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저계급론에 대한 내용은 수저계급론 문서 참고하십시오.
1. 식사용 도구
숟가락과 젓가락을 합해 부르는 말로 숟가락을 뜻하는 '술(ㄹ 탈락)'과 젓가락을 뜻하는 '저(箸)'의 합성어이다. 한자어로는 시저(匙:숟가락 시, 箸:젓가락 저)라고 한다.일상에서는 숟가락을 이르면서 쓸 때도 있지만, 본래 뜻은 위에서 보듯 숟가락과 젓가락을 아울러 부르는 말이다.
문화어로는 수저가락이라고 부른다.
1.1. 관련 표현
식사할 때 사용하는 도구인 만큼 오래 전부터 상징적인 의미를 많이 갖고 있다. 속담에도 수저를 소재로 한 것이 많다.- "옆집 수저 개수도 안다." - 옆집의 모든 식구를 알고 같이 밥을 먹을 정도로 친밀하다.
- "눈물은 내려오고 수저는 올라간다." - 아무리 힘들고 고통스러워도 밥은 먹는다.
- "밥 숟갈을 놓았다." - 수명이 다함
- (상을 다 차려놓으니) "밥 숟가락만 얹는다." - 일은 거들지 않고 얌체처럼 이득만 빼먹는다는 뜻. 젊은 세대에겐 황정민의 "배우는 그저 숟가락만 얹어서..."란 인터뷰로도 유명하다
요즘 들어 본인이 태어난 집안이나 부모의 경제력 정도를 수저계급론으로 나타내는 경향이 있는데, 원래는 은수저, 나무수저, 플라스틱수저로 나뉜다. 한국에서도 이러한 수저계급론이 수입되면서 금수저, 은수저, 동수저, 흙수저 등으로 세분화되어 나타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