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8 21:34:04

섬(음악극)

섬:1933~2019에서 넘어옴
제작사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

우란문화재단 제작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000><bgcolor=#FFF100> 파일:달컴 씨왓.png ||<bgcolor=#F8F0E8> 파일:우란 비.png ||<bgcolor=#2B3362> 파일:우란 태일.png ||<nopad><bgcolor=#05040A> 파일:우란 베르.png ||
2015 2016 2018
<nopad> 파일:살수선로고.png 파일:우란 음악극 섬 로고.png 파일:우란 아일.png 파일:쩌니 네포겟.png
2019 2021 2022
파일:백인당 태영 로고.png
2023
{{{#!wiki style="margin: -1px 0 auto; text-align:center"
※해당 제작사의 첫 제작 기준. (트라이아웃, 낭독회 제외)}}}


파일:국립정동극장 흰색 로고.svg 제작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000><bgcolor=#7A3322><nopad> 파일:정동 적벽.png ||<nopad><bgcolor=#160300> 파일:우란 베르.png ||<nopad><bgcolor=#050911> 파일:정동 포미니츠.png ||<bgcolor=#050911> 파일:정동 쇼맨.png ||
2017 2021 2022
<bgcolor=#685b52> 파일:음악극 섬 로고.png
2023 2024


제작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000><bgcolor=#F2F0CE> 파일:연극작은아씨들.png ||<bgcolor=#809FA6><nopad> ||<bgcolor=#BCDACC><nopad> ||<bgcolor=#261E1C><nopad> 파일:셜록홈즈육연로고.png ||
2021 2023
파일:렛미플라이로고.png 파일:살수선로고가로.png 파일:브론테로고.png 파일:음악극섬로고.png
2023 2024
파일:에밀로고.png 파일:네엔플 카르밀라 로고.png 파일:사인사로고.png 파일:부치하난로고.png
2024
파일:뮤지컬긴긴밤로고.png 파일:뮤지컬테일러로고.png 파일:연극타인의삶로고.png
2024
※해당 제작사 제작 뮤지컬/연극 최초 시즌 기준 (투자/배급 제외)

||<-5><tablealign=center><table bordercolor=#ccc><bgcolor=#eee> 목소리프로젝트 시리즈 ||
2017 2019 2023
태일 섬:1933~2019 百人堂 태영

<colbgcolor=#e2ddd9,#447981><colcolor=#447981,#e2ddd9> 목소리프로젝트 2탄
: 1933~2019
파일:음악극 섬 포스터.jpg
2024년 재연 포스터
제작 <colbgcolor=#fff,#1c1d1f>우란문화재단, 목소리프로젝트 (2019)
국립정동극장, 라이브러리컴퍼니 (2024)
작가 장우성
작곡 이선영
연출 박소영
공연장 초연: 우란문화재단 우란2경
재연: 국립정동극장
공연 기간 초연: 2019.07.05 ~ 2019.07.21
재연: 2024.05.22 ~ 2024.07.07
관람 시간 115분
공식 계정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2019년 우란문화재단 초연 포스터 ▼
파일:음악극 섬 초연 포스터.jpg

1. 개요2. 시놉시스3. 출연진
3.1. 2019년 초연3.2. 2024년 재연
4. 넘버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장우성 작가, 이선영 작곡가, 박소영 연출이 결성한 목소리프로젝트[1]의 두 번째 작품으로, 1966년부터 2005년까지 40여 년간 한센인들을 위한 희생과 헌신으로 감동을 주었던 실존 인물 ‘ 마리안느 슈퇴거’와 ‘ 마가렛 피사렉’ 간호사의 이야기가 중심이 된다. 또한 1933년부터 소록도로 강제 이주를 당한 한센인들의 억압받던 삶을 비추는 동시에 ‘장애도’라는 섬에 갇혀 살아가는 2019년 서울의 발달장애 아동 가족들의 이야기를 교차한다.

86년에 달하는 시간, 3대에 걸친 세월을 아우르며 출연진이 12명[2]이나 되는, 목소리 프로젝트 중 가장 큰 스케일이 특징.

다큐멘터리 '마리안느와 마가렛'(2017)과 이 다큐와 동일한 소재로 쓴 책 《소록도의 마리안느와 마가렛: 우리 곁에 사랑이 머물던 시간》(성기영, 2017), 실제 발달장애아의 어머니가 쓴 책 《사양합니다, 동네 바보 형이라는 말》(류승연, 2018)[3]이 원작이다.

목소리 프로젝트답게 멀티 역을 맡는 앙상블 배우들을 '목소리들'이라고 부르는 것이 특징.[4]

2. 시놉시스

백수선 (1933~)

3. 출연진

3.1. 2019년 초연

2019.07.05 ~ 2019.07.21 우란문화재단 우란2경

*마리안느&고지선: 백은혜
*마가렛&백수선: 정운선
*목소리들:
권동호, 김대웅, 박란주, 신창주, 이선근,
이아름솔, 이현진, 임규형, 정소리, 차용학

3.2. 2024년 재연

2024.05.22 ~ 2024.07.07 국립정동극장

*마리안느&고지선: 백은혜, 정연
*마가렛&백수선: 정운선, 정인지
*목소리들:
고철순, 김대웅, 김리현, 김성수, 김승용,
김지혜, 류제윤, 박세훈, 박슬기, 신진경,
안창용, 윤데보라, 이민규, 이시안, 이예지,
이지숙, 임별, 임진섭, 정소리, 하미미

4. 넘버

M1. 자탄가
M2. 사랑이 머물던 시간
M3. 탄생가
M4. 가도 가도 붉은 황톳길
M5. 천사미사곡[5]
M6. 무제
M7. 순환: 생과 사
M8. 목도하는 목소리
M9. 바람을 등지고
M10. 우유 한 잔
M11. 수업: 보통 사람 되기
M12. 세 번 죽는다
M13. 시공: 인과 연
M14. 희망은
M15. 사랑이 머물던 시간 Rep.

5. 둘러보기

장우성 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11px"
<rowcolor=#fff> 연도 작품
2018 태일
2019 섬:1933~2019
2022 百人堂 태영
}}}}}}}}} ||

이선영 작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11px"
<rowcolor=#fff> 연도 작품
2013 여신님이 보고 계셔
2018 레드북
태일
2019 섬:1933~2019
2022 쇼맨
2022 百人堂 태영
}}}}}}}}} ||



[1] 선한 영향력을 바탕으로 귀감이 될수 있는 삶을 살았던 역사 속 실존인물의 삶을 재조명하고자 2017년 결성. [2] 전 배역 더블캐스팅인 재연에서는 24명. [3] 장애도라는 말도 류 작가가 책에서 직접 쓴 말이다. [4] 대본에는 '목소리1', '목소리2' 식으로 쓰여있다고 한다. [5] 천사미사곡 중 기리에. 자비송으로도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