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문서: 유성구 갑
,
유성구 을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0ae4d>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동구 |
중구 |
[[서구(대전광역시)/정치|
시청 서구]] |
유성구 |
대덕구 |
}}}}}}}}} |
1. 선거구 정보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회의원/시의원 선거구 | ||
<rowcolor=#ffffff> 구분 | 선거구명 | 지역 |
<colbgcolor=#036eb8><colcolor=#ffffff> 유성구 갑 | 유성구1 | 진잠동, 원신흥동, 상대동, 학하동 |
유성구2 | 온천1동, 온천2동, 노은1동 | |
유성구 을 | 유성구3 | 노은2동, 노은3동, 신성동 |
유성구4 | 전민동, 구즉동, 관평동 |
1.1. 구의회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제9대 의회 2022.7.1. ~ 2026.6.30.{{{#!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더불어민주당|
6석, 구청장 소속 정당 ]]
|
8석
|
||||
재적 14석
|
}}}}}}}}} |
2. 특성
현재 대전에서 민주당계 정당 지지가 가장 강한 지역이다. 대전에서 호남지역 출신 인구들이 많이 모여 사는 편이라 전반적으로 모든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우세한 편인데, 특히 과학 및 첨단산업 이슈에 영향을 많이 받는 스윙보터 지역이다. 2020년대 기준 40~50대가 많아 평균적 성향 자체는 진보에 가깝다고 할 수 있지만, 20대 대선에서는 탈원전 정책 및 이공계 표심으로 인해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승리하기도 핬다.[1] 그러나 22대 총선에서는 윤석열 정부가 R&D 예산을 졸속 삭감했다는 논란이 이어지며 다시 민주당에 압도적으로 표를 주었다.유성구가 분리된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 신한국당- 한나라당- 새누리당- 자유한국당- 미래통합당- 국민의힘 모두 이곳에서 국회의원을 단 한 명도 배출하지 못했다. 지방선거 데이터를 봐도 보수정당 계열 인사가 뽑힌 것은 구도 자체가 보수 정당에 많이 기울었던 2004년 재보궐선거, 2006년 제4회 지방선거 구청장 선거 뿐이었고, 이후로는 꾸준히 민주당이 깃발을 꽂고 있다.
박근혜 정부가 당선 이후 부활시킨다는 과학기술부를 갑자기 미래창조과학부라는 이름으로 내놓고, 과학기술계의 기대에 못 미치는 정책들을 남발하는 등 삽질을 하며 그나마 있던 보수 지지층조차 지속적으로 하락,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선 민주당 초강세 성향이 본격적으로 드러나기 시작했다. 유성구의 두 선거구에서 각각 15%p, 30%p의 매우 큰 격차로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승리했고, 비례대표에서도 민주당과 국민의당의 분열로 인해 전국적으로 새누리당이 어부지리 1위를 하는 와중에도, 민주당이 홀로 30%를 넘으면서 24%에 그친 새누리당을 앞섰다.
또한 2016년 말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터지면서 보수세가 급격히 몰락했다.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의 문재인 후보가 무려 47.51%를 득표하여, 2위 국민의당 안철수를 무려 25.86% 격차로 누르고 압승했다. 47.5%의 득표율을 기록한 곳은 전라도를 제외하면 세종시, 영통구가 전부였다. 특히 11개동 모두 전국 평균 득표율을 넘긴 것은 상징하는 바가 크다. 가장 낮게 나온 신성동조차 42.3%가 나왔는데, 자운대[2]와 도룡동[3]이 위치해 군인 및 부자 표로 평균치가 깎였음에도 이러한 수치가 나왔기 때문이다.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는 16.3%에 그쳐 역시 전라도, 세종, 영통구 다음으로 낮은 득표율을 얻었다. 홍 후보는 진잠동 20.45% 말고는 20% 이상을 득표한 곳이 단 한 군데도 없었다.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는 7.4%의 득표율을 얻어 충청도 전체에서 계룡시 다음으로 득표율이 높았다.
민주당 초강세 구도는 2018년 제7회 지방선거,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이어졌다. 지선에서는 시장 61:26, 구청장 63:23, 총선에서는 갑구 56:40, 을구 56:37로 말이 필요없을 만큼 민주당의 독식이 이어졌다.
그러나 2022년 20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48.66%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47.50%를 약 1.15%p 차로 누르는 이변이 일어났다. 충남대학교, 카이스트 등 대학가가 있어 해당 대학 기숙사생·자취생이 많은 온천2동에서 윤석열 후보가 53%:43%으로 무려 10%p 이상 압승을 거두어 격차를 많이 벌린 것이 이유였다. 관악구처럼 2030 세대가 많이 거주하기 때문에 민주당 지지도가 높았던 것이, 역으로 2030 민심이 등을 돌리면서 국민의힘과 윤석열 측이 힘을 받을 수 있었다.[4] 또한 도안신도시의 집값 상승으로 부동산 민심이 작용한 것 역시 유성구의 보수화에 영향을 미쳤다.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대전광역시장, 유성구청장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더 높은 지지를 받았다. 특히 충청도 광역자치단체장 4석을 국민의힘이 석권한 가운데 광역자치단체장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승리한 유일한 충청도 기초자치단체였다.[5] 유성구가 원래 다른 지역보다 민주당세가 강한 것도 있지만, 민주당 허태정 시장의 지역기반이 유성구였고 과거 국민의힘 이장우 시장과 진동규 구청장은 색깔론과 강성 발언으로 청년층에게 여론이 좋지 않기도 하다.
대전시의회에서는 민주당이 3석을, 국민의힘이 1석을 가져갔지만, 유성구의회 선거에서는 국민의힘이 다수당을 차지했다. 정당 지지율을 가장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광역의원 비례대표 선거에서는 다른 충청권보다는 덜하지만 국민의힘이 더 많은 표를 받았다.
그 외에는 외지인이 많아 토박이들이 그다지 큰 힘을 쓰지 못하는 지역이기도 하다. 8회 지선 때는 양당의 구청장 후보가 모두 토박이가 아닌 외지 출신이라는 진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여러 가지 변수가 많은 지역이다. 윤석열 대통령의 R&D 예산 원점 재검토 지시 뒤 두 달 만에 정부에서 해당 예산을 전격 삭감함으로써[6] 이 지역 연구기관과 연구원들이 부글부글 끓고 있어 이것이 집권여당인 국민의힘으로서는 총선에 상당한 악재가 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문재인 정부의 실책 덕분에 어렵게 쌓아올린 국민의힘의 유성구 지지 기반이라는 공든 탑이 송두리째 무너질 위기에 처해있다. 또한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과 이장우 현 시장의 높은 부정평가가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다. 그리고 원자력과 에너지 관련 기관과 인프라가 밀집해 있기도 해서 탈원전[7]에 대한 극단적인 정책과 주장을 반복하고 있는 더불어민주당 역시 여론에 반영될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기도 하다. 결국 윤석열 정부의 과학기술 경시 풍조와 R&D 예산 삭감 등으로 연구원들의 배신감과 분노가 겹쳐 22대 총선에서 집권당 국민의힘이 단 1석도 얻지 못하고 참패하면서 심판을 당하고 말았다. 그나마 국민의힘 입장에서는 비례정당인 국민의미래가 비례대표 선거에서 더불어민주연합, 조국혁신당보다 많은 표를 받았다는 것에 만족해야했다.
3. 역대 선거 결과
유성구 국회의원 선거 결과 | ||||||
{{{#!wiki style=" margin: -16px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margin: -10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서구·유성구 | |||||
14대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이재환 | 재선 | |||
유성구 | ||||||
15대 |
[[자유민주연합| |
조영재 | 초선 | |||
16대 |
[[새천년민주당| |
송석찬 | 초선 | |||
17대 |
[[열린우리당| |
이상민 | 초선 | |||
18대 |
[[자유선진당| |
재선 | ||||
19대 |
[[민주통합당| |
3선 |
}}} {{{#!wiki style="margin: -33px -1px -17px" |
유성구 갑 | 유성구 을 | |
20대 |
조승래 초선 |
이상민 4선 |
||||
21대 |
조승래 재선 |
이상민 5선 |
||||
22대 |
조승래 3선 |
황정아 초선 |
}}}}}} |
||<-5><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36eb8><tablebg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color=#000000,#dddddd>
역대
유성구청장 선거 결과 ||
1995 | 1998 | 2000 재보궐 | 2002 | 2004 재보궐 | ||
민주당 | 새정치국민회의 | 자유민주연합 | 한나라당 | |||
송석찬[8] | 이병령[9] | 진동규 | ||||
2006 | 2010 | 2014 | 2018 | 2022 | ||
한나라당 | 민주당 | 새정치민주연합 | 더불어민주당 | |||
진동규 | 허태정 | 정용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주요 후보 득표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구분 | 주요 후보 득표율 | ||||
1995년 |
1위: 송석찬 42.47% 2위: [[자유민주연합| 3위: 이병오 19.20% |
|||||
1998년 |
1위: [[새정치국민회의| 2위: [[자유민주연합| |
|||||
2000년 |
1위: [[자유민주연합| 2위: [[새천년민주당|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김성준 21.33%
|
|||||
2002년 |
1위: [[자유민주연합| 2위: 김현규 35.88% |
|||||
2004년 |
1위: 진동규 26.56% 2위: [[열린우리당| 3위: [[자유민주연합| 4위: 신현관 15.25% |
|||||
2006년 |
1위: 진동규 53.00% 2위: [[열린우리당| 3위: 박종선 11.06% |
|||||
2010년 |
1위: [[민주당(2008년)| 2위: 진동규 31.66% 3위: [[자유선진당| |
|||||
2014년 |
1위: [[새정치민주연합| 2위: 진동규 36.25% |
|||||
2018년 |
1위: 정용래 63.26% 2위: 권영진 22.57% 3위: 심소명 14.16% |
|||||
2022년 |
1위: 정용래 51.16% 2위: 진동규 48.83% |
}}}}}}}}} |
3.1. 지방선거
8회 지선 유성구 개표 결과 | |||||||
대전광역시장 선거 결과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허태정 | 이장우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득표율) |
78,142 (52.70%) |
70,109 (47.29%) |
+ 8,033 (△5.41) |
51.58% | |||
진잠동[A] | 51.30% | 48.70% | △2.60 | 44.53 | |||
학하동 | 48.55% | 51.45% | ▽2.90 | 46.10 | |||
원신흥동[B] | 50.81% | 49.19% | △1.62 | 48.18 | |||
상대동 | 48.58% | 51.42% | ▽2.84 | 50.21 | |||
온천1동[C] | 47.24% | 52.76% | ▽5.52 | 38.45 | |||
온천2동[D] | 50.67% | 49.33% | △1.34 | 48.38 | |||
노은1동[E] | 54.20% | 45.80% | △8.40 | 51.43 | |||
노은2동[F] | 54.61% | 45.39% | △9.22 | 50.79 | |||
노은3동[G] | 56.20% | 43.80% | △12.40 | 53.21 | |||
신성동[H] | 50.94% | 49.06% | △1.88 | 48.66 | |||
전민동[I] | 54.38% | 45.62% | △8.76 | 52.93 | |||
구즉동[J] | 55.77% | 44.23% | △11.54 | 43.18 | |||
관평동[K] | 53.72% | 46.28% | △7.44 | 52.17 | |||
후보 | 허태정 | 이장우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52.24% | 47.76% | △4.48 | ||||
관외사전투표 | 55.64% | 44.36% | △11.28 | ||||
후보 | 허태정 | 이장우 | 격차 | 투표율 | |||
유성구 갑[21][갑] | 50.29% | 49.71% | △0.58 | ||||
유성구 을[23][을] | 54.40% | 45.60% | △8.80 | ||||
유성구청장 선거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정용래 | 진동규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득표율) |
75,498 (51.16%) |
72,070 (48.83%) |
+ 3,428 (△2.33) |
51.58% |
3.2. 대선
3.2.1. 제15대 대통령 선거
유성구 유성구 일원 |
|||
정당 |
|
[[새정치국민회의| |
|
후보 | 이회창 | 김대중 | 이인제 |
득표수 | |||
득표율 | % | % | % |
순위 | 위 | 위 | 위 |
계 | 선거인 수 | ||
투표 수 | |||
무효표 수 | |||
투표율 | % |
3.2.2. 제16대 대통령 선거
유성구 유성구 일원 |
|||
정당 |
|
[[새천년민주당| |
|
후보 | 이회창 | 노무현 | 권영길 |
득표수 | |||
득표율 | % | % | % |
순위 | 위 | 위 | 위 |
계 | 선거인 수 | ||
투표 수 | |||
무효표 수 | |||
투표율 | % |
3.2.3. 제17대 대통령 선거
유성구 유성구 일원 |
|||||
정당 |
[[대통합민주신당| |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
후보 | 정동영 | 이명박 | 권영길 | 문국현 | 이회창 |
득표수 | |||||
득표율 | % | % | % | % | % |
순위 | 위 | 위 | 위 | 위 | 위 |
계 | |||||
선거인 수 | |||||
투표 수 | |||||
무효표 수 | |||||
투표율 | % |
3.2.4. 제18대 대통령 선거
유성구 유성구 일원 |
||
정당 | 새누리당 | 민주통합당 |
후보 | 박근혜 | 문재인 |
득표수 | 81,928 | 96,401 |
득표율 | 45.79% | 53.88% |
순위 | 2위 | 1위 |
계 | 선거인 수 | 225,936 |
투표 수 | 179,329 | |
무효표 수 | 424 | |
투표율 | 79.37% |
18대 대선 대전 유성구 개표 결과 | ||||
정당 | 새누리당 | 민주통합당 | 격차 | 투표율 |
후보 | 박근혜 | 문재인 | (1위/2위) | (선거인/표수) |
득표수 (득표율) |
81,928 (45.79%) |
96,401 (53.88%) |
-14,473 (▼8.09) |
79.37% |
진잠동 | 49.02% | 50.69% | ▼1.67 | 75.40 |
온천1동 | 49.41% | 50.39% | ▼0.98 | 75.17 |
온천2동 | 46.75% | 52.86% | ▼6.11 | 76.93 |
노은1동 | 45.77% | 54.0% | ▼8.23 | 80.80 |
노은2동 | 43.57% | 56.15% | ▼12.58 | 82.20 |
신성동 | 49.79% | 49.75% | △0.04[25] | 81.22 |
전민동 | 43.26% | 56.51% | ▼13.25 | 82.85 |
구즉동 | 40.88% | 58.71% | ▼17.83 | 77.84 |
관평동 | 42.26% | 57.46% | ▼15.20 | 83.38 |
후보 | 박근혜 | 문재인 | 격차 | |
국외부재자투표 | 34.61% | 64.96% | ▼30.35 | |
국내부재자투표 | 45.62% | 53.48% | ▼7.86 |
3.2.5. 제19대 대통령 선거
유성구 유성구 일원[유성]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자유한국당 | 국민의당 | 바른정당 | 정의당 |
후보 | 문재인 | 홍준표 | 안철수 | 유승민 | 심상정 |
득표수 | 103,313 | 35,445 | 47,081 | 16,145 | 14,723 |
득표율 | 47.51% | 16.30% | 21.65% | 7.42% | 6.77% |
순위 | 1위 | 3위 | 2위 | 4위 | 5위 |
계 | |||||
선거인 수 | 266,632 | ||||
투표 수 | 218,087 | ||||
무효표 수 | 663 | ||||
투표율 | 81.79% |
19대 대선 대전 유성구 개표 결과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자유한국당 | 국민의당 | 바른정당 | 정의당 | 격차 | 투표율 |
후보 | 문재인 | 홍준표 | 안철수 | 유승민 | 심상정 | (1위/2위) | (선거인/표수) |
득표수 (득표율) |
103,313 (47.51%) |
35,445 (16.30%) |
47,081 (21.65%) |
16,145 (7.42%) |
14,723 (6.77%) |
+56,232 (△25.86) |
81.79% |
진잠동 | 42.96% | 20.45% | 23.76% | 6.03% | 6.39% | △19.20 | 73.48% |
원신흥동 | 46.44% | 16.66% | 22.87% | 7.13% | 6.60% | △23.57 | 79.76% |
온천1동 | 42.42% | 19.84% | 23.09% | 7.08% | 7.11% | △19.33 | 71.18% |
온천2동 | 44.69% | 18.20% | 22.02% | 8.21% | 6.61% | △22.67 | 78.34% |
노은1동 | 49.39% | 16.36% | 20.60% | 7.03% | 6.31% | △28.79 | 83.34% |
노은2동 | 50.26% | 16.64% | 20.49% | 6.73% | 5.56% | △29.77 | 82.23% |
노은3동 | 51.59% | 15.03% | 20.46% | 6.88% | 5.79% | △31.13 | 83.19% |
신성동 | 42.31% | 18.61% | 23.45% | 9.48% | 5.90% | △18.86 | 82.60% |
전민동 | 49.99% | 15.56% | 19.90% | 7.84% | 6.45% | △30.09 | 84.08% |
구즉동 | 49.34% | 13.94% | 21.85% | 6.10% | 8.31% | △27.49 | 76.83% |
관평동 | 50.81% | 13.72% | 20.85% | 7.72% | 6.67% | △29.96 | 85.47% |
후보 | 문재인 | 홍준표 | 안철수 | 유승민 | 심상정 | 격차 | |
거소 및 선상투표 | 39.30% | 17.67% | 28.60% | 8.84% | 2.79% | △10.70 | |
관외사전투표 | 49.48% | 13.12% | 20.56% | 8.58% | 7.92% | △28.92 | |
재외투표 | 57.75% | 7.04% | 17.19% | 4.0% | 13.62% | △40.56 | |
국회의원 선거구 | 문재인 | 홍준표 | 안철수 | 유승민 | 심상정 | 격차 | 투표율 |
유성구 갑[27][28] | 45.10% | 18.25% | 22.55% | 7.14% | 6.62% | △22.55 | 76.98% |
3.2.6. 제20대 대통령 선거
20대 대선 유성구 개표 결과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이재명 | 윤석열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득표율) |
108,701 (47.50%) |
111,342 (48.66%) |
- 2,641 (▼1.15) |
231,027 (80.02%) |
|||
진잠동[29] | 48.70% | 47.31% | △1.38 | 72.56 | |||
학하동[30] | 44.66% | 52.17% | ▼7.51 | 76.27 | |||
원신흥동[31] | 47.48% | 49.06% | ▼1.58 | 78.16 | |||
상대동[32] | 42.63% | 53.77% | ▼11.14 | 78.68 | |||
온천1동[33] | 43.77% | 52.06% | ▼8.29 | 70.47 | |||
온천2동[D] | 43.02% | 53.03% | ▼10.01 | 76.16 | |||
노은1동[E] | 48.86% | 47.54% | △1.32 | 81.14 | |||
노은2동[F] | 49.01% | 47.27% | △1.74 | 79.02 | |||
노은3동[G] | 51.45% | 45.05% | △6.40 | 80.64 | |||
신성동[H] | 43.37% | 53.19% | ▼9.81 | 80.51 | |||
전민동[I] | 47.99% | 48.46% | ▼0.47 | 81.34 | |||
구즉동[J] | 53.96% | 41.44% | △12.52 | 74.01 | |||
관평동[K][42] | 49.83% | 46.48% | △3.35 | 81.70 | |||
후보 | 이재명 | 윤석열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45.04% | 49.56% | ▼4.53 | ||||
관외사전투표 | 47.99% | 47.56% | △0.43 | ||||
재외투표 | 58.17% | 37.11% | △21.06 | ||||
후보 | 이재명 | 윤석열 | 격차 | 투표율 | |||
유성구 갑[43][갑] | 45.49% | 50.76% | ▼5.27 | 75.91 | |||
유성구 을[45][을] | 49.40% | 46.87% | △2.53 | 79.60 |
3.3. 총선
21대 총선 유성구 개표 결과 | ||||||||||||
국회의원 선거 (유성구 갑)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미래통합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조승래 | 장동혁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득표율) |
55,463 (56.52%) |
39,588 (40.34%) |
+ 15,875 (△16.18) |
99,185 (66.65%)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진잠동[A] | 55.11% | 42.25% | △12.85 | 59.42 | |||||||
원신흥동[B] | 56.20% | 41.26% | △14.93 | 66.34 | ||||||||
온천1동[C] | 52.85% | 43.61% | △9.24 | 57.88 | ||||||||
온천2동[D] | 54.39% | 41.94% | △12.45 | 66.40 | ||||||||
노은1동[E] | 59.72% | 37.31% | △22.41 | 70.29 | ||||||||
후보 | 조승래 | 장동혁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57.20% | 36.24% | △20.96 | |||||||||
관외사전투표 | 64.04% | 32.45% | △31.59 | |||||||||
재외투표 | 76.13% | 20.45% | △55.68 |
국회의원 선거 (유성구 을)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미래통합당 | 정의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이상민 | 김소연 | 김윤기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득표율) |
53,785 (55.85%) |
35,629 (37.00%) |
6,355 (6.59%) |
+ 18,156 (△18.85) |
97,283 (72.20%)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노은2동[F] | 53.88% | 38.31% | 7.44% | △15.57 | 69.80 | |||||||
노은3동[G] | 56.25% | 35.98% | 7.37% | △20.27 | 70.73 | ||||||||
신성동[H] | 49.00% | 44.69% | 5.88% | △4.32 | 70.27 | ||||||||
전민동[I] | 56.96% | 37.05% | 5.56% | △19.91 | 73.73 | ||||||||
구즉동[J] | 57.52% | 33.73% | 7.65% | △23.79 | 61.74 | ||||||||
관평동[K] | 57.12% | 36.38% | 6.05% | △20.74 | 73.62 | ||||||||
후보 | 이상민 | 김소연 | 김윤기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52.73% | 39.30% | △13.43 | ||||||||||
관외사전투표 | 59.92% | 33.02% | △26.89 | ||||||||||
재외투표 | 64.00% | 35.00% | △29.00 |
3.3.1. 비례대표
3.3.1.1.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선거 | |||||||||||||||
정당 | 미래한국당 | 더불어시민당 | 정의당 | 국민의당 | 열린민주당 | 격차 | 투표율 | ||||||||
득표수 (득표율) |
54,520 (28.73%) |
64,546 (34.02%) |
22,097 (11.64%) |
17,870 (9.41%) |
12,220 (6.44%) |
- 10,026 (▼5.28) |
196,457 (69.26%)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진잠동[A] | 31.61% | 34.42% | 9.54% | 7.98% | 4.82% | ▼2.81 | 59.43 | |||||||
원신흥동[B] | 31.73% | 34.12% | 9.53% | 9.46% | 6.17% | ▼2.39 | 66.34 | ||||||||
온천1동[C] | 33.65% | 32.49% | 9.02% | 8.65% | 5.11% | △1.16 | 57.88 | ||||||||
온천2동[D] | 31.99% | 31.35% | 10.32% | 10.83% | 5.55% | △0.64 | 66.40 | ||||||||
노은1동[E] | 28.12% | 35.43% | 10.42% | 9.66% | 7.38% | ▼7.32 | 70.29 | ||||||||
노은2동[F] | 27.53% | 32.78% | 14.02% | 9.35% | 6.65% | ▼5.25 | 69.83 | ||||||||
노은3동[G] | 26.10% | 35.14% | 13.26% | 9.34% | 7.49% | ▼9.04 | 70.75 | ||||||||
신성동[H] | 32.12% | 28.47% | 11.83% | 11.92% | 6.77% | △3.64 | 70.27 | ||||||||
전민동[I] | 26.77% | 33.16% | 13.17% | 10.69% | 7.78% | ▼6.39 | 73.73 | ||||||||
구즉동[J] | 23.44% | 39.06% | 13.68% | 6.90% | 5.25% | ▼15.62 | 61.74 | ||||||||
관평동[K] | 26.68% | 34.74% | 13.34% | 9.46% | 7.31% | ▼8.06 | 73.62 | ||||||||
정당 |
[[미래한국당|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25.61% | 33.99% | 8.37% | 5.91% | 2.95% | ▼8.37 | |||||||||
관외사전투표 | 24.50% | 36.31% | 12.91% | 8.93% | 7.10% | ▼11.81 | |||||||||
재외투표 | 20.11% | 34.63% | 13.40% | 7.82% | 15.08% | ▼14.53 |
3.3.1.2.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선거 | ||||||
정당 | 더불어민주연합 | 국민의미래 | 개혁신당 | 조국혁신당 | 격차 | 투표율 |
득표수 (득표율) |
53,313 (26.31%) |
65,610 (32.25%) |
9,786 (4.81%) |
56,225 (27.64%) |
+9,385 (△4.61) |
210,755 (69.17%) |
진잠동 | 28.41% | 35.60% | 3.31% | 24.02% | ▼7.19 | 61.22 |
온천1동 | 28.47% | 36.22% | 4.84% | 20.56% | ▼7.75 | 57.13 |
온천2동 | 24.54% | 35.92% | 5.94% | 24.15% | ▼11.38 | 63.82 |
노은1동 | 24.02% | 32.21% | 4.89% | 29.55% | △2.66 | 69.40 |
노은2동 | 24.24% | 32.24% | 3.86% | 29.55% | △2.69 | 69.53 |
신성동 | 21.93% | 36.18% | 5.89% | 25.67% | △10.51 | 66.41 |
전민동 | 23.59% | 30.86% | 5.10% | 30.73% | △0.13 | 71.67 |
구즉동 | 33.13% | 27.66% | 3.28% | 26.27% | △5.47 | 62.23 |
관평동 | 25.63% | 29.19% | 4.52% | 32.25% | ▼3.06 | 70.46 |
원신흥동 | 27.05% | 33.47% | 4.63% | 27.11% | △6.36 | 65.88 |
노은3동 | 24.62% | 30.87% | 4.04% | 31.01% | ▼0.14 | 71.47 |
학하동 | 25.70% | 35.68% | 4.35% | 25.74% | △9.94 | 62.75 |
상대동 | 22.82% | 37.31% | 5.01% | 27.61% | △9.70 | 67.73 |
정당 | 더불어민주연합 | 국민의미래 | 개혁신당 | 조국혁신당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29.55% | 37.01% | 4.47% | 16.41% | ▼7.46 | |
관외사전투표 | 29.55% | 27.18% | 6.08% | 29.17% | △0.38 | |
재외투표 | 26.63% | 19.35% | 4.51% | 40.90% | ▼14.27 |
[1]
특히
카이스트의 영향이 큰 온천동 긍에서는 상당히 크게 이겼다.
[2]
신성동 제5투표소가 자운대 내부에 있었다. 이 곳의 결과는 문재인 24.87%, 홍준표 22.36%, 안철수 31.92%, 유승민 16.26%, 심상정 4.42%였다. 물론 관외투표는 제외된 결과이다.
[3]
스마트시티를 비롯해 대전에서 집값이 가장 높은 주거단지가 몰려있는 법정동으로, 충청도의 대표적 부촌이다.
[4]
특히 카이스트는 공대가 상당히 파워풀한 남초 대학이기 때문에
2030 남성층의 문재인 정부와 민주당에 대한 민심 이반을 더더욱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서울대학교의 영향으로 똑같이 청년층의 표 이탈 문제를 겪었던
관악구는
여대생이나
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재학생들도 많아 비록
18대 대선 때 문재인 몰표와 같이 압도적이지는 않지만 그나마 표심 방어를 해서
인천 서구 또는
경기도 평균과 제법 비슷한 격차를 낼 수 있었다.
[5]
일반구를 나눠서 볼 경우
천안시 서북구도 포함된다.
[6]
IMF 사태 때도 적어도 R&D 예산은 깎지 않았다.
이번 R&D 예산 삭감은 무려 33년 만의 일이다.
[7]
실책이 거듭된 결과는
한국전력의 누적 부채 상태로 볼 수 있는데, 이러한 결과로 영향을 받는 건 대한민국 뿐만 아니라 직접 유성구의 연구기관과 연구원도 체감할 수 있는 중대한 사안이다.
[8]
00.02.06. 구청장직 사퇴 (16대 총선 출마)
[9]
03.12.07. 구청장직 사퇴 (17대 총선 출마)
[A]
옛 대덕군 진잠면 전지역.
[B]
법정동 원신흥동 · 상대동 · 봉명동(일부)
[C]
법정동 봉명동(일부) · 구암동 · 덕명동 · 복용동.
한밭대학교가 있는 동네
[D]
법정동 장대동 · 궁동 · 어은동 · 구성동 · 죽동(일부).
카이스트,
충남대학교가 있는 동네
[E]
법정동 노은동 · 갑동 · 지족동(일부) · 죽동(일부).
국립대전현충원이 있는 동네
[F]
법정동 지족동(일부) · 죽동(일부) · 하기동(일부) · 외삼동 · 안산동 · 수남동
[G]
법정동 지족동(일부) · 반석동.
육군군수사령부가 있는 동네
[H]
옛 대덕군 탄동면.
자운대 및
대덕연구개발특구,
한국조폐공사 본사가 있는 동네
[I]
법정동 전민동 · 문지동 · 원촌동.
카이스트 문지캠퍼스,
한남대학교 대덕밸리캠퍼스 및 대덕연구개발특구가 있는 동네
[J]
옛 대덕군 구즉면 (송강동 · 봉산동 · 금고동 · 대동 · 금탄동 · 신동 · 둔곡동 · 구룡동)
[K]
법정동 관평동 · 용산동 · 탑립동.
대덕테크노벨리가 있는 동네
[21]
진잠동, 원신흥동, 온천1동, 온천2동, 노은1동
[갑]
지역구 국회의원: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재선)
[23]
노은2동, 노은3동, 신성동, 전민동, 구즉동, 관평동
[을]
지역구 국회의원:
이상민 (더불어민주당, 5선)
[25]
불과 6표 차 접전이었다.
[유성]
노은1동, 노은2동, 노은3동, 온천1동, 온천2동, 원신흥동, 진잠동, 신성동, 전민동, 관평동, 구즉동
[27]
지역구 국회의원 :
더불어민주당
조승래
[28]
관할 동 : 진잠동, 원신흥동, 온천1동, 온천2동, 노은1동
[29]
옛 대덕군 진잠면 (원내동 · 교촌동 · 대정동 · 용계동 · 성북동 · 방동 · 세동 · 송정동)
[30]
법정동 학하동 · 복용동(일부) · 계산동 · 덕명동.
한밭대학교가 있는 동네
[31]
법정동 원신흥동 · 봉명동(일부).
도안신도시의 일부
[32]
법정동 상대동 · 복용동(일부).
도안신도시의 일부
[33]
법정동 구암동 · 봉명동(일부)
[D]
[E]
[F]
[G]
[H]
[I]
[J]
[K]
[42]
용산동 쪽은 집값이 꽤 높아서 유성구 쪽에서는 부촌에 속하기 때문에 집값 이슈 등으로 옆 동네 구즉동 보다는 보수 표가 좀 더 나오는 편이다.
[43]
진잠동, 학하동, 원신흥동, 상대동, 온천1동, 온천2동, 노은1동
[갑]
[45]
노은2동, 노은3동, 신성동, 전민동, 구즉동, 관평동
[을]
[A]
[B]
[C]
[D]
[E]
[F]
[G]
[H]
[I]
[J]
[K]
[A]
[B]
[C]
[D]
[E]
[F]
[G]
[H]
[I]
[J]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