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5 07:10:47

옌스 스톨텐베르그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0%, #fff 20%, #fff 80%,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 #0f6aaf"
[[호콘 7세|
호콘 7세
]]
<row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크리스티안 미켈센 예르겐 뢰블란 군나르 크누센 벌러트 코노브
<rowcolor=#fff>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옌스 브래틀리 군나르 크누센 오토 바르 할보르센 오토 블레어
<rowcolor=#fff>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오토 바르 할보르센 아브라함 베르게 요한 루드비 모빙켈 이바르 리케
<rowcolor=#fff>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크리스토퍼 혼스루 요한 루드비 모빙켈 페데르 콜스타 옌스 훈드사이
<rowcolor=#fff>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요한 루드비 모빙켈 요한 뉘고르스볼 비드쿤 크비슬링 잉골프 엘스테르 크리스텐센
<rowcolor=#fff>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요제프 테르보펜 비드쿤 크비슬링 에이나르 게르하르센 오스카르 토르프
<rowcolor=#fff> 제25대
에이나르 게르하르센
[[올라프 5세|
올라프 5세
]]
<rowcolor=#fff>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에이나르 게르하르센 욘 룅 에이나르 게르하르센 페르 보르텐
<rowcolor=#fff>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트뤼그베 브라텔리 라르스 코르발 트뤼그베 브라텔리 오드바르 노를리
<rowcolor=#fff>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그로 할렘 브룬틀란 코레 빌로크 그로 할렘 브룬틀란 얀 P. 쉬세
<rowcolor=#fff> 제37대
그로 할렘 브룬틀란
[[하랄 5세|
하랄 5세
]]
<rowcolor=#fff>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그로 할렘 브룬틀란 토르비에른 야글란 셸 망네 본데비크 옌스 스톨텐베르그
<rowcolor=#fff>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셸 망네 본데비크 옌스 스톨텐베르그 에르나 솔베르그 요나스 가르 스퇴레 }}}}}}}}}}}}}}}

파일:NATO 로고.svg
북대서양 조약 기구 사무총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헤이스팅스 이스메이 남작
파일:영국 국기.svg
폴앙리 스파크
파일:벨기에 국기.svg
디르크 스티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만리오 브로시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조제프 륀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피터 캐링턴 남작
파일:영국 국기.svg
만프레트 뵈르너
파일:독일 국기.svg
빌리 클라에스
파일:벨기에 국기.svg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하비에르 솔라나
파일:스페인 국기.svg
조지 로버츠 남작
파일:영국 국기.svg
야프 더 호프 스헤퍼르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아네르스 포그 라스무센
파일:덴마크 국기.svg
제13대
옌스 스톨텐베르그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
<colbgcolor=#004489><colcolor=#FFFFFF>
북대서양 조약 기구 제13대 사무총장
옌스 스톨텐베르그
Jens Stoltenberg
파일:옌스 스톨텐베르그.jpg
출생 1959년 3월 16일 ([age(1959-03-16)]세)
노르웨이 오슬로
국적
[[노르웨이|]][[틀:국기|]][[틀:국기|]]
재임기간 제40대 총리
2000년 3월 17일 ~ 2001년 10월 19일
제42대 총리
2005년 10월 17일 ~ 2013년 10월 16일
제13대 북대서양 조약기구 사무총장
2014년 10월 1일 ~ 현직
서명
파일:옌스 스톨텐베르그 서명.svg
링크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4489><colcolor=#FFFFFF> 부모 아버지 토르발트 스톨텐베르그 어머니 카린 하이버그
배우자 잉그리드 슐러루드
자녀 2명
학력 오슬로 발도르프 학교 ( 졸업)
오슬로 대성당 학교 ( 졸업)
파일:오슬로 대학교 아이콘.png 오슬로 대학교 ( 경제학 / 학사[논문])
신체 187cm
직업 정치인
종교 무종교
의원선수 6
의원대수 58, 59, 60, 61, 62, 63
소속 정당 [[노동당(노르웨이)|
노동당
]]
경력 다그사비센 기자
노르웨이 통계청 집행관
노동자청년동맹 위원장
오슬로 대학교 경제학 시간강사
노동당 오슬로지구당 위원장
환경부 장관 (1990년 ~ 1991년)
제58-63대 스토르팅에트 의원
통상산업부 장관 (1993년 10월 7일 ~ 1996년 10월 25일)
재무부 장관 (1996년 10월 25일 ~1997년 10월 17일)
노동당 대표 (2002년 11월 10일 ~ 2014년 6월 14일)
야당 지도자 (2013년 10월 16일 ~ 2014년 6월 14일)
}}}}}}}}}

1. 개요2. 생애3. 기타

[clearfix]

1. 개요

옌스 스톨텐베르크는 노르웨이의 정치인이다. 제40대와 제42대 노르웨이 총리를 지냈으며 현직 북대서양 조약 기구 사무총장이다.

2. 생애

1959년 3월 16일 노르웨이의 수도 오슬로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토르발트(1931-2018)는 노르웨이 노동당 소속의 정치인이었고, 대사, 국방장관과 외무장관 등을 지냈다. 어머니 카린(1931-2012)은 유전학자였다. 아버지가 외교관으로 유고슬라비아 대사를 지내면서 옌스는 어릴 적에 유고에서 살기도 했다.

1987년 오슬로 대학을 졸업했다. 그 전에 기자 생활을 하기도 하고 노동당의 여러 정치 하부 조직에서 일했다. 이 시절에 소련 외교관과 접촉하였는데, 노르웨이 경찰에서 접촉한 외교관이 KGB 소속이라고 주의를 주기도 하였다.

이후 정치에 본격 입문하여 1993년부터 2017년까지 의원 생활을 하였다. 처음엔 산업에너지 장관을 지냈고, 이후 96년에 재무장관을 지내는 등 40세가 되기 전에 주요 직위를 지냈다. 2000년에 노르웨이 노동당 소속으로 첫 총리를 지냈으나 1년만에 물러났다. 야당 대표를 지내다가 2005년에 다시 정권을 되찾아 2013년까지 총리를 지냈다.

이후 2014년부터 북대서양 조약 기구 사무총장을 지내고 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맞서 우크라이나를 지원하고 있으며, 여러 국가에 우크라이나 지원을 적극 요청하고 있다. 또한 2023년 1월 30일 한국에 방문하여 한국 정부의 우크라이나 군사 지원을 촉구했다.[2] #

3. 기타

  • 2014년 부임 후 2018년 재선되었고,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연장되어 무려 9년간 재임중이다. 그럼에도 상당수의 회원국들에게 임기 연장이 제시되는 뜻밖의 상황이 나왔다. 현재 나온 후보군들이 문제가 있거나 다른 회원국들의 반대를 얻었기 때문. * 결국 임기를 1년 연장하여 2024년까지 10년 재임하게 되었다. *

[논문] Makroøkonomisk planlegging under usikkerhet였습니다. En empirisk analysis ("불확실한 거시 경제 계획. 경험적 분석") [2] 다만, 이 발언은 한국의 정치적, 지리적 상황을 이해하지 못한 상황에서 한 것이기에, 여론의 비판을 받고 있다. 우선 한국이 대러시아 제제에 참여는 하고 있지만 어디까지나 간접적인 형태의 참여인데다 이전에도 그렇지만 앞으로도 굳이 러시아와 척을 질 필요가 없다. 그리고 설령 러시아와 사이가 틀어질 각오를 하고 배로 군수물자 지원을 해준다고 한들, 배로 한국에서 우크라이나까지 운행을 하게 될 때, 최소 1달, 최대 3달 정도는 되어야 우크라이나에 도착을 하는데, 이는 당장 싸워야 하는 우크라이나군에 크게 도움이 되지도 않을 뿐더러, 전쟁터에서 어떻게 상황이 변해있을 지도 모른다. 전투기로 물자조달을 해준다고 한들, 또한 우크라이나의 영공 제공권은 러시아 공군에 완전히 지배를 당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지원을 하는 것은 위험하다. 또다른 이유로는 양안전쟁 발발 여부다. 중국은 항상 대만을 칠 준비를 하고 있고, '대만 문제를 건드리면 전쟁이다.'라는 경고메시지를 국제사회를 향해 항상 날리는데다 한국에 대한 예속화를 지속적으로 시도하고 있다. 그리고 70년 가까이 휴전이 이어지고 있는 한반도 정세상 북한도 언제 공격을 할지 모르며, 일본 역시 한국으로서는 온전히 믿을 수 있는 상대가 아니라 주변 상황들을 계속 살펴야하는 상황 속에서 군사적 공백이 생긴다면 적이 처들어올 수 있는 엄청난 리스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군사적 지원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일본도 이런 비슷한 이유 때문에 한국보다 지원 숫자가 많을 지 몰라도, 비슷한 양의 지원을 해주고 있다. 이 발언은 스톨텐베르그 나토 사무총장의 아시아 정세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해서 한 말이라고 볼 수 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