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6 20:36:04

북청사자놀음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221e1f,#fff> }}}
{{{#!wiki style="color:#fff; margin:-0px -10px -5px; min-height:26px" dark-style="color:#221e1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ff,#1c1d1f><colcolor=#373a3c,#ddd>
가산오광대
<colbgcolor=#fff,#1c1d1f><colcolor=#373a3c,#ddd>
강령탈춤
<colbgcolor=#fff,#1c1d1f><colcolor=#373a3c,#ddd>
강릉관노가면극

고성오광대

김해오광대

동래야류

봉산탈춤

북청사자놀음

속초사자놀음

송파산대놀이

수영야류

양주별산대놀이

은율탈춤

예천청단놀음

진주오광대

통영오광대

퇴계원산대놀이

하회별신굿탈놀이
※ 순서는 가나다순으로 정렬, 굵은 처리는 시•도 지정 문화재 ※
}}}}}}}}}

{{{#!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wiki style="margin: 0px; margin-top: -12px; margin-bottom: -7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408080>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가무형유산
<colbgcolor=#408080><colcolor=#fff> 북청사자놀음
北靑獅子놀음
Bukcheong Saja Noreum
파일:북청사자놀음.jpg
소재지 함경남도 북청군 / 서울특별시
분류 무형문화재 / 전통 공연·예술 / 연희
지정일 1967년 3월 31일
(舊)지정번호 국가무형문화재 제15호
관리주체 (사)국가무형유산
북청사자놀음보존회

파일: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로고.svg [[인류무형문화유산|{{{#1da3b2 인류무형문화유산}}}]]
<colbgcolor=#1DA3B2><colcolor=#fff> 한국의 탈춤
Talchum, mask dance drama
in the Republic of Korea
국가·위치 <colbgcolor=#fff,#1f2023>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지정번호 1742
등재연도 2022년
목록구분 대표목록 }}}}}}

1. 개요2. 역사
2.1. 과거의 연희방식
3. 연희 과정
3.1. 첫째 마당 : 마당놀이3.2. 둘째 마당 : 사자놀이마당
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함경남도 북청군에서 전승되던 사자놀음의 일종. 대한민국의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다.[1] 하지만 본디 사자놀음은 공연이 아닌 무속적 용도로 연희되었기에 이를 공연화 시키며 일부 정통성을 잃었다고 보고 있다.

2. 역사

북청사자놀음은 대한민국의 사자놀음중 하나로써 결국 북청사자놀음의 역사는 한국의 사자놀음의 역사를 살펴보는 것이다 다름없다.

한국에서 서식하지 않는 사자를 흉내낸 춤이라는 점에서 사자춤은 해외로부터 들어왔다고 볼 수밖에 없다. 이는 한반도 불교가 들어오면서 시작되었다고 추측하고 있다.

약 1500년 전 부터 연행되었다고 보고 있으며 첫번째 기록은 신라시대때 최치원(858년 출생)의 '향약잡영 5수'라는 책에서 처음으로 기록된다. 이로써 매우 예전부터 행해지던 춤이라는 점을 무시하지 못 할 것이다.

2.1. 과거의 연희방식

사자춤은 본디 무속적 목적으로 집집을 다니며 사자가 들어가 박을 깨고, 지신을 밟아 악귀를 쫓는등 여러 목적으로 연희되었으나 현대에 와 국가유산으로 지정되는 과정에서 연희,무희적인 성격과 공연적 성격이 강해지며 과거와 현재의 연희과정에서의 차이가 발생한다.

과거에 사자춤은 봉산탈춤, 양주별산대놀이등과 같은 전문적인 연희자들이 진행한 것이 아닌 마을사람끼리 모여 진행하던 농촌탈춤의 형태를 가지고 있어 공연을 하는 사람과 구경꾼과의 차이가 거의 없게 연희되었다.

북청사자춤은 음력 14일 저녁에 마을의 청년들이 횃불을 들고 싸움을 벌인다. 이는 패싸움이 아닌 놀이 형식의 싸움, 아마 추측하건데 우리 집에 왜 왔니 느낌의 싸움일 것이다. 어찌되었든 이러한 횃불싸움이 끝나고 난 후 각 마을의 도청으로 돌아가 횃불싸움의 결과를 알리고 사자놀음을 시작한다. 방울을 달고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귀신을 쫓아 진행하였고 마을마다 사자춤 경연을 하기도 하였다.

3. 연희 과정

3.1. 첫째 마당 : 마당놀이

제1과장. 길놀이
파일:북청사자놀음_길놀이.jpg
사자놀음의 시작을 알리는 마당.
제2과장. 양반꼭쇠
파일:북청사자놀음_양반꼭쇠.jpg
놀음을 진행하는 양반과 꼭쇠가 등장하는 마당.
제3과장. 애원성 춤
파일:북청사자놀음_애원성춤.jpg
고깔을 쓴 여인네가 애원성 춤을 추는 마당.
제4과장. 거사 사당춤
파일:북청사자놀음_거사사당춤.jpg
거사 2명과 사당 2명이 등장하여 춤을 추는 마당.
제5과장. 무동춤
파일:북청사자놀음_무동춤.jpg
남자아이 무동과 여자아이 무동이 춤을 추는 마당.
제6과장. 꼽추춤
파일:북청사자놀음_꼽추춤.jpg
꼽추가 춤을 추는 마당.
제7과장. 칼춤
파일:북청사자놀음_칼춤.jpg
두 청년이 칼춤을 추는 마당.
제8과장. 넉두리춤
파일:북청사자놀음_넉두리춤.jpg
아낙네들이 춤을 추는 마당.

3.2. 둘째 마당 : 사자놀이마당

제8과장. 사자춤
파일:북청사자놀음.jpg
사자가 춤을 추는 마당.

사자탈에 남자 2명 or 여자 2명이 들어간다.

4. 둘러보기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탈놀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표시는 시/도 지정 무형문화재
<rowcolor=#fff> 분류 탈춤명 지정번호 관련단체(보존회)
<colcolor=#fff><colbgcolor=#0047a0> 탈춤 봉산탈춤, 제17호 (사)봉산탈춤보존회
탈춤 은율탈춤, 제61호 은율탈춤보존회
탈춤 강령탈춤, 제34호 강령탈춤보존회/강령탈춤연구회
산대놀이 송파산대놀이, 제49호 (사)송파산대놀이 보존회
산대놀이 양주별산대놀이, 제2호 (사)양주별산대놀이보존회
산대놀이 +퇴계원산대놀이 퇴계원산대놀이보존회
오광대 가산오광대, 제73호 (사)가산오광대보존회
오광대 통영오광대, 제6호 통영오광대보존회
오광대 고성오광대, 제7호 (사)고성오광대보존회
오광대 +김해오광대 김해오광대보존회
오광대 +진주오광대 진주오광대보존회
야류 동래야류, 제18호 (사)동래야류보존회
야류 수영야류, 제43호 (사)수영야류보존회
사자놀음 북청사자놀음, 제15호 (사)북청사자놀음보존회
사자놀음 + 속초사자놀이 속초사자놀이보존회
기타 강릉관노가면극, 13호 강릉단오제보존회/강릉관노가면극보존회
기타 하회별신굿탈놀이, 제69호 하회별신굿탈놀이보존회
기타 +예천청단놀음 예천청단놀음보존회
}}}}}}}}} ||
위 틀에서는 국가/시,도 지정 탈놀이만 취급한다.

[1] 지정될 당시 제15호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