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1 23:18:43

아이잭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465c76> 파일:기동전사 건담 ZZ 로고.pn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letter-spacing: -1px;"
파일:attachment/에우고/AEUG.png A.E.U.G
{{{#!wiki style="margin: -15px -10px" ZZ 건담 강화형 ZZ 건담 풀 아머 ZZ 건담
Z 건담 백식 건담 Mk-II
메타스 짐 III 메가 라이더
아가마전함 넬 아가마전함 라비앙 로즈도킹용 함선 }}}
파일:하만시절네오지온.png 네오 지온
큐베레이 큐베레이 Mk-II 양산형 큐베레이 퀸 만사
가자C 가자D 갈루스 J 즈사
햄머 햄머 R 쟈쟈 바우
양산형 바우
가 조움
드라이센 슈츠룸 디아스 자쿠 III 자쿠 III 改
게마르크 가즈 L 가즈 R 리겔구
사이코 건담 Mk-II 도벤 울프 카풀 잠루 핀
아이잭 자쿠 마리너 그완반급 전함 엔드라급 순양함
사다란급 전함
}}}}}}}}}}}} ||
RMS-119 EWAC Zack
"Eye-Zack"
파일:external/www.mahq.net/rms-119.jpg
1. 제원2. 소개3. 기동전사 건담 UC4. A.O.Z RE-BOOT5. 모형화
5.1. 건프라
5.1.1. 구판5.1.2. HG
5.1.2.1. HG 한정판
5.1.3. 기타 건프라
6. 여담7. 게임에서의 아이잭8. 관련 문서

1. 제원

<colbgcolor=#336699><colcolor=white>출연작 기동전사 건담 ZZ, 기동전사 건담 Ecole du Ciel, 기동전사 건담 UC
모델 번호 RMS-119
코드 네임 아이잭(Eye-Zack)
유닛 타입 양산형 정찰 모빌슈트
제조 지구연방
소속 지구연방, 티탄즈, 네오 지온, 소데츠키
조종 몸체 안 전방위 화면 및 리니어 시트형 콕피트에 파일럿 1명
크기 전고 19.2m / 두부고 18.3m
중량 기본 41.6t / 최대 73.5t
질량비 1.61
장갑재질 티타늄 합금
동력장치 미노스키프 타입 초밀도 핵융합로, 추진력 1,428kW
추진 로켓 스러스터 16200 kg x 4 / 버니어 추진기 및 아포지 모터 10개
가속 성능 최대 추력 가속도 0.88G
센서 범위 26000m
주사 범위 194도
장비 데이터 포드 x 4 & 시커 드로이드 x 2, 카메라 유닛 x 2
무장 일반적으로 자쿠 머신건改 & 빔 라이플 1정

2. 소개

지구연방군이 저농도 미놉스키 입자 환경에서 전자전을 수행하기위해 RMS-106 하이잭을 바탕으로 고성능 탐지 장비를 설치하여 개발한 조기 경계용 양산형 모빌 슈트다. EWAC란 Early Warning And Control, 조기경계라는 의미이다. 형식 번호에서도 짐작할 수 있듯이 RMS-119 EWAC 잭은 루나 2 기지에서 생산/개발이 이루어졌다.

머리와 일체화된 원반형의 로테이팅 레이돔에는 패시브 레이더 시스템이 탑재되며, 원반부는 분당 약 6회전하며 초장거리 탐지가 가능하다. 레이더파 주사 범위는 최대 194도로 360도 전방위를 감시하기 위해서는 두대의 아이잭이 필요하다. 로테이팅 레이돔의 밑면에는 레일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한 고배율 지상 감시용의 모노 아이가 설치되어 있으며, 고간부에도 지상용 센서가 설치되었다. 또한 팔에는 신형의 유선식 탐사용 카메라 유닛을 장착 가능하며 유선식의 특성상 지상이 아닌 우주의 데브리 지역 정찰에 아주 유용하다.

기체에 설치된 각종 센서와 광학 기기를 통해 수집한 전장 정보는 머리에 내장된 데이터 시스템을 통해 통합 처리되어 백 팩에 설치된 통신 안테나로 아군에게 디지털 신호로 송신되며, 고농도의 미노프스키 입자 환경에서는 정보를 암호화시켜 레이돔 아래 4개가 설치되어 있는 데이터 포드에 입력한 후 외부로 사출한다. 사출된 데이터 포드는 아군에게 회수될 때까지 특별한 주파수로 식별 코드와 현재 위치를 아군에게 보낸다. 데이터 포드 대신 2기의 드로이드 시커 유닛을 장비할 수도 있으며, 이 시커는 인공지능을 가진 탐사용 포드로 스스로 목표를 추적/감시/탐지가 가능하다.

그 외에는 전선 색적을 위한 작전 행동 시간과 이동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2기의 추진제용 프로펠런트 탱크가 증설되었다. 정찰용 모빌슈트이기 때문에 특별한 무장은 소지하지 않지만, 일반적인 하이잭용의 무장을 모두 사용 가능하다. 다만, 백팩과의 간섭으로 인해 미사일 포드와 빔 사벨/토마호크를 장비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하이잭의 머신건이나 빔 라이플을 주로 장비한다. 다만 색적 강화를 위해 올인한 특성상 기체 밸런스가 상당히 나빠져서 본격적인 전투에는 그다지 도움이 되지 못하는 기체이며, 장비한 무장도 단발성으로 방어전에만 잠깐 쓰고 우월한 추진제량을 살려 전력으로 도망치는 것이 주 전투 패턴. 이는 나중에 ST간에서도 똑같이 이어진다.[1]

단, 어디까지나 저농도 미노프스키 입자 산포하에서의 운용을 전제로 했기 때문에 역으로 말하면 농도가 짙은 상황에선 작전에 제약이 많은데 비해 고농도 전투상황도 자주 발생했는지라 이 때마다 할 일없이 그냥 숨어있거나 철수해야 하는 상황이 잦아 자쿠 플리퍼[2]를 사용하다가 기종전환한 파일럿들에게는 불평을 샀다고 한다.

그리프스 전쟁 종결후 네오 지온의 다카르 침공 때 합류한 티탄즈 잔당에 의해 네오 지온군의 전력으로 흡수되어 운용되었다. 작중에서는 아프리카 독립투쟁을 벌이는 '파란 부대'(청의 부대)의 아이잭이 등장한다.

기동전사 건담 ZZ 제작 당시에는 자쿠3의 파생형으로 그려졌으며, 아사노 마사히코와 카토키 하지메의 초안을 바탕으로 아키타카 미카가 클린업하여 지금의 아이잭이 완성되었다.

3. 기동전사 건담 UC

파일:external/images3.wikia.nocookie.net/Img_ms_b-07.jpg

OVA 3화 "라플라스의 망령"에서 첫 등장한다. 소데츠키가 쓰는 기체는 연방군과는 달리 흑색으로, 그리고 소데츠키 특유의 장식이 추가되어있다. 소설에서는 가엘 창이 이걸 타고 넬 아가마로 잠입하는 장면이 있다. 애니판에서는 팔라우 경비용으로 배치되었지만 로토 부대의 침입을 탐지하지 못했고, 넬 아가마의 하이퍼 메가 입자포에 휩쓸려서 뻐벙. 그리고 "밖에 있는 아이잭하고 연락이 안돼!"로 등장 및 언급이 끝났다.

4. A.O.Z RE-BOOT

RMS-119 아이잭
アイザック | EWAC-ZACK
파일:아이잭.jpg 파일:아이잭 후면.jpg
A.O.Z RE-BOOT에 등장하는 아이잭. A.O.Z 리부트판 하이잭의 배리에이션 기체.

통신방해나 전자기기 등의 작동을 방해하는 미노프스키 입자를 사용한 1년전쟁은 다른 종래 병기와 마찬가지로 정찰기의 개념과 형태를 근본에서부터 바꿨다. 지온 공국군은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MS-06E 자쿠 강행정찰형과 같은 정찰임무전용 MS를 실용화했지만 지구연방에서는 정찰용 항공기, 우주선을 다수 보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새로운 정찰용 MS의 개발에 적극적이지 않았다. 하지만 전후, MS가 전술의 핵심이 됨에 따라 기존 병기의 역할은 저하되었다. MS로 통일된 부대 운용 측면에서도 정찰용 MS의 필요성이 증가했고 격추되기 쉬운 항공기와는 달리 MS의 만능성이 있으면 적과 조우했을 때의 생존성이 향상되는 점도 조목받았다.

그런 이러저러한 이유에 의해 MS를 사용한 정찰임무의 새로운 형태를 제시하기 위해 지구연방군에서도 전용 MS가 개발되게 되었다. 아이잭은 그 일환에 해당하는 EWAC(조기경계) 기체이며 하이잭의 정찰사양으로서 미노프스키 입자 살포 환경하에서의 전자전을 상정한 기체이다.

백팩과 일체화된 거대한 레이 돔(로토 돔)이 외견상의 특징으로 고배율 카메라와 같은 광학 기기와 조합하여 정찰운용을 담당했다. 사출 데이터 포드 등의 정찰용 장비가 탑재된 이 트랜스팩은 EWAC 짐과 공용 장비이며, 각종장비품이 후두부로 길게 늘어진 백팩으로 지탱되는 레이아웃은 EWAC 네로나 EWAC 제간과 같은 이후의 지구연방군 기체에도 공통되는 정찰용 MS의 특징이라고도 할 수 있다. 외장화된 레이 돔 등은 지구연방군의 정찰용 항공기 디쉬의 탑재기기를 참고했으며, 기존 병기가 기능을 발전시켜 MS로 전환되어갔음을 보여주는 하나의 예이다. 한편, 조기경계가 임무이지만 머신건이나 실드 등의 대형무장을 표준장비로 하는 경우도 많으며 병기에 대한 사용개념의 변화, 모색도 엿볼 수 있다.

5. 모형화

5.1. 건프라

5.1.1. 구판

파일:구판 1/144 아이잭 박스아트.jpg
<colbgcolor=#2468b9><colcolor=white> 스케일 1/144
발매 1986년 9월
가격 700엔
리뷰 달롱넷 리뷰

구판 아이잭은 하이잭의 베리에이션 키트로, 대부분의 금형을 유용하고 있고 일부 신규 조형의 파츠를 추가하여 구현했다. 하이잭 관련 파츠들이 정크로 남는데, 이를 재조립하여 하이잭을 만들 수 있다.

국내에서는 아카데미과학에서 카피판을 발매한 적이 있다.아이 쟈크 카피판의 경우, 원형기인 하이잭이 발매되지 않아서.
이 카피판을 구매하여 아이잭 부품 대신 정크로 남는 하이잭 부품으로 하이잭을 만드는게 하나의 방법이였다.

5.1.2. HG

파일:HGUC 아이잭 박스아트.jpg
<colbgcolor=#2468b9><colcolor=white> 등급 High Grade Universal Century
스케일 1/144
발매 2009년 6월 27일
가격 1,600엔
리뷰 달롱넷 리뷰

구판처럼 HGUC 하이잭의 금형을 일부 유용하고, 신규 조형의 아이잭용 레이돔, 백팩 등을 추가하여 구현했다.[3] 베이스가 되는 키트가 2000년에 발매되었다보니, 프로포션, 가동성 등 전반적인 품질이 떨어지는 편이다.
색분할도 좋지 않아서, 부속된 머신건은 회색이 아닌 하늘색으로 사출되었고, 실드의 십자가도 분할되지 않았다. 그 외 프레임의 색깔이 일부 맞지 않고 이를 위한 씰도 전무해서 설정화에 맞게 재현하려면 많은 도색이 필요하다.[4] 고관절이 파손되었다는 후기들도 확인할 수 있다.
5.1.2.1. HG 한정판

5.1.3. 기타 건프라

  • B-Club 1/144 아이잭 개조 파츠
    HGUC 하이잭에 적용 가능한 아이잭 개조 파츠 레진 키트가 발매되었다.

6. 여담

  • 건담 빌드 다이버즈 8화 베앗가이 축제에서 엑스트라로 등장했는데 엑스트라 치곤 분량이 제법 있다. 지금이야 말로 탐사용 MS가 나서야 된다면서 선두로 선뒤 보물상자를 찾긴 했는데 바위 틈 사이에 머리가 걸려서 조고크에게 보물상자를 뺐겼다. 마지막 말투가 치사하다고 말하는건 덤.
  • 카토키 하지메가 아직 카토키 스나오의 필명으로 활동하며 ZZ건담에 참여한 후 최초로 채용된 디자인이 바로 아이잭이라고 한다.[5]

7. 게임에서의 아이잭

7.1. SD건담 G제네레이션 시리즈

G제네레이션에선 하이잭에 EWAC계열 기체와 조합하면 등장한다. EWAC계열 기체가 그렇듯 무장이 허접한지라 그리 쓰이진 않는다.

7.2. SD건담 캡슐파이터 온라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이잭/SD건담 캡슐파이터 온라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관련 문서



[1] 이는 현실의 정찰기도 똑같다. [2] 전시 개발기라 고농도 미스프스키입자 산포 하에서도 작전이 가능했다. [3] 신규 조형의 D런너를 제외하고는 전부 하이잭의 런너를 그대로 유용하는데, C런너에는 스위치 런너로 아이잭 전용 파츠가 추가되어 있다. [4] 머리통 원형 밑 부분에 필요한 파란색과 검은색, 회색과 버니어 도색용 빨간색, 방패 십자가 도색용 노란색 마커나 도료를 준비하자. [5] 짐 III의 경우 카토키의 디자인을 사야마 요시노리가 클린업 한 물건으로, 온전히 카토키만의 디자인대로 채용된 것은 이 기체가 최초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