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약어를 쓰는 대학에 대한 내용은 영남대학교 문서 참고하십시오.
1. 개요
한자: 領帶라틴어: Stola
영어: Stole
에스페란토: Stolo
전례복의 한 종류로, 성직자가 성무를 집행할 때 착용하는 목에 걸치면 무릎 아래까지 내려오는 좁고 긴 띠. 유래는 고대 동방의 장식용 목도리나 유대인의 손수건으로 보인다.
2. 가톨릭
원래는 부제들이 명예를 표시하는 휘장으로 사용했으며, 공식적인 사용은 6세기부터 이루어졌다. 시간이 흘러 부제는 왼편 어깨에서 오른쪽 옆구리로 비스듬히 걸치는 식으로 바뀌었고, 목에 걸어 상체 부분에 위치한 띠로 고정시키는 방식은 주교나 사제용이 되었다. 그나마도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에는 나란히 늘어뜨리는 방식은 주교만 가능했고 일반 사제는 X자로 교차해 허리에 고정시키게 되어 있었다. 사제가 미사를 집전할 때는 이 위에 제의를 입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다.
전례력에 따라 바뀌는 영대의 색은 제의에 맞추며, 당연히 그 의미도 제의와 것과 같다. 항목 참고. 또한 언제 어디서나 고해성사나 병자성사를 할 수 있도록 하체로 넘어오지 않을 정도로 작게 만들어진 휴대용 영대도 있다. 고해성사나 구마예식을 집전할 때 착용하는 영대는 사제가 하느님의 대리인임을 나타내고자 통회와 보속을 뜻하는 보라색 영대를 걸친다. 세례성사나 축성, 성체 강복, 병자성사(종부성사) 시 착용하는 영대는 흰색이다.
3. 정교회
에피트라힐리온(ἐπιτραχήλιον, epitrachelion)이라고 불린다. 보제가 착용하는 영대와 사제나 주교가 착용하는 영대 모양이 다 다르고, 착용방법도 각 나라별 정교회마다 차이가 있다고 한다.4. 개신교
목사나 감독이 착용하며, 영대란 말보다는 영어인 '스톨'을 더 많이 쓴다. 교단마다 다르지만 목사 안수식때 가운을 입히는 대신 미리 가운을 입고 스톨만 입는 경우도 있다. 이쪽은 가톨릭의 복장을 단순화하기 위해 중세의 대학 교수나 법관의 복장에서 팔의 줄을 없앤 가운을 입는다.대체적으로 개신교에서도 교회력에 따라 4색상(적, 백, 녹, 보라색)을 달리하여 착용한다. 해외의 경우에는 파란색도 있으며, 명절에 사용하는 색동스톨도 있다. 간혹 장의예배의 흑색이나 특별예배(기도회, 한국교회 부활절 연합예배)에 따라 제작하는것도 있다. 모노그램은 십자가, 왕관 십자가, 크리스토그램, 비둘기, 삼위일체, 교단 로고 등 다양하다. 원단의 재질도 가장 보편적인 폴리에스테르부터 실크 인견 원단까지 다양하고 무늬도 다양하다.
예장통합, 한국기독교장로회, 감리회와 루터교회 등 에큐메니컬 교회에서 주로 착용하며, 반에큐메니컬이나 종교개혁적 전통을 강조하는 교파(예장합동이나 고신 등)에서는 성경에서 지시하지 않은 사항이라 하여 영대를 착용하지 않는 편이지만 목사 개인의 자유이다. 다만 목사 안수식이나 세례, 견신례, 성만찬, 임직식 등 예전(liturgy)이 필요한 예배 때는 보수교단에서도 착용하는 편이다.
4.1. 성공회
"주여,
첫 조상의 범죄로 잃었던 겉옷을 다시 나에게 입히사, 비록 주의 오묘한 성사에 나가기를 감당치 못하오나, 영원한 즐거움을 얻게 하소서."
성공회의 사제가 영대를 착용하는 기본 원리 역시
가톨릭과 크게 다르지 않다. 치미어를 입고 티펫을 걸친 서울교구장 이경호 베드로 주교.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