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중의원 ( 아이치 7구) | ||||
제44대 스즈키 준지 |
→ |
제45대 야마오 시오리 |
→ |
제46대 스즈키 준지 |
제46대 스즈키 준지 |
→ |
제47~48대 야마오 시오리 |
→ |
제49대 스즈키 준지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c50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6px;"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6px;" |
독립기구 (선거대책위원회) | ||||
선거대책위원장 | <colbgcolor=#ffffff,#1F2023> 겐바 고이치로 | 선거대책위원장 대리 |
<colbgcolor=#ffffff,#1F2023> 오가와 카츠야 다마키 유이치로 |
||
선거대책부위원장 | 야마오 시오리 | ||||
상임의결기관 (양원의원총회) | |||||
양원의원 총회장 | 나오시마 마사유키 | 대의사회 회장 | 나카가와 마사하루 | ||
중앙당 지도부 | |||||
대표 | 오카다 가쓰야 | 대표대행 |
나가츠마 아키라 무라타 렌호 |
||
부대표 (참) |
기타자와 도시미 카미모토 미에코 |
부대표 (중) |
오하타 아키히로 하라구치 가즈히로 |
||
당무집행기구 | |||||
간사장 | 에다노 유키오 | 간사장 대리 |
곤도 쇼이치 후쿠야마 데쓰로 |
||
부간사장 | 마부치 스미오 | 히로타 하지메 | 스즈키 카츠마사 | 오가와 준야 | 니시무라 지나미 | 테라다 마나부 | 야나기사와 미츠요시 | 시바 히로카즈 | 이시바시 미치히로 | 야스이 미사코 | ||||
정책조사회 | |||||
정책조사회장 | 호소노 고시 | 정책조사회장 대리 |
쓰지모토 기요미 오시마 아쓰시 오쓰카 고헤이 |
||
정책조사부회장 | 곤도 요스케 | 반노 유타카 | 고미야마 야스코 | 오카모토 미쓰노리 | 다지마 잇세이 | 나카네 야스히로 | 와시오 에이이치로 | 오니시 겐스케 | 고토 유이치 | 사사키 다카히로 | 오가타 린타로 | 카미야마 요스케 | 고야마 노부히로 | 나카지마 카츠히토 | 후쿠시마 노부유키 | 가네코 에미 | 카자마 나오키 | 고니시 히로유키 | 사이토 요시타카 | 니시무라 마사미 | 이시가미 도시오 | 이소자키 데쓰지 | 모리모토 신지 | ||||
국회조직 | |||||
국회대책위원장 | 다카키 요시아키 | 국회대책위원장 대리 | 아즈미 준 | ||
국회대책부위원장 | 류 히로후미 | 야마노이 가즈노리 | 이즈미 겐타 | 오구시 히로시 | 유노키 미치요시 | 니시무라 지나미 | 오쿠노 소이치로 | 미야자키 다케시 | 다마키 유이치로 | 모토무라 켄타로 | 후쿠시마 노부유키 | 오가타 린타로 | 야마오 시오리 | 고야마 노부히로 | ||||
참의원 의원회장 | 군지 아키라 | 참의원 간사장 | 하타 유이치로 | ||
참의원 의원 부회장 |
오가와 카츠야 아이하라 쿠미코 야나기사와 미츠요시 |
참의원 간사장 대리 |
후쿠야마 데쓰로 히로타 하지메 |
||
참의원 국회대책위원장 | 신바 가즈야 | 참의원 국회대책부위원장 |
노다 쿠니요시 하마노 요시후미 |
||
고문단 | |||||
최고고문 |
노다 요시히코 요코미치 다카히로 에다 사쓰키 아카마츠 히로타카 |
상임고문 |
하타 쓰토무 와타나베 고조 나카이 히로시 나카노 칸세이 카노 미치히코 후지이 히로히사 히라타 켄지 가이에다 반리 |
||
◀ 역대 당대표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
초대 야마오 시오리 |
2대 오구시 히로시 |
3대 시나 다케시 |
4대 아다치 신야 |
[ruby(山尾志桜里, ruby=やまおしおり)] 야마오 시오리 |
|
|
|
본명 | 간노 시오리((菅野志桜里)[1] |
출생 | 1974년 7월 24일 ([age(1974-07-24)]세) |
미야기현 센다이시 | |
국적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세이토쿠가쿠인 소학교 (졸업) 도쿄학예대학 부속 오이즈미 중학교 (졸업) 도쿄학예대학 부속고등학교 (졸업) 도쿄대학 법학부 (법학 / 학사) |
정당 |
|
계파 | 료운카이 |
의원 선수 | 3 (중) |
의원 대수 | 45, 47, 48 |
지역구 | 아이치 7구 |
현직 | 무직 |
약력 |
2002년 사법시험 합격 제57기 사법수습 수료 도쿄지방검찰청 검사 치바지방검찰청 검사 나고야지방검찰청 검사 민진당 정무조사회장 아이치현 제7구 중의원 |
[clearfix]
1. 개요
일본의 법조계 출신 전직 정치인. 야마시타 다카시와 함께 흔치 않은 검사 출신 중의원으로, 당적은 입헌민주당이었으나 2020년 3월에 탈당했고 6월 16일 국민민주당 입당을 신청했고 7월 8일 입당을 승인했다. 현재는 국민민주당 소속이다. 지역구는 아이치현 제7구. 결혼 전 성씨는 ‘칸노(菅野, かんの)’였다.2. 생애 및 정치 활동
미야기현 센다이시에서 태어났다. 쇼토쿠학원 소학교, 도쿄학예대학 부속 오오이즈미 중학교, 도쿄학예대학 부속 고등학교, 도쿄대학 법학부를 졸업한다. 2002년 사법시험에 합격한 이후 도쿄지방검찰청, 치바지방검찰청, 나고야지방검찰청 오카자키지부에서 검사로 근무했다. 검사 재직 중이던 2006년에 라이브도어의 임원이었던 야마오 쿄세이와 결혼한다.이후 2007년 경에 오자와 이치로의 스카우트로 민주당에 영입되어 아이치현 제7구의 차기 중의원 출마자로 내정되었으며, 야마오는 검사 퇴임 후 아이치현 제7구에 속한 세토시로 이주한다. 그 후 2009년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민주당 소속으로 아이치현 제7구 중의원으로 예정대로 출마해 당선되었다.
그러나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같은 지역구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특히 일본 미래당 후보와 표가 갈리는 바람에 석패율 구제를 받을만한 득표도 못하고 아예 낙선했다.
불륜 논란으로 인해 야마오는 탈당하고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 무소속으로 지역구인 아이치현 제7구에 출마하는데, 원래 소속 정당인 민진당과 일본공산당에서 후보를 내지 않는 등 사실상 야권 단일 후보가 되었고, 자민당 후보를 834표차로 누르고 당선되었다. 불륜 논란은 현재도 계속 이어지고 있는 문제로, 일단 야마오 시오리와 쿠라모치 린타로 양자는 각각의 배우자와 이혼한 상태이다. 주간문춘 2021년 5월 보도에 의하면 아이의 양육권도 빼앗긴 쿠라모치 린타로의 전처는 2020년 10월 자택에서 자살했다. 주간문춘
당선 이후 계속 무소속으로 남아있다가 2017년 12월 26일 입헌민주당에 입당했으나, 2020년 3월 경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책 특별법안에 대해 법안에 찬성하는 당론과 달리 반대표를 던지고 다시 탈당했다.
6월 16일 국민민주당에 입당 신청서를 내고, 7월 8일 승인되었다. 야마오가 차기 중의원 의원 총선거로 입후보하는 선거구에 대해서, 히라노 히로후미 간사장은 기자회견에서 "백지이다" 라고 설명했다. 총무회에서는, 아이치현련 간부로부터 아이치현 외 출마를 요구하는 의견이 나왔다. 당내에서는 야마오 씨의 수락에 신중한 대응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국민민주당과 공동회파를 구성하는 입헌민주당의 에다노 유키오 대표가 "입당을 인정하면 회파 해소이다" 라고 주위에 말하는 등 반발하고 있었던 상황이어서, 공동회파 내에서 알력이 발생될 가능성도 있었다.
일각에서는 야마오 의원이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기존의 지역구인 아이치현이 아닌 도쿄 지역구로 자리를 옮길 수 있다는 이야기가 있다. # 입헌민주당은 야마오 의원이 도쿄도 제1구에 출마할 것으로 보고 이를 경계하고 있다고 한다. 도쿄도 제1구는 입헌민주당 가이에다 반리의 지역구로, 만약 야마오 의원이 도쿄도 제1구로 출마하게 되면 안 그래도 선거 때마다 자민당과 초접전을 벌이는 선거구 특성상 야권 분열로 자민당이 유리해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국민민주당 분당 후 잔류파와 입헌민주당 합류파로 나누어 지게 되면서 야마오 의원은 다마키 유이치로 대표를 따라 잔류파에 합류하기로 했다.
국민민주당 관계자에 의하면, 야마오 의원이 레이와 신센구미의 야마모토 타로, 다카이 다카시 의원[2], 입헌민주당의 스도 겐키 의원과 회담을 열었다. 다마키 대표도 참가할 예정이었으나 참석하지 않았다. 회담에서 소비세 감세 등이 주제였고, 앞으로도 정보교환을 할 예정이라고 한다. 이번 회담은 국민민주당의 신당 세력이 야마모토 등의 참가를 호소하는 목적으로 보여진다고 한다.
국민민주당의 분당 이후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자신의 지역구인 아이치현 제7구에 불출마하고 도쿄 권역 비례대표로 자리를 옮겨 출마하기로 결정했다. 야마오는 결정 이후 지역구에서 감사 인사를 전했다.
그러나 돌연 정계은퇴를 선언하였다. 영문 기사[3]
3. 선거 이력
연도 | 선거 종류 | 지역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2009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아이치 7구 |
|
182,028 (61.11%) | 당선(1위) | 초선 |
2012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92,398 (35.86%) | 낙선(2위) | |||
2014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13,474 (46.60%) | 당선(1위) | 재선 | ||
2017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28,163 (50.16%) | 3선 |
4. 소속 정당
소속 | 기간 | 비고 |
|
2007 - 2016 | 정계 입문 |
|
2016 - 2017 | 당명 변경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017 | 불륜으로 탈당 |
|
2017 - 2020 | 입당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020 | 당내 노선 차이로 탈당 |
|
2020 | 입당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020 | 정당 해산 |
|
2020 - |
창당 정계 은퇴 |
5. 기타
- 정치적으로는 나카타니 겐, 아리무라 하루코, 야마다 히로시, 이노우에 가즈노리 의원과 함께 '대(對)중국 의회간 연합체'(Inter-Parliamentary Alliance on China·Ipac)에 참여했다.
- 블로그 게시글 중에 "보육원 떨어진 일본 죽어라"라고 보육원에 떨어졌다고 불평했던 사건이 있었는데 #, 2월 29일의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야마오가 이 블로그를 다룬 질의를 했을 때 에토 세이시로, 히라사와 가쓰에이, 이시다 마사토시, 스가와라 잇슈, 이시하라 히로타카, 시라스카 다카키, 세키 요시히로 7명의 자민당 의원이 "누가 쓴 거야" "익명이야 익명" "제대로 본인을 보여줘" "짜증나네" "그만둬, 그만둬"라고 야유한 적 있다.[4]
- 의정 활동 때는 주로 파란색 수트를 트레이드 마크처럼 입는다.
- 다마키 유이치로 대표 유튜브에 출연했다. #
- 주간문춘에 따르면 의정 활동을 위해 지급되는 JR패스를 마사지 업소에 가거나 쇼핑을 할 때 사적으로 이용하고 했다는 것이 드러나 논란되었고, 다마키 대표가 사과하였다. NHK 기사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3F88><tablebgcolor=#003F88>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3F88><tablebgcolor=#003F88>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 소속 정당과 국회 내 소속 회파(会派)는 다를 수 있음 | ||||
기시모토 슈헤이 | 니시오카 히데코 | 다마키 유이치로 | 마에하라 세이지 | 아사노 사토시 | |
야마오 시오리 | 후루카와 모토히사 |
}}} }}}}}} |
국민민주당(2018년)의 계파 분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호헌파 | 개헌파 | |||
민사협회 고바야시 마사오 신바 가즈야 야타 와카코 야나기다 미노루 후루모토 신이치로 가와이 다카노리 다카키 요시아키 가와바타 다쓰오 |
료운카이 마에하라 세이지 이즈미 겐타 와타나베 슈 야마노이 가즈노리 카미야마 요스케 기이 다카시 야마오 시오리 후루카와 모토히사 오쓰카 고헤이 다마키 유이치로 |
||||
일신회 오자와 이치로 고미야마 야스코 모리 유코 아오키 아이 사토 고지 |
지세이카이 시나 다케시 쓰무라 게이스케 고미야마 야스코 반노 유카타 기카와다 토오루 다나부 마사요 |
||||
신정신슈 기타자와 도시미 하타 유이치로 스기오 히데야 시노하라 다카시 시모조 미쓰 |
무파벌 히라노 히로후미 기라 슈지 기시모토 슈헤이 이토 다카에 마부치 스미오 하라구치 가즈히로 오노 모토히로 아다치 신야 |
[1]
야마오라는 성은 전 남편의 성으로 2018년 이혼 후 2021년부터 간노 시오리라는 본명으로 돌아간다고 밝혔다.
[2]
코로나19 기간에 풍속점에 가서 성희롱을 해
입헌민주당에서 탈당했다.
[3]
일본이 유독 정치적 무관심이 강하고 어지간하면 자민당을 계속 뽑아주기에 민주당 의원으로서 계속해서 당선을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이라 박수칠 때 은퇴한 것으로 보인다. 일본 정치권의 전형적인 사례.
[4]
아이러니하게도 정작 이 문제를 거론한 야마오 시오리 의원이 불륜을 저지르고 상간남의 전처가 이혼 과정에서 양육권을 빼앗기자 자살하는 사건이 일어나 상황이 묘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