고구려를 비롯한 중앙아시아 지역 양식이 금동관에 녹아들어 있어 당시 이 지역에 다양한 국제 문화가 유입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3. 외부 링크
- 사라진 고대왕국…금 생산지 조문국
- [김경상의 한반도 삼한시대를 가다(22)] 조문국 금동관의 유래
- 오마이뉴스 : 의성의 고분군에서 출토된 금동관
- 금관은 왕이 머리에 쓴 것일까?
- 대구신문 : 금동관 금동제관장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