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2 19:15:56

서검은구록(2009년 드라마)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10131><tablebgcolor=#010131><tablecolor=#ffc224> 김용 소설이 원작인 2차 창작물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2px"
원작 소설 저자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김용(金庸)
작품 목록
드라마
<colbgcolor=#EEEEEE,#666666><colcolor=black,white> 1970년대 사조영웅전 (1976) · 신조협려 (1976) · 의천도룡기 (1978)
설산비호 (1978)
1980년대 사조영웅전 (1983) · 신조협려 (1983) · 신조협려 (1984) · 의천도룡기 (1984) · 의천도룡기 (1986) · 사조영웅전 (1988)
천룡팔부 (1982) · 소오강호 (1984) · 녹정기 (1984 - 홍콩) · 녹정기 (1984 - 대만) · 소오강호 (1985) · 설산비호 (1985)
1990년대 의천도룡기 (1994) · 사조영웅전 (1994) · 신조협려 (1995) · 신조협려 (1998 - 싱가포르) · 신조협려 (1998 - 대만)
천룡팔부 (1990) · 설산비호 (1991) · 소오강호 (1996) · 천룡팔부 (1997) · 녹정기 (1998) · 설산비호 (1999)
2000년대 의천도룡기 (2001) · 사조영웅전 (2003) · 의천도룡기 (2003) · 신조협려 (2006) · 사조영웅전 (2008) · 의천도룡기 (2009)
소오강호 (2000) · 소보와 강희 (2001) · 소오강호 (2001) · 천룡팔부 (2003) · 설산비호 (2007) · 녹정기 (2008) · 서검은구록 (2009)
2010년대 신조협려 (2014) · 사조영웅전 (2017) · 의천도룡기 (2019)
천룡팔부 (2013) · 소오강호 (2013) · 녹정기 (2014) · 신소오강호 (2018)
2020년대 사조영웅전2024 (2024) · 김용무협세계: 신조협려 (2026)
녹정기 (2020) · 천룡팔부 (2021) · 비호외전 (2022)
영화
1950년대 사조영웅전 (1958)
1960년대 신조협려 (1960) · 의천도룡기 (1963) · 의천도룡기 (1965)
설산비호 (1964)
1970년대 사조영웅전 (1977) · 사조영웅전: 속집 (1978) · 의천도룡기: 대결국 (1978)
천룡팔부 (1977) · 소오강호 (1978) · 설산비호 (1978)
1980년대 사조영웅전: 제3집 (1981) · 의천도룡기 (1981) · 신조협려 (1982) · 양과와 소용녀 (1982) · 마전도룡 (1984)
비호외전 (1980) · 신천룡팔부 (1982) · 녹정기 (1983) · 신비호외전 (1984)
1990년대 의천도룡기: 마교교주 (1993)
소오강호 (1990) · 동방불패 (1992) · 녹정기 시리즈 (1992) · 동방불패2 (1993) · 정패위소보지봉지구녀 (1993) · 비호외전 (1993) · 동사서독 (1994) · 신천룡팔부: 천산동모 (1994)
2010년대 무림타이치- 장삼풍 (2018)
몽회녹정기 (2011)
2020년대 의천도룡기: 구양신공 (2022) · 의천도룡기: 성화웅풍 (2022) · 사조영웅전 : 협지대자 (2024)
설산비호: 8인의 악인 (2022) · 천룡팔부: 교봉전 (2023)
2차 창작 관련 문서
전체 사조영웅전 · 신조협려 · 의천도룡기 ( 드라마)
녹정기 · 설산비호외전 · 소오강호 ( 드라마 / 영화) · 천룡팔부
관련 둘러보기 틀
}}}}}}}}} ||
드라마
서검은구록 (2009)
书剑恩仇录
The Book and the Sword
파일:서검은구록 드라마 2009 메인 이미지.png
<colbgcolor=#212615><colcolor=#FDFDFB> 별칭 서검은구록 2009
书剑恩仇录 2009
장르 시대극[1], 무협물, 가상역사물
방송 기간 2009년 3월 20일 ~ 2009년
방송 횟수 40부작[2]
제작 후난전광전매구분유한회사(湖南电广传媒股份有限公司)
채널
[[중국|]][[틀:국기|]][[틀:국기|]]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아시아앤


<colbgcolor=#212615><colcolor=#FDFDFB> 연출
탄요우예(谭友业), 허전화(何振华), 원웨이지(温伟基)
극본 류쿠이쉬(刘奎序)
원작 김용 저,
소설 《 서검은구록(書劍恩仇錄)
출연
차오전위(乔振宇), 정소추(鄭少秋), 저우리치(周励淇), 잉얼(颖儿), 류더카이(劉德凱), 루천(路晨), 리청위안(李呈媛) 등
타이틀곡
타이틀곡
無悔無憾 - 왕지에(王傑)
ㅤㅤㅤㅤㅤ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영상
스트리밍
[[왓챠|
WATCHA
]]
시청 등급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주제, 폭력성, 모방위험)
1. 개요2. 공개 정보
2.1. 포스터
3. 등장인물4. 평가

[clearfix]

1. 개요

2009년에 방송한 드라마.

홍콩의 소설가 김용이 쓴 소설 《 서검은구록》을 원작으로 한 작품으로, 출생의 비밀을 가진 주인공 진가락이 홍화회를 이끄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진가락/복강안 역의 차오전위(乔振宇)와 건륭제 역의 정소추(鄭少秋),[3] 곽청동 역의 저우리치(周励淇), 객사려 역의 잉얼(颖儿)이다.

시간적 배경은 CE 1753년부터 1758년까지이며, 공간적 배경은 청나라 중원, 강남, 위구르이다.

대한민국에서는 2011년에 방영했다.

2. 공개 정보

2.1. 포스터

<nopad> 파일:서검은구록 드라마 2009 공식 포스터.jpg
공식 포스터

3. 등장인물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진가락|陈家洛
<nopad> 파일:서검은구록 드라마 2009 진가락.jpg
차오전위(乔振宇)[1인2역]
이 드라마의 주인공. 홍화회의 제2대 총타주.
건륭제|乾隆帝
<nopad> 파일:서검은구록 드라마 2009 건륭제.jpg
정소추(鄭少秋)
청나라의 제6대 황제. 실존인물인 건륭제를 바탕으로 한 등장인물.
복강안|福康安
<nopad> 파일:서검은구록 드라마 2009 복강안.png
차오전위(乔振宇)[1인2역]
건륭제의 사생아. 실존인물인 복강안을 바탕으로 한 등장인물.
곽청동|霍青桐
<nopad> 파일:서검은구록 드라마 2009 곽청동.jpg
저우리치(周励淇)
위구르 부족장 목탁륜의 장녀. 객사려의 언니. 천산파 천산쌍웅의 제자.
객사려|喀丝丽
<nopad> 파일:서검은구록 드라마 2009 객사려2.jpg
잉얼(颖儿)
위구르 부족장 목탁륜의 차녀. 곽청동의 여동생. 별명은 '향향공주(香香公主)'.
우만정|于万亭
<nopad> 파일:서검은구록 드라마 2009 우만정.jpg
류더카이(劉德凱)
홍화회의 초대 총타주. 건륭제의 숙부.
이원지|李沅芷
<nopad> 파일:서검은구록 드라마 2009 이원지.jpg
루천(路晨)
섬서성 부풍연수진 총병 이가수의 딸. 육비청의 제자.
주기|周绮
<nopad> 파일:서검은구록 드라마 2009 주기.jpg
리청위안(李呈媛)
철담장 주중영의 딸.

4. 평가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6699cc><#edf4ec> 파일:더우반 로고.svg ||
별점 6.4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f0558><bgcolor=#ff0558> 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
별점 2.9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px><tablebgcolor=#fff,#191919><bgcolor=#275c9d><tablebordercolor=#275c9d> 파일:MyDramaList_logo.png ||
별점 7.1 / 10


최근 제작되는 김용 소설을 원작으로 한 드라마들처럼 원작을 재해석하고 있다. 우만정이 사실은 건륭의 아버지인 옹정제와 왕위를 겨루다 패한 9황자 윤당이었으며, 황제 자리를 되찾는데 이용하기 위해 청나라 반대세력인 홍화회를 조직했다는 것으로 재해석했다. 흑역사라면 이 작품의 디렉터를 맡은 담우업(譚友業)[6]이 임금을 체불당해서 소송을 걸어 얻어낸 사건이 있다. #



파일:CC-white.svg 이 '평가'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9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평가'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91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중국식 표현으로는 '고장극(古装剧)'으로 불린다. [2] 회당 45분 분량 [3] 드라마 〈서검은구록 1976〉에서 진가락, 건륭제, 복강안까지 1인 3역 연기를 했다. [1인2역] [1인2역] [6] 홍콩 출신의 드라마 제작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