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키트라켈로판 Brachytrachelopan |
|
학명 |
Brachytrachelopan mesai Rauhut et al., 2005 |
분류 | |
계 | 동물계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계통군 | 석형류Sauropsida |
목 | 용반목Saurischia |
아목 | †용각아목Sauropodomorpha |
하목 | †용각하목Sauropoda |
상과 | †디플로도쿠스상과Diplodocoidea |
과 | †디크라이오사우루스과Dicraeosauridae |
속 | †브라키트라켈로판속Brachytrachelopan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
|
복원도
[clearfix]
1. 개요
중생대 쥐라기 후기에 남아메리카에 살았던 용각류 공룡. 속명의 뜻은 '짧은 목의 판(Pan)'이란 의미.[1]2. 상세
아르헨티나 추부트 주의 '카냐돈칼세로층(Cañadón Cálcero Formation)'에서 처음으로 골격 일부의 화석이 발견되었는데, 거의 다 자란 개체의 것으로 확인되었기 때문에 이 녀석들은 아마 다 자라도 몸길이가 10m를 넘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쥐라기에 살았던 다른 용각류들에 비해 비교적 작은 체구라는 특징이 있지만 그보다 더 눈길을 사로잡는 신체적 특징이 있었으니...유난히 긴 목으로 유명한 유럽의 검룡류 미라가이아와의 비교도
바로 독보적으로 짧은 목. 디크라이오사우루스과의 공룡들이 대체로 용각류 중에서는 목이 짧은 편이긴 하지만 이 녀석은 그 중에서도 단연 원톱을 달리는 수준으로, 몸통 대비 목의 길이 비율이 75%에 불과하다. 같은 디크라이오사우루스과에 속한 친척뻘 용각류들보다도 40% 가량 더 짧은 셈.[2]
학자들은 이 녀석이 이렇게 짧은 목을 갖게 된 이유를 낮은 높이까지만 자라는 식물을 주로 먹는 식성에서 찾는 편이다. 당시 북반구의 로라시아 대륙에서는 이구아노돈류의 조각류 공룡들이 키 작은 식물들을 먹었지만, 브라키트라켈로판이 살던 남반구의 곤드와나 대륙에서는 조각류가 없었기 때문에 이들의 니치를 이 녀석이 차지했다는 것. 대부분의 용각류가 더 높은 곳의 식물을 먹거나 한 자리에서 최대한 넓은 범위의 식물을 먹을 수 있도록 목을 길게 늘리는 방향으로 진화한 것과는 정반대의 길을 걸은 셈이다.
공존했던 공룡으로는 자신보다 컸던 초식동물인 용각류 테우엘체사우루스와 천적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수각류 판도라베나토르 등이 있다.
[1]
이 공룡의 화석은 잃어버린 양을 찾아다니던 목동 다니엘 메사(Daniel Mesa)에 의해 발견되었다. 따라서 이를 기념하기 위해
그리스 로마 신화에 나오는 목축의 신의 이름에서 속명을 따오고, 목동의 성씨에서 종명을 따온 것.
[2]
참고로 디크라이오사우루스의 몸통 대비 목의 길이 비율은 123% 정도이며,
백악기에 살았던
아마르가사우루스의 경우 136% 정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