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5 22:02:05

AFC 챔피언스 리그 2

아챔 2에서 넘어옴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2024-25 시즌 AFC 챔피언스 리그 2의 진행 상황에 대한 내용은 2024-25 AFC 챔피언스 리그 2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륙별 하위 축구 클럽 대항전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10A04,#f5e4d5
파일:UEFA 유로파 리그 로고.svg 파일: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로고.svg 파일:AFC_Champions_League_Two_logo.png 파일:AFC_Challenge_League_logo.png 파일:리그스 컵 로고 블랙 2.png
유럽 축구 연맹
UEFA 유로파 리그
유럽 축구 연맹
UEFA 컨퍼런스 리그
아시아 축구 연맹
AFC 챔피언스 리그 2
아시아 축구 연맹
AFC 챌린지 리그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리그스 컵
파일:CONCACAF 센트럴 아메리칸 컵 로고.png 파일:CONCACAF 캐리비언 컵 로고.png 파일:CONCACAF 캐리비언 클럽 실드 로고.png 파일:CAF 컨페더레이션컵 로고.png 파일:코파 수다메리카나.png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CONCACAF 센트럴 아메리칸 컵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CONCACAF 캐리비언 컵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CONCACAF 캐리비언 클럽 실드
아프리카 축구 연맹
CAF 컨페더레이션컵
남미 축구 연맹
코파 수다메리카나
}}}}}}}}}}}}}}} ||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 화이트.svg
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 대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남성 대회
{{{#!wiki style="margin:0 -10px -5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10A04,#f5e4d5
파일:AFC_Asian_Qualifiers.png 파일:AFC 아시안컵 로고.png 파일: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 로고.jpg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예선 AFC 아시안컵 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
파일:AFC_Champions_League_Two_logo.png 파일:AFC_Challenge_League_logo.png 파일:AFC_Futsal_Club_Championship.png
AFC 챔피언스 리그 2 AFC 챌린지 리그 AFC 풋살 클럽 챔피언십
파일:AFC_U-23_아시안컵_로고.png 파일:AFC_U-20_Asian_Cup.png 파일:AFC_U17_아시안컵_로고_세로.png
AFC U-23 아시안컵 AFC U-20 아시안컵 AFC U-17 아시안컵
파일:AFC_Futsal_Asian_Cup_logo.png 파일:afc-u20-futsal.png 파일:AFCBeachSoccerAsianCupLogo.png
AFC 풋살 아시안컵 AFC U-20 풋살 아시안컵 AFC 비치 사커 아시안컵
}}}}}}}}}}}}}}} ||
여성 대회
{{{#!wiki style="margin:0 -10px -5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10A04,#f5e4d5
파일:AFC_Women's_Asian_Cup.png 파일:AFC_Women's_Champions_League_logo.png 파일:AFC_U20_Women's_Asian_Cup.png
AFC 여자 아시안컵 AFC 여자 챔피언스리그 AFC U-20 여자 아시안컵
파일:AFC_U17_Women's_Asian_Cup.png 파일:AFC_Women's_Futsal_Championship_old.png
AFC U-17 여자 아시안컵 AFC 여자 풋살 아시안컵
}}}}}}}}}}}}}}} ||
폐지 대회
{{{#!wiki style="margin:0 -10px -5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10A04,#f5e4d5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95px-AFC_Challenge_Cup.svg.png 파일:AFC_Solidarity_Cup.png 파일:아시안컵위너스컵.png
AFC 챌린지컵 AFC 솔리다리티컵 아시안 컵위너스컵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FCPresCupLogo.png 파일:AFC_U14_Championship.png 파일:AFC_U14_Girls__Regional_Championship.png
AFC 프레지던트컵 AFC U-14 챔피언십 AFC U-14 여자 지역 챔피언십
}}}}}}}}}}}}}}} ||}}} ||

<colbgcolor=#00033c> AFC 챔피언스 리그 2
<nopad> 파일:AFC 챔피언스 리그 2 로고.jpg
정식 명칭 AFC 챔피언스 리그 2
AFC Champions League Two
창설 2004년 - AFC 컵
2024년 - AFC 챔피언스 리그 2
진출 자격 소속 리그에서 출전권을 부여받은
AFC 라이선스 클럽
상위 대회 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
하위 대회 AFC 챌린지 리그
최근 우승 팀
[[호주|]][[틀:국기|]][[틀:국기|]]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FC (2023-24)
최다 우승 팀
[[쿠웨이트|]][[틀:국기|]][[틀:국기|]] 쿠웨이트 SC

[[이라크|]][[틀:국기|]][[틀:국기|]] 알 쿠와 알 자위야 (3회)
최다 우승 국가
[[쿠웨이트|]][[틀:국기|]][[틀:국기|]] 쿠웨이트 (4회)
최다 출장자
[[쿠웨이트|]][[틀:국기|]][[틀:국기|]] 후세인 하킴

[[쿠웨이트|]][[틀:국기|]][[틀:국기|]] 압둘라 알 부라이키 (47경기)
최다 득점자
[[필리핀|]][[틀:국기|]][[틀:국기|]] 비엔베니도 마라뇬 모레존 (35득점)
웹 사이트 파일:AFC 챔피언스 리그 심볼.svg

1. 개요2. 역사
2.1. AFC 컵 (2004~2024)2.2. AFC 챔피언스 리그 2 (2024~)
3. 로고4. 시즌별 일람
4.1. 2021 시즌4.2. 2022 시즌4.3. 2023-24 시즌4.4. 2024-25 시즌
5. 역대 우승 구단6. 우승 횟수

[clearfix]

1. 개요

아시아 축구 연맹(AFC)에서 주관하는 아시아 차상위 클럽 축구 대항전으로 기존의 AFC 챔피언스 리그가 개편되면서 2024-25 시즌부터 명칭이 AFC 컵에서 AFC 챔피언스 리그 2로 바뀌었다.

2. 역사

2.1. AFC 컵 (2004~2024)

AFC 챔피언스 리그 하위 대회라 UEFA 유로파 리그와 유사한 성격의 대회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사실 그와는 전혀 다른 유형의 컵 대회다. 서아시아 동아시아로 나눌 때 각 지역 최상위 5개국은 참여가 일체 불가하며, 그 후순위의 상위 6개국도 1팀만 참여 가능하다. 이는 아직 아시아의 지역별 축구 격차가 국가별로 너무 심할 정도로 크기 때문이다.

2023-24 시즌에는 클럽 랭킹이 하락해서 호주 A리그 멘 팀이 2팀이 나오게 되는데 그 팀은 2022‐23시즌 A리그 그랜드 파이널 우승팀인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FC와 2022년 호주컵 우승팀인 맥아서 FC. 물론 호주는 AFC 챔피언스 리그에 1팀이 나가기는 한다.

2.2. AFC 챔피언스 리그 2 (2024~)

2022년 12월 23일, AFC 클럽 대회 구조가 기존 형식에서 변경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 새로운 계획에 따르면 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는 동부와 서부 지역으로 나누어 24개 팀으로만 구성되고, 2부 리그 격인 AFC 챔피언스 리그 2는 상위권과 같은 라인으로 나누어 32개 팀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위 2개 클럽 대회에 진출하지 못한 클럽을 위해 3차 대회도 시작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 2023년 8월 14일, 2024-25 시즌부터 AFC 챔피언스 리그 2라는 이름으로 새로운 2단계 대회가 시작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K리그 구단 중에서는 전북 현대 모터스가 이 대회에 최초로 참가한다.

3. 로고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51D4, #ffffff 20%, #ffffff 80%, #FF6F00)" <tablewidth=300><tablebordercolor=#ffffff> 파일:AFC 챔피언스 리그 2 로고.jpg AFC 챔피언스 리그 2
역대 로고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2px"
파일:AFC컵 로고.svg 파일:AFC 챔피언스 리그 2 로고.jpg
<rowcolor=#ffffff> 2004~2024 2024~
}}}}}}}}} ||

4. 시즌별 일람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AFC컵 시절
2024-25 2025-26 2026-27 2027-28 2028-29
}}}}}}}}} ||

4.1. 2021 시즌

2021시즌 위키문서

2020 시즌은 코로나 여파로 중도에 취소됐으므로 2019 시즌의 시드가 유지된다.

동남아시아 지역은 대회를 진행할 장소를 구하지 못해 취소되었다.

2021시즌 불참 국가는 다음과 같다. (AFC 챔피언스 리그에만 참가하는 서아시아 상위 5개국 및 동아시아 상위 5개국은 제외)
구역 불참 국가와 불참 구단, 사유
서아시아 오만(알시브와 알나스르, 기권)
예멘(클럽 라이선스 팀 없음)
아세안 미얀마(샨 유나이티드와 한타와디 유나이티드, 쿠데타 이슈로 기권)
필리핀(카야 FC, ACL 조별 라운드 진출, 승계팀 없음)[1][2]
남아시아 파키스탄(클럽 라이선스 팀 없음)
동아시아 북한(클럽 라이선스 팀 없음)
마카오(벤피카 드 마카오와 차오 팍 케이. 추첨 전 기권)
괌(클럽 라이선스 팀 없음)
중앙아시아 아프가니스탄(클럽 라이선스 팀 없음)

이후 인근지역(아세안 포함)의 과도한 결원 발생 우려 등으로 인해 7월 7일 그룹 G조[3], H조[4]와 I조[5] 경기를 취소시키면서, 서부권(중동, 서아시아)을 빼면 동아시아와 남아시아 팀들만[6] 넉아웃 스테이지에 올라서게 되고 말았다.

4.2. 2022 시즌

2022시즌 위키문서

지난 시즌 우승팀인 바레인의 알 무하라크는 AFC 라이선스를 얻지 못해 타이틀 방어에 자동으로 실패했다.

2022 시즌 불참 국가는 다음과 같다.
구역 불참국가와 불참 팀&사유
서아시아 요르단(우승팀은 라이선스가 없고 차상위 팀은 챔피언스리그 참가팀임)
예멘(라이선스 시스템 미구축)[7]
중앙아시아 아프가니스탄(라이선스 시스템 미구축)
남아시아 파키스탄(라이선스 시스템 미구축)[8]
아세안 미얀마( 한타와디는 조별리그 추첨 이후[9] 기권)[10]
브루나이, 동티모르(각각 클럽 라이선스 팀 없음)
동아시아 북한, 괌, 북마리아나제도(각각 라이선스 시스템 미구축)
마카오(벤피카 드 마카오는 참가 거부, 차오 팍 케이는 조별리그 추첨 이후 기권.)

4.3. 2023-24 시즌

2023-24시즌 위키문서

AFC 컵이라는 명칭으로 열리는 마지막 대회다.

호주 A리그의 순위가 폭락해 결국 AFC컵에 발을 들이고 말았다.

2023-24 시즌 불참 국가는 다음과 같다.
구역 불참 국가와 불참 구단, 사유
서아시아 요르단(차상위 팀은 챔피언스리그 참가팀임)
예멘(라이선스 시스템 미구축)
중앙아시아 아프가니스탄(라이선스 시스템 미구축)
남아시아 스리랑카, 파키스탄(각각 라이선스 시스템 미구축)
아세안 베트남(차상위 팀은 챔피언스리그 참가팀임)
동티모르(라이선스 시스템 미구축)
동아시아 북한, 괌, 북마리아나제도(각각 라이선스 시스템 미구축)

이후 조별리그(A조)에서 팔레스타인의 국가적 사유로 인해 "자발 알 무카베르(Jabal Al-Mukaber Club)"라는 팀이 기권했다.

토너먼트

웨스트 존 준결승
알 리파 SC(바레인) 2 - 4 알 나흐다 클럽(오만) 1차전 1-1 2차전 1-3
알 아헤드 FC(레바논) 1 - 1(PSO 4 - 2) 알 카흐라바 SC(이라크) 1차전 0-1 2차전 1-0

웨스트 존 결승
알 아헤드 FC(레바논) 3 - 2 알 나흐다 SC(오만) 1차전 1 - 0 2차전 2 - 2

레바논의 강호 알 아헤드 FC가 오만의 알 나흐다 SC를 꺾고 5년 만에 AFC컵 결승에 진출하였다.

아세안 존 준결승
맥아서 FC(호주) 3 - 0 사바 FC(말레이시아)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FC(호주) 4 - 0 프놈펜 크라운 FC(캄보디아)

아세안 존 결승
맥아서 FC(호주) 2 - 3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FC(호주)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인터 조널 준결승 진출

인터 조널 플레이오프 준결승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FC(호주) 4 - 0 오디샤 FC(인도) 1차전 4 - 0 2차전 0 - 0
FC 압디시 아타 칸트(키르기스스탄) 8 - 1 타이중 후투로 FC(대만) 1차전 5 - 0 2차전 3 - 1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FC, FC 압디시 아타 칸트 인터 조널 플레이오프 결승전 진출

인터 조널 플레이오프 결승
FC 압디시 아타 칸트 1 - 4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FC 1차전 1 - 1 2차전 0 - 3

호주의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FC가 키르기스스탄의 신흥 강호인 FC 압디시 아타 칸트를 꺾고 호주 축구팀의 처음이자 마지막인 AFC컵 결승에 진출하였다.

2023-24 시즌 AFC컵 결승전
알 아헤드 FC(레바논) 0 - 1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FC(호주)
2024년 5월 5일 20:00(UTC+4) 술탄 카부스 스포츠 컴플렉스, 오만, 무스카트

결승전에서는 호주의 센트럴 코스트 매리너스 FC가 레바논의 알 아헤드 FC를 꺾고 우승을 차지하였다.

AFC CUP 2023-24 CHAMPIONS CENTRAL COAST MARINERS FC

4.4. 2024-25 시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4-25 AFC 챔피언스 리그 2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역대 우승 구단

연도 우승 결과 준우승 경기장
2004 파일:시리아 국기.svg 알 자이시 SC 3-2
0-1[A]
파일:시리아 국기.svg 알 와흐다 SC 파일:시리아 국기.svg 다마스쿠스, 압바시인 스타디움
2005 파일:요르단 국기.svg 알 파이살리 SC 1-0
3-2
파일:레바논 국기.svg 네즈메 SC 파일:요르단 국기.svg 암만, 암만 국제경기장
파일:레바논 국기.svg 베이루트, 알 마나라 스타디움
2006 파일:요르단 국기.svg 알 파이살리 SC 3-0
2-4
파일:바레인 국기.svg 알 무하라크 SC 파일:요르단 국기.svg 암만, 암만 국제경기장
파일:바레인 국기.svg 리파, 바레인 국립 경기장
2007 파일:요르단 국기.svg 샤밥 알 오돈 1-0
1-1
파일:요르단 국기.svg 알 파이살리 SC 파일:요르단 국기.svg 암만, 암만 국제경기장
2008 파일:바레인 국기.svg 알 무하라크 SC 5-1
5-4
파일:레바논 국기.svg 사파 SC 파일:바레인 국기.svg 리파, 바레인 국립 경기장
파일:레바논 국기.svg 베이루트, 카밀 샤문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2009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SC 2-1 파일:시리아 국기.svg 알 카라마 SC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시티, 알쿠웨이트 SC 경기장
2010 파일:시리아 국기.svg 알 이티하드 SC 알레포 1-1[ET]
(PSO 4-3)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카디시야 SC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시티, 자베르 알 아흐마드 국제 경기장
2011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나사프 카르시 2-1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SC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카르시, 마르카지 스타디움
2012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SC 4-0 파일:이라크 국기.svg 아르빌 SC 파일:이라크 국기.svg 아르빌, 프란소 하리리 스타디움
2013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SC 2-0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카디시야 SC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시티, 알 사다카 왈살람 스타디움
2014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카디시야 SC 0-0[ET]
(PSO 4-2)
파일:이라크 국기.svg 아르빌 SC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두바이, 막툼 빈 라시드 알막툼 경기장
2015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조호르 다룰 탁짐 1-0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FC 이스티클롤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두샨베, 파미르 스타디움
2016 파일:이라크 국기.svg 알 쿠와 알 자위야 1-0 파일:인도 국기.svg 벵갈루루 FC 파일:카타르 국기.svg 도하, 수하임 빈 하마드 스타디움
2017 파일:이라크 국기.svg 알 쿠와 알 자위야 1-0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FC 이스티클롤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히소르, 히소르 중앙 경기장
2018 파일:이라크 국기.svg 알 쿠와 알 자위야 2-0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알틴 아시르 FK 파일:이라크 국기.svg 바스라, 바스라 스포츠 시티
2019 파일:레바논 국기.svg 알 아헤드 1-0 파일:북한 국기.svg 4.25체육단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쿠알라룸푸르, 쿠알라룸푸르 스타디움
202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범유행으로 대회 중도 취소
2021 파일:바레인 국기.svg 알 무하라크 SC 3-0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FC 나사프 카르시 파일:바레인 국기.svg 마나마, 알 무하라크 스타디움
2022 파일:오만 국기.svg 알 시브 클럽 3-0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쿠알라룸푸르 시티 FC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쿠알라룸푸르, 부킷 잘릴 국립경기장
2023-24 파일:호주 국기.svg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FC 1-0 파일:레바논 국기.svg 알 아헤드 FC 파일:오만 국기.svg 무스카트, 술탄 카부스 종합운동장

6. 우승 횟수

구단 우승 준우승 우승 연도 준우승 연도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SC 3 1 2009, 2012, 2013 2011
파일:이라크 국기.svg 알 쿠와 알 자위야 3 0 2016, 2017, 2018
파일:요르단 국기.svg 알 파이살리 SC 2 1 2005. 2006 2007
파일:바레인 국기.svg 알 무하라크 SC 2 1 2008, 2021 2006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카디시야 SC 1 2 2014 2010, 2013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나사프 카르시 1 1 2011 2021
파일:레바논 국기.svg 알 아헤드 1 1 2019 2023-24
파일:시리아 국기.svg 알 자이시 SC 1 0 2004
파일:요르단 국기.svg 샤바브 알 오르돈 SC 1 0 2007
파일:시리아 국기.svg 알 이티하드 SC 알레포 1 0 2010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조호르 다룰 탁짐 1 0 2015
파일:오만 국기.svg 알 시브 클럽 1 0 2022
파일:호주 국기.svg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1 0 2023-24
파일:이라크 국기.svg 아르빌 SC 0 2 2012, 2014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FC 이스티클롤 0 2 2015, 2017
파일:시리아 국기.svg 알 와흐다 SC 0 1 2004
파일:레바논 국기.svg 네즈메 SC 0 1 2005
파일:레바논 국기.svg 사파 SC 0 1 2008
파일:시리아 국기.svg 알 카라마 SC 0 1 2009
파일:인도 국기.svg 벵갈루루 FC 0 1 2016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알틴 아시르 FK 0 1 2018
파일:북한 국기.svg 4.25 체육단 0 1 2019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쿠알라룸푸르 시티 FC 0 1 2022


[1] 필리핀은 동아시아 지역 6위이기 때문에 ACL PO에서 지면 ACC에 참여하고 ACL PO에서 이기면 ACC티켓은 차순위 팀으로 이양된다. 그러나 AFC는 ACL과 ACC 모두 컵 대회 우승팀 제외 리그 상위 50% 팀에게만 티켓을 부여한다. 2020 시즌 필리핀 리그는 참여팀이 6팀이라 3위까지에게만 티켓을 줄 수 있었고 3위 팀인 ADT FC는 U-23로 이루어진 특별 팀이라 AFC 클럽 라이선스가 없는 관계로 승계팀 없이 티켓이 소멸되었다. [2] 이 때문에 인도네시아 페르시푸라 자야푸라, 캄보디아 비사카, 동티모르 라레녹 유나이티드를 조별로 배정시켰다. [3] 베트남 하노이 FC, 인도네시아 발리 유나이티드, 캄보디아 보응 켓 FC, ASEAN지역 최종 예선통과팀(자리없음) [4] 말레이시아 케다 다룰 아만, 싱가포르 라이언 시티 세일러스, 베트남 사이공 FC, 인도네시아 페르시푸라 자야푸라 [5] 캄보디아 비사카, 동티모르 라레녹 유나이티드, 말레이시아 테렝가누 FC, 싱가포르 게일랑 인터네셔널 [6] 우즈베키스탄 나사프 콰르시, 인도 ATK, 홍콩 리만 [7] 쿠웨이트는 위 두 국가에 의해 서부에 할당되지 않은 자리가 발생해 추가로 생겼다. [8] 몰디브의 경우는 예선에 배정된 클럽 발렌시아가 예선2R 시점에 재정 이슈로 탈락했고 당시 상대팀인 아바하니 리미티드 다카가 플레이오프로 올라섰다. 몰디브는 조별에 배정된 마지야 SRC만 참가했다. [9] 지난 해는 쿠데타 이슈로 대회 일정 이전에 기권했다. [10] 이 때문에 플레이오프에 있었던 캄보디아 비사카와 라오스 영 엘리펀츠는 경기 없이 자동으로 조별진출 확정되었다 [A] 원정 다득점 원칙으로 승리 [ET] 연장 [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