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22 21:43:22

용유차량기지역

이곳은 폐쇄된 교통 시설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교통 시설은 폐쇄되어 더 이상 운영하지 않습니다.

용유차량기지역
파일:AREX_icon.svg
서울역 방면
인천국제공항
← 2.6 km
공항철도
(임시역)
시종착
다국어 표기
영어 Yongyu Train Depot
한자 龍遊車輛基地
중국어 龙游车辆基地
일본어 [ruby(ヨンユ)]竜遊車両基地
주소
인천광역시 중구 용유로 44 (운서동)
관리역 등급
없음
코레일 서울본부
그룹관리역 소속
공항철도(주) 영업본부[1]
운영 기관
공항철도 공항철도(주)
개업일
인천국제공항선 2009년 8월 1일
공항철도
폐지일
인천국제공항선 2017년 6월 29일
공항철도
역사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구조
단선 승강장
철도거리표
서울역 방면
인천국제공항
← 2.6 km
용유차량기지선 시종착

1. 개요2. 상세3. 운행 중단 이전 승강장

[clearfix]

1. 개요

인천국제공항철도 용유차량기지에 마련된 역. 인천국제공항 자기부상철도 용유역과는 붙어 있지만 환승은 되지않는 별도의 역이다. 용유차량기지 내부에 마련되어 있다.

2. 상세

역명판에는 용유역이나 용유임시역으로 되어있다. 국토교통부고시 제2014-240호의 철도거리표에는 용유차량기지선 용유차량기지(龍遊車輛基地)역으로 되어 있다. 용유차량기지에 대한 내용은 용유차량사업소 문서 참조.

2009년 8월에 용유차량기지까지 승객을 취급하는 열차가 처음 운행을 시작했다. 당시 인천국제공항철도 저조한 수요로 골머리를 앓았던 공항철도 운영사가 피서 승객을 유치하기 위해 해수욕장에 가까운 용유차량기지까지 직통열차를 연장운행한 것이다.

여름에 운행되는 바다관광열차와 연말연시에 운행되는 해넘이 열차와 무의도 등산열차와 정월대보름 특별열차의 종착지로만 이용되었다. 2010년 3월 17일부터는 단체 승객이 최소 3일 전까지 특정 업체를 통해 특정 관광상품을 예약하는 경우에 한해서 언제든지 갈 수 있게 되었다.[2] 그리고 한달 뒤인 2010년 4월 17일부터는 나들이 시즌을 맞아서 2010년 10월 31일까지 주말마다 직통열차를 연장운행을 하겠다고 밝혀서[3] 주말과 공휴일이면 언제든지 갈 수 있는 역이 되었다(그런데 공항철도가 해넘이 열차만 운행되면 헬게이트가 열렸다.).

이 역까지 운행하는 열차의 경우 인천공항1터미널역(당시 인천국제공항역)을 출발하기 전에 안전요원이 차량내부를 돌면서 남아있는 승객들에게 용유 임시역에 들어가는 게 맞는지 다시 한 번 확인하며 열차 앞쪽으로 유도했다. 이는 임시 승강장이라 1번객차, 2번객차 첫번째 출입문에서만 내릴 수 있기 때문이었고, 2번객차 첫번째 출입문은 승객이 많을때만 취급했다. 또한 기관사는 임시승강장까지 수동 모드로 매우 느릿느릿하게 운전한 다음, 안전요원이 열차 안에서 출입문 비상 손잡이로 문을 열고 승객을 승하차시켰다.

정상적인 역의 구조를 갖춘 것은 아니고 차량기지 출입구의 인도쪽에 개찰구를 설치했었다. 일반게이트 2개와 간이게이트 1개를 설치하여서 이를 통해서 요금을 정산한다. 물론 차도쪽에는 쇠사슬이 걸려있고 직원이 상주하고 있다. 2012년까지는 개찰구도 없어서, 차량기지 후문경비동에 정산기를 설치하고 요금을 정산했었다.

현 이용객 수는 여름 평균 하루 이용객수 약 800명에서 1000명 가까이 되며 사람이 많을때는 1800명 가까이 온 적도 있었다.

인천공항1터미널역과 용유임시역은 같은전산망을 사용했으므로 용유임시역은 인천공항1터미널역과 동일한 역으로 취급되었다. 표 발권시에도 인천공항1터미널역 기준으로 발권했었다.

용유임시역에는 발매기와 발권기가 각 한대씩 설치되어 있었으며, 공항철도 구형 발매기 사용으로 발매기에서 우대권 발매가 불가하여 우대권 발매업무는 역무실에서 역무원의 신분증 확인을 거쳐 발권기로 발매하도록 되어있었다.

승하차시설이 계단으로만 되어 있어 휠체어 이용객 승하차가 어렵다. 특히 전동휠체어를 이용하는 고객이 승하차할 경우 역무원이나 안전요원, 차량기지 직원, 기관사가 심히 고생한다.

2014년 12월 28일까지 공항철도 서해바다열차를 연장운행했다. 12월에 개통 예정이었던 자기부상열차의 개통이 연기됨에 따라 연장운행이 결정되었다고 하는데, 한달 더 운영할 역에 난방장치와 바람막이를 설치한 것을 보면 아무래도 2015년에도 운영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역 곳곳에 안내문이 부착되고 표지판이 설치되었는데, 본사에서 주문제작한 것이 아니라 한 동호인이 제작했다고.[4] 퀄리티가 대단했다. 천막을 새로이 교체하면서 없어졌다.

2015년 3월 1일부터 12월 27일까지 영업한 후, 2016년 해맞이 열차로 1월 1일까지 임시영업을 하고 정규 열차의 운행은 종료되었다.

2016년 7월 23일 ~ 8월 28일에는 주말 자기부상열차의 운행이 종료되는 18시 이후 서울역행 3편, 용유임시역행 2편이 운행을 했었다.

이후에는 자기부상열차가 운행함에 따라 역의 기능을 자기부상열차 용유역에게 넘겨주었고, 기존의 용유임시역은 문을 닫았다. 새해 해맞이 열차는 2016년과 2017년에도 운행했으나 이 때는 인천공항1터미널역에서 셔틀버스를 타고 용유임시역에서 사람들을 내려줬다. 2017년에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428호에 따라 용유차량기지선 철도거리표를 개정하면서 용유임시역도 철도거리표에서 사라졌다.

이 역은 대한민국의 간선철도를 제외한 광역철도, 도시철도의 역 중 최서단에 있는 역이었다. 최남단은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다대포해수욕장역[5], 최동단은 동해선 광역전철 태화강역[6], 최북단은 수도권 전철 1호선 연천역이다.

가끔 직통열차를 타려는 외국인들이 반대편에 정차되어 있는 용유임시역행 바다열차를 타는 바람에 배차가 뜸한 용유임시역에서 약 한 시간 동안 고립되는 곤욕을 겪었었다...

인천공항에서 서울역 방향으로 가려는 일반열차 승객들이 엉뚱한 용유임시역행 바다열차를 타서 안전요원에게 따지는 일이 허다했는데, 과거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플랫폼에서 안내를 담당하는 알바를 썼었는데 무슨 이유에선가 지금은 안 쓰고 있어 안전요원이 곤욕을 치르고 있었다.

용유임시역을 방문하는 승객들은 올 때는 하하 호호 웃는 얼굴로 오지만 갈 때는 약주를 한 사발 찐하게 들이켰는지 게이트 LCD에 카드를 들이대 놓고 카드가 안 찍힌다고 화를 내는 승객들이 허다했다.

용유임시역은 공항철도 직원들 사이에서도 유명했는데, 공항철도의 유배지로 알려져 있었다.

자기부상철도 운행중단 이후 공항철도측에서는 용유임시역 재개통 불가 입장을 내놓고 있다.

3. 운행 중단 이전 승강장

파일:attachment/c0008337_4c5f521b0f038.jpg
용유차량기지선 승강장 (2010년 8월 6일 촬영)
인천공항1터미널
종착역
파일:AREX_icon.svg 용유차량기지선 인천공항1터미널· (본선) 김포공항· (본선) 서울역 방면

사실상 임시승강장 구조여서 승강장이라 말하기도 애매하다. 맨 앞 쪽에 승하차를 위한 계단이 전부이다.


[1] 인천공항1터미널역 역장이 해당 역의 역무도 총괄한다. [2] 관련 기사 [3] # [4] 「용유역 안내표지판 제작」, 2014-12-17, 네이버블로그 [5] 여기는 공항 건설이 확정된 가덕도신공항에 전철이 들어갈 경우 최남단 기록이 넘어가게 된다. 역사의 정확한 위치는 확정되지 않았지만 철도 연결이 포함되었고 가덕도신공항 부지가 다대포보다 남쪽이기 때문. [6] 2025년에 북울산역으로 갱신될 예정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3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31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