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1 18:52:56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IQ

에스컬레이드 IQ에서 넘어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
,
,
,
,

파일:캐딜락 로고 화이트.svg
파일:my25-esciq.jpg
ESCALADE IQ

1. 개요2. 상세 (BT1YL, 2024 예정)3. 제원4. 경쟁 차량5. 둘러보기


CADILLAC ESCALADE IQ

1. 개요

미국의 프리미엄 자동차 제조사인 캐딜락의 대형 전기 SUV이다.

2. 상세 (BT1YL, 2024 예정)

파일:BT1YL-DigitalRain.gif
디지털 레인(Digital Rain) 웰컴라이트 쇼케이스
파일:esciq(1).jpg
파일:esciq(2).jpg
파일:esciq(4).jpg
파일:esciq(3).jpg
외관
파일:에스컬레이드IQ(3).jpg
파일:에스컬레이드IQ(4).jpg
실내
<colbgcolor=#000><colcolor=#fff>
공식 홍보 영상

캐딜락 IQ 라인업의 3번째 모델이자 최상급 SUV로 2023년 8월 9일에 공식 발표되었다.

GM의 최신형 전기차 전용 플랫폼인 얼티엄 플랫폼( BT1)을 바탕으로 하며, LG와의 합작사인 얼티엄셀즈를 통해 공급받는 200kWh 대용량 NCM 배터리팩이 탑재된다.

외관 디자인은 캐딜락 브랜드 특유의 수직적인 요소를 적극 반영하는 동시에 기존 방패형 그릴을 대체하는 블랙 크리스탈 쉴드와 캐딜락 전기차만의 시그니처인 코레오그래피 라이팅(Choreography Lighting) 디테일을 적용했으며, 차체 전반에 공기역학적 설계를 채택해 내연기관 에스컬레이드 대비 한층 유려해진 모습이다.[1] 매끈한 차체 실루엣, 긴 프레스티지 디스턴스, 두 단으로 분리된 테일램프 등 60~70년대의 고전적인 캐딜락 차량들에서 엿볼 수 있던 디자인 요소도 이식되었는데, 이를 통해 캐딜락 브랜드가 지닌 헤리티지와 상징성을 드러낸다. 휠은 24인치 크기가 기본이다. 외관 디자인 테마는 트림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고급감을 내세우는 럭셔리(Luxury) 트림엔 직선 형태의 코레오그레피 라이팅과 크롬 장식, 크롬 휠이 적용되며, 역동성을 내세우는 스포츠(Sport) 트림엔 점선 형태의 코레오그레피 라이팅과 다크 크롬 장식, 블랙 하이그로시 트림이 적용되어 차별화가 이뤄진다.

실내 디자인은 수직보단 수평의 인상이 강하다. 운전석 끝부터 시작해 조수석 끝까지 이어지는 55인치 크기의 커브드 OLED 디스플레이[2]를 중심으로 하단에 에어밴트를 수평 배치하고 센터콘솔과 센터페시아가 맞닿는 경계엔 공조장치와 차량 설정을 조작할 수 있는 11인치 크기의 세로형 통합 디스플레이를 부착했다. 클래식한 디자인의 스티어링 휠은 셀레스틱과 공유하며, 실내 곳곳에 캐딜락 브랜드 내에서도 최고 수준에 해당하는 고급 합성 가죽과 실제 금속, 원목 소재 및 컷 앤 소우 방식으로 정교하게 작업한 스티칭 마감을 적용해 캐딜락의 플래그쉽 전기 SUV로서 차별화된 감성을 제공한다. 거대한 차체 크기에서 비롯된 광활한 실내 공간 역시 특징적인 부분이며, 126색을 지원하는 엠비언트 라이트는 레이저 가공 처리된 원목 트림 사이로 빛을 은은하게 내뿜어 정적인 실내 분위기를 조성한다. 시트 배열은 2+2+3의 7인승 구조를 채택하고 있으며[3], 기어 레버는 칼럼식이다.

편의장비로는 열선 및 통풍과 마사지 기능을 모두 지원하는 1, 2열 시트, HUD, 나이트 비전, AKG 스튜디오 레퍼런스 40 스피커 오디오 시스템, 5존 개별 공조 시스템, 12.6인치 후석 디스플레이, 전동 개폐 도어 등 1열 하이오너와 2열 VIP를 고려한 다양한 기능들이 마련되었으며, GM의 핸즈프리 드라이빙 시스템인 슈퍼크루즈와 각종 주행 보조 기능들은 트림마다 차등을 두지 않고 전 트림에 걸쳐 기본 사양으로 지원된다.

차량의 크기는 전장 5,697mm, 전폭 2,389mm[4], 전고 1,934mm, 축거 3,460mm 수준으로, 기존 내연기관 에스컬레이드보다도 300mm 이상 긴 길이를 지녀 사실상 풀사이즈 SUV보다도 한 단계 윗급인 익스텐디드-풀사이즈 SUV[5]에 해당한다. 트렁크 용량은 기본 상태에서 670L이며, 3열 폴딩 시 1,958L, 2열 폴딩 시 3,374L까지 확장된다. 차량의 보닛 아래 별도로 마련된 e트렁크는 345L 크기다.

구동방식은 680마력, 834Nm의 힘을 발휘하는 듀얼 모터 사륜구동 단일이며, 별도의 부스트 모드인 벨로시티 맥스(Velocity Max)[6] 활성화 시 750마력, 1,064Nm[7]까지 출력을 끌어올릴 수 있다. 회전 반경을 12m[8]까지 줄여주는 후륜 조향 기능과 4세대로 진화한 마그네틱 라이드 컨트롤(MRC) 기능, 어댑티브 에어 라이드 서스펜션도 기본 적용된다.

GM 추산 1회 충전 주행거리[9]는 450마일(약 724km) 이상으로 발표되었으며, 350kWh 충전이 가능한 800V 아키텍처를 채택해 공용 DC 급속 충전기 사용 시 10분만에 100마일(약 161km)을 달릴 정도의 충전이 가능하다. 양방향 충전 기술도 탑재되며, 외부 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V2L 기능은 물론 가정에 전력을 공급하는 V2H(Vehicle-to-Home)까지 지원한다. 브레이크는 전후륜 모두 디스크 방식을 사용한다.
파일:esciq-spt.jpg
파일:esciq-lx.jpg
SPORT LUXURY

트림 구성은 캐딜락의 트림 레벨 전략인 글로벌 'Y' 트림 전략(global 'Y' trim strategy)에 따라 고급감을 강조한 럭셔리(Luxury), 역동성을 강조한 스포츠(Sport) 두 단계로 나뉘며, 이 중 럭셔리와 스포츠 트림의 경우 다시 럭셔리 1, 2, 스포츠 1, 2로 나뉜다. 상단에 언급되었듯 외관 및 편의사양 부분에서 각 트림별 차별화가 이뤄진다. 차량 가격은 GM 발표 기준 $130,000부터 시작한다.[10]

2024년 중순, 미국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에 위치한 GM 햄트리믹 공장(팩토리 제로)에서 생산을 개시할 예정이며, 동년 말까지 현지 고객들에게 순차적으로 인도될 예정이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3. 제원

ESCALADE IQ (북미 사양 기준)
코드네임 BT1YL
차량 형식 5도어 풀사이즈 SUV
승차 인원 7명
구동방식 듀얼 모터 AWD
플랫폼 GM 얼티엄 플랫폼
배터리 종류 얼티엄 배터리 팩(NCMA)
배터리 용량 200kWh
타이어 크기 275/50R24
최고출력 505kW(680hp) (기본 상태)
560kW(750hp) (Velocity Max 모드)
최고토크 834Nm (기본 상태)
1,064Nm (Velocity Max 모드)
전장 5,697mm
전폭 2,389mm
전고 1,934mm
축거 3,460mm
견인능력 3,628kg
트렁크 용량 기본 670ℓ, 최대 3,374ℓ

4. 경쟁 차량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0000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0000>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차급 <colcolor=#000> 생산 차량
<colcolor=#000000><colbgcolor=#FFFFFF> 중형 SUV OPTIQ
준대형 SUV LYRIQ · VISTIQ
대형 SUV ESCALADE IQ
대형차 CELESTIQ
파일:캐딜락 로고.svg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0000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0000>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black,#191919> 차급 생산 차량 단종 차량
준중형차 - 시마론 · ELR
중형차 CT4 BLS · ATS/ ATS-V
준대형차 CT5 스빌 · SLS · STS(구) · STS · SLS(중국형) · 카테라 · CTS/ CTS-V
대형차 CT6 · 셀레스틱(출시예정) 모델 D · 모델 S · 모델 30 · 타입 51 · 타입 V-63 ·
시리즈 314 · 시리즈 341 · 시리즈 353 · 시리즈 355 ·
시리즈 10 · 시리즈 60 · 시리즈 61 · 시리즈 62 · 시리즈 65 ·
식스티 스페셜 · 엘도라도 · 브로엄 · 플리트우드 브로엄 ·
플리트우드 · 칼레 · 드 빌 · DTS · XTS · CT6-V
로드스터 - 알랑테 · XLR
준중형 SUV XT4 · GT4 -
중형 SUV XT5 · 옵틱 SRX
준대형 SUV XT6 · 리릭 · 비스틱(출시예정) -
대형 SUV 에스컬레이드 · 에스컬레이드 IQ(출시예정) -
의전차량 프레지덴셜 스테이트 카 -
레이스카 V-시리즈.R DPi-V.R · 노스스타 LMP
경전차 - M5 스튜어트 · M24 채피 · M41 워커 불독
공수전차 - M551 셰리든
자주곡사포 - M8 스콧 · M37 자주곡사포 · M41 고릴라
자주대공포 - M19 더스터
}}}}}}}}} ||


[1] 이를 통해 실제 항력계수도 적잖이 개선되었다고 한다. 정확한 수치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기존 내연기관 에스컬레이드 대비 15% 가량 낮은 수치라고. [2] LG에게 공급받는다. [3] 2열 시트는 사양에 따라 별도 센터콘솔이 중앙을 가로지르는 좌우 완전 독립식 구성도 가능하다. [4] 사이드미러 포함 수치이다. [5] 쉐보레 서버번, GMC 유콘 XL,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ESV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6] 타브랜드의 전기차와 달리 독특한 지점이 하나 있는데, GM이 의도한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별도의 타임 리밋 설정 없이 부스트 모드를 계속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같은 플랫폼을 공유하는 GMC 허머 EV에 적용된 WATTS TO FREEDOM 기능과 유사한데, 둘 다 덩치가 워낙 거대한 차량들인지라 전기차 특유의 빠른 가속을 잘못 다뤘다간... 대형 사고가 날 수 있기에 일단 GM에선 가속이 끝나는 즉시 해당 모드를 비활성화하라고 권고하고 있긴 하다. [7] 682마력, 885Nm을 발휘하는 V8 엔진이 장착된 내연기관 에스컬레이드의 고성능 사양, 에스컬레이드-V보다도 훨씬 강력한 출력이다. [8] 테슬라 모델 Y의 회전반경이 딱 이 정도다. [9] EPA 기준 [10] 캐딜락의 기함을 맡고 있는 수제 대형 전기차인 셀레스틱의 시작가인 $340,000보단 가격대가 많이 낮은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