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3 17:56:49

쇠뜨기

쇠뜨기
Field horsetail
파일:쇠뜨기1.jpg
학명: Equisetum arvense
분류
식물계(Plantae)
분류군 관다발식물군(Tracheophytes)
양치식물문(Polypodiophyta)
양치식물강(Polypodiopsida)
아강 속새아강(Equisetidae)
속새목(Equisetales)
속새과(Equisetaceae)
속새속(Equisetum)
쇠뜨기(E. arvense)

1. 개요2. 상세3. 미디어 믹스에서4. 여담

[clearfix]

1. 개요

한국, 중국, 일본 등 북반구 온대에 분포하는 다년생 양치식물이다.

2. 상세

파일:쇠뜨기2.jpg

영양줄기와 생식줄기가 따로 있는데, 우리가 보통 '쇠뜨기'라고 부르는 것이 영양줄기, '뱀밥'이 생식줄기를 가리킨다.

뱀밥은 4월에서 5월 사이에 올라오는데 포자낭을 터뜨려 포자를 공기 중으로 확산시켜 퍼뜨린다. 포자로 번식하기 때문에 제초시기를 놓치면 그 일대로 쇠뜨기들이 마구 번진다. 대표적인 개척식물 종으로 꼽히며, 히로시마에서 핵폭탄이 터진보다도 가장 먼저 싹을 틔운 식물이 쇠뜨기였을 정도로 생명력이 강하다.

그 생명력 때문에 한국에서 마주할 수 있는 잡초 중에서도 가장 성가시다. 헛뿌리가 땅속 깊숙히 뿌리를 뻗기 때문에 제거하기가 굉장히 힘들고, 뿌리까지 뽑지 않고 대충 줄기만 잡아서 위로 뜯으면 중간에 있는 마디만 끊어지고 밑에 있는 줄기에서 다시 자란다. 봄에 밭을 전부 갈아엎고도 금새 쇠뜨기 천지가 될 정도.

그러나 야생에서는 유해 물질을 흡수하여 물과 흙의 오염을 정화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 깊고 넓은 뿌리가 토양을 고정시켜 침식을 방지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된다.

식용 가능하며, 주로 생식줄기를 나물로 먹는다. 이뇨, 혈압강하, 심장수축력 증가, 지혈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3. 미디어 믹스에서

  • 시끌별 녀석들에서 순정여우 에피소드 중 하나에서 주요 소재로 등장한다. 한 인간 여성을 짝사랑한 여우가 이런저런 일을 다 해봐도 여성이 관심을 가져주지 않자 여우는 그 해 봄에 제일 먼저 나온 뱀밥에 주문을 걸어 어슴푸레한 달이 뜬 날 밤 그것을 여성에게 먹였다. 그러자 여성은 아름다운 여우로 변해 여우와 함께 신나게 놀았다. 동이 트자 여성은 원래 모습으로 돌아갔지만 여우는 그것만으로도 아주 행복했다는 전설이 여우들에게 전해져 내려오고 순정여우는 시노부에게 뱀밥을 먹이기 위해 찾아가나 도중에 챙겨둔 뱀밥을 흘리고 만다. 시노부, 아타루, 라무 일행은 뱀밥을 찾아다니지만 끝끝내 찾지 못하고 순정여우도 시무룩해하지만 시노부가 "여우가 되지 않아도 언제든지 놀아주겠다"는 말을 하며 위로하고 체리도 자신이 만들어 두었던 국을 나눠준다. 아타루 일행도 국을 나눠먹었는데 어느 순간 국을 먹은 아타루, 라무, 시노부, 체리, 상난로 고양이가 전부 여우로 변해 있었다. 알고 보니 순정여우가 흘린 뱀밥은 상난로 고양이가 가지고 있었고 국에 그 뱀밥을 넣은 것. 구 애니에선 은행으로 나왔으나 원작과 신애니판에선 뱀밥으로 나왔다.

4. 여담

  • 중학교 교과과정에 양치식물을 공부할 때 나오는 대표적 식물로 고사리와 쇠뜨기를 반드시 보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