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00><table bordercolor=#083090>
|
한국여자프로농구 소속 구단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
|
|
부산 BNK 썸 |
부천 하나원큐 |
아산 우리은행 우리WON |
|
|
|
|
|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
청주 KB 스타즈 |
|
|||
부천 하나원큐 | |||
Bucheon Hana 1Q | |||
정식 명칭 | 하나원큐 여자 농구단 | ||
영문 명칭 | Hana OneQ Women's Basketball Team | ||
창단 | 1997년[1] | ||
구단명 변천 |
신세계 쿨캣 (1997~2001) 광주 신세계 쿨캣 (2001~2006) 부천 신세계 쿨캣[2] (2006~2012) 부천 하나외환 (2012~2015) 부천 KEB하나은행 (2015~2020) 부천 하나은행 (2020) 부천 하나원큐 (2020~ ) |
||
연고지 변천 |
|
||
모기업 |
|
||
구단주 | 박성호[3] | ||
단장 | 정석화 | ||
감독 | 김도완 | ||
주장 | 양인영 | ||
구단 사무국 | 인천광역시 서구 첨단동로 374 | ||
홈구장 변천 |
광주구동체육관 (1997~2006)[4] 부천실내체육관 (2006~ ) 하나원큐 청라체육관 (2021)[5] |
||
클럽 하우스 | 하나글로벌캠퍼스 | ||
키트 스폰서 | 데상트 | ||
마스코트 |
|
||
별돌이, 별송이 | |||
웹 사이트 및 소셜 미디어 |
|
||
우승 기록 | |||
★★★★ 챔피언 결정전 우승 (4회) |
|||
1999 겨울, 2000 여름, 2001 여름, 2002 겨울 | |||
정규 시즌 우승 (4회) | |||
1999 겨울, 2000 여름, 2001 겨울, 2001 여름 |
[clearfix]
1. 개요
한국여자프로농구 소속 여자 농구단. 연고지는 경기도 부천시이며 홈구장은 중동에 위치한 부천실내체육관이다.태평양화학 여자농구단[6], 광주-부천 신세계 쿨캣을 계승한 구단으로 현재의 공식 팀명은 하나원큐 여자농구단.[7]
2. 역사
3. 역대 성적
| 우승 |
| 준우승 |
| 포스트시즌 진출 |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 |
연도 | 순위/팀숫자 | 포스트시즌 | 경기수 | 승 | 패 | 승률 |
신세계 쿨캣 | ||||||
1998여름 | 2/5 | 준우승 | 8 | 5 | 3 | 0.625 |
1999겨울 | 1/6 | 우승 | 5 | 4 | 1 | 0.800 |
1999여름 | 4/8 | 4위 | 15 | 6 | 9 | 0.400 |
2000겨울 | 3/5 | 3위 | 8 | 4 | 4 | 0.500 |
2000여름 | 1/6 | 우승 | 20 | 15 | 5 | 0.750 |
광주 신세계 쿨캣 | ||||||
2001겨울 | 1/6 | 준우승 | 10 | 8 | 2 | 0.800 |
2001여름 | 1/6 | 우승 | 25 | 19 | 6 | 0.760 |
2002겨울 | 2/6 | 우승 | 25 | 15 | 10 | 0.600 |
2002여름 | 4/6 | 4위 | 15 | 8 | 7 | 0.533 |
2003겨울 | 4/6 | 4위 | 20 | 9 | 11 | 0.450 |
2003여름 | 2/6 | 2위 | 20 | 12 | 8 | 0.600 |
2004겨울 | 6/6 | 6위 | 20 | 3 | 17 | 0.150 |
2005겨울 | 5/6 | 5위 | 20 | 8 | 12 | 0.400 |
2005여름 | 6/6 | 6위 | 20 | 3 | 17 | 0.150 |
2006겨울 | 6/6 | 6위 | 20 | 4 | 16 | 0.200 |
부천 신세계 쿨캣 | ||||||
2006여름 | 5/6 | 5위 | 15 | 7 | 8 | 0.467 |
2007겨울 | 4/6 | 4위 | 20 | 8 | 12 | 0.400 |
07-08 | 6/6 | 6위 | 35 | 10 | 25 | 0.286 |
08-09 | 4/6 | 4위 | 40 | 21 | 19 | 0.525 |
09-10 | 5/6 | 5위 | 40 | 17 | 23 | 0.425 |
10-11 | 4/6 | 4위 | 35 | 18 | 17 | 0.514 |
11-12 | 5/6 | 5위 | 40 | 16 | 24 | 0.400 |
부천 하나외환 | ||||||
12-13 | 5/6 | 5위 | 35 | 14 | 21 | 0.400 |
13-14 | 6/6 | 6위 | 35 | 8 | 27 | 0.229 |
14-15 | 5/6 | 6위 | 35 | 13 | 22 | 0.371 |
부천 KEB하나은행 | ||||||
|
6/6 |
|
35 | 0 | 35 | 0.000 |
16-17 | 6/6 | 6위 | 35 | 13 | 22 | 0.371 |
17-18 | 5/6 | 5위 | 35 | 12 | 23 | 0.343 |
18-19 | 5/6 | 5위 | 35 | 12 | 23 | 0.343 |
19-20 | 3/6 | 3위 | 27 | 11 | 16 | 0.407 |
부천 하나원큐 | ||||||
20-21 | 5/6 | 5위 | 30 | 11 | 19 | 0.367 |
21-22 | 6/6 | 6위 | 30 | 5 | 25 | 0.167 |
- 신세계에서 하나외환으로 팀명이 바뀐 후 2015-16시즌에서 20승 15패로 2위를 기록해 처음으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첼시 리 사태로 인해 전 경기 몰수패 처리 되었다.
- 2016-17시즌은 KDB생명과 13승 22패로 동률을 이루었으나 KDB생명과의 상대전적에서 밀려 최하위로 밀려났다.
-
2019-20시즌은 3위로 기록상으로 9시즌만에 플레이오프 진출을 이뤄냈지만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플레이오프 미개최로 실질적으로 플레이오프를 치루지는 못했다.
운도 지지리도 없는 팀 - 2020-21시즌은 초반 부진으로 일찍 플레이오프 탈락을 확정했음에도 마지막 6라운드에서 5연승하며 2014-15시즌 이후 6년 만에 5연승 및 시즌 전 구단 상대 승리를 기록했다. (2015-16시즌 첼시 리 사태로 5연승 기록 삭제)
3.1. 역대 챔피언 결정전 기록
시즌 | 결과 | 감독 | MVP | 상대팀 |
1998 여름(원년) | 1승 2패 준우승 | 이문규 | - | 삼성생명 비추미 |
1999 겨울 | 2승 0패 우승 | 이문규 | - | 우리은행 한새 |
2000 여름 | 2승 0패 우승 | 이문규 | - | 신한은행 에스버드 |
2001 여름 | 3승 2패 우승 | 이문규 | - | 안산 신한은행 에스버드 |
2002 겨울 | 3승 2패 우승 | 이문규 | - | 천안 국민은행 세이버스 |
|
|
|
박혜진 | 춘천 우리은행 한새 |
- KDB생명-OK저축은행- BNK 썸을 제외한 전 구단을 챔피언결정전에서 만난 경험이 있다.
- 챔피언 결정전 MVP 제도가 하필이면 2002년 여름리그부터 실행되었기 때문에 딱 그 시즌부터 챔결에 못나갔던 신세계/하나은행은 아직 MVP가 없다(...).
- 첼시 리 사태로 인해 2015-16 시즌 준우승 기록이 취소되었다.
4. 비판 및 사건사고
4.1. 첼시 리 공문서 위조 사건
2015-2016시즌 프리시즌 하나은행이 첼시 리를 데려오면서 사건이 시작되었다. 해당 선수는 한국계 혼혈선수라고 뉴스에 보도되었다. 이런 관심속의 하나은행은 20승15패로 2위를 기록하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첼시 리는 6관왕을 탔다. 그리고 KB스타즈를 플레이오프에서 제압하고 창단 처음으로 챔프전 진출에 성공했다. 그리고 팀은 아쉽게도 준우승에 그쳤다. 그리고..국가대표 선발 과정에서 첼시 리의 공문서 위변조 논란이 일어났다. 그리고 검찰의 중간조사 결과 WkBL과 법무부에 제출한 공문서 3개 중 2개가 가짜라는 것이 밝혀졌다. 게다가 첼시 리는 공문서 위조 논란에 매우 뻔뻔했다.
결국 2015~2016시즌 하나은행은 준우승 박탈, 전 경기 몰수패, 준우승 상금 반환 처분이 떨어졌고 당시 팀 감독을 맡던 장승철 구단주와 박종천 감독이 동반 사퇴했다. 거기에 2016년 신인드래프트에서도 1, 2라운드 모두 6순위가 되어 박지수를 지명할 수 있는 기회마저 날렸다.[8] 첼시 리는 사실상 이 시즌 하나원큐가 입은 모든 피해를 끼쳤다.
5. 역대 감독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298377><tablebgcolor=#298377>
|
부천 하나원큐 역대 감독 (광주/부천 신세계 시절 포함)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20272c,#d3dade |
|||||
<rowcolor=#fff> 1대 | 2대 | 3대 | 4대 | ||
이문규
(1998~2003) ☆ ★ ★ ★ ★ |
김윤호
(2003~2006) |
감독대행 정인교 (2006) |
정인교
(2006~2012) |
조동기
(2012~2014) |
|
<rowcolor=#fff> 5대
|
6대 | 7대 | 8대 | ||
박종천
(2014~2016) |
감독대행 이환우 (2016~2017) |
이환우
(2017~2019) |
이훈재
(2019~2022) |
김도완
(2022~) |
6. 선수단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298377>
|
부천 하나원큐 2022-23 시즌 선수단 |
{{{#!wiki style="color:#FFFFFF;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ed527a; margin: -6px -1px" |
코칭스태프 |
감독
김도완 · 수석코치
이한권 · 코치
이시준 ·
허윤자
|
지원스태프 |
매니저 김다미 · 장유영 · 통역 이유진 · 트레이너 염은식 · 백수종 · 임민주
|
|
가드 | 0 박소희 · 1 신지현 · 2 고서연 · 3 정예림 · 5 이채은ㆍ8 김지영 · 21 김애나 | |
포워드 | 4 이다현 · 9 최민주 · 10 김미연 · 11 김예진 · 12 서예원 · 17 박진영 | |
센터 |
7
김하나 · 13
양인영 [[주장| C ]] · 23
이하은 · 29
이정현
|
7. 응원단
2022-23 시즌 부천 하나원큐 응원단 | |
응원단장 | 송종민 |
장내 아나운서 | 김영호 |
치어리더 |
김한나,
정가예,
유수아,
박신비, 변하율, 김민기, 유세빈, 천소윤, 염세빈 |
8. 여담
- 원 연고지는 광주광역시였다. 2006년 지금의 경기도 부천시로 연고지를 옮겼다. KBL의 절반이 그러하듯 이 팀도 과거 신세계 시절의 기록은 남아 있지 않고 하나은행 시절만 인정하는 듯 하다. 일단 웹 사이트에 팀 연혁자체가 없으며 팀 순위 부분에서 정확히 하나외환 시절부터만 기록되어있다.
- 팀 창단 과정에서 태평양화학 선수에 한국화장품 선수단에서 해체된 선수 4명을 추가로 받았다. 화장품 라이벌로 대결을 펼치던 선수들이 한날 갑자기 한솥밥을 먹게 된 셈이다.
- 1997년 12월에 해체한 외환은행 여자농구단 이후 외환은행은 자행의 이름이 들어간 농구단을 창단하게 되었다. 비록 계승한 팀은 다르지만. 여담으로 하나은행과 합병한 서울은행도 1998년 2월에 해체하기 전까지 서울은행 여자농구단을 운영한 적이 있다.
- 홈구장인 부천실내체육관은 청주 KB 스타즈의 청주실내체육관,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의 인천도원체육관, 아산 우리은행 우리WON의 아산이순신체육관과 더불어서 WKBL에서 3,000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구장이다.
- 리그 창설 후 연이은 우승으로 V4를 기록하면서, WKBL 초창기 리그 강자였다. 허나 2003년 이문규 감독의 사임 이후 팀이 무너지기 시작했고 다시 챔피언 결정전으로 돌아오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다. 그리고 그마저도 전 경기가 몰수패 처리되며 공식적으로는 2003년 이후 한 번도 챔피언결정전에 진출하지 못한 팀이 되고 말았다.
- 유니폼 색상이 자주 바뀌는 팀이다. 신세계 시절에는 검정핀스트라이프 유니폼을 사용했고, 하나은행이 인수한 후, 핑크색-하늘색-청록색 순으로 유니폼 색깔이 바뀌었다.
- 하나외환 여자농구단으로 바꾸면서 엠블럼이 디트로이트 피스톤스와 유시하다는 지적이 있었지만 정작 디트로이트는 그 해에 엠블럼을 교체했다. KEB하나의 엠블럼 디트로이트 피스톤스의 엠블럼 이후 하나원큐 여자농구단으로 이름을 바꿀 떼 새로운 로고를 만들어서 상관없는 일이 되었다.
- 2015-16시즌부터 경기장 내에 구단 상품 매점이 생겼다. 싸인볼, 모자, 보틀 등을 판매하고 있다. 현금만 가능.
- 청라국제도시에 데이터센터 및 연수원 등과 함께 하나금융타운이 들어서면서 용인에 있었던 클럽하우스 역시 연고지와 더 가까운 청라 하나금융타운으로 이전했다. 청라 클럽하우스 인근에 스타필드 청라 건립이 예정돼 있어 공교롭게도 하나원큐의 전신인 신세계 쿨캣의 모기업 시설과 마주하게 됐다.
- WKBL 6개 구단 중 챔피언결정전 진출 실패 및[9] 최장기간 우승을 못하고 있다. 이는 2002 겨울리그 이후 18년째다. 플레이오프 진출도 10-11시즌이 마지막이다.
- 2020년 1월 모기업 KEB하나은행이 행명을 하나은행으로 변경할 것이라 밝히면서 구단명 또한 시즌 종료 후 변경될 것으로 보였으나, 마침 한 달의 휴식기가 주어져 시즌 도중에 교체했고, 명칭 공모전을 통해 4개월 뒤 하나원큐라는 팀명으로 다시 변경했다.
-
하나은행을 후원하는 SK 스포츠단 내
서울 SK 나이츠와 상당한 평행이론이 있다. 팀의 김지영 선수는 김선형 선수에 대한 애정을 드러냈다. 추가로 장내아나운서와 치어리더 또한 서울 SK 나이츠와 같다.
- 등번호 6번이 비공식 결번이다. 부상을 자주 당하는 번호라서 15-16시즌의 신지현 이후로 아무도 달지 않는다.
9. 둘러보기
하나금융그룹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계열사 |
하나금융지주 | 하나은행 | 하나카드 | 하나증권 | 하나생명 | 하나손해보험 | 하나캐피탈 | 하나저축은행 | 하나자산신탁 |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 | 하나벤처스 | 하나펀드서비스 | 핀크 | 하나UBS자산운용 | 하나F&I | 인도네시아 KEB하나은행 | |
소프트웨어 | |
하나금융TI | |
사회공헌 | |
하나금융공익재단 | 하나미소금융재단 | 하나금융나눔재단 | |
스포츠단 | |
부천 하나원큐 | 대전 하나 시티즌 | 하나금융그룹 골프단 | |
교육 | |
하나고등학교 |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 | <tablebordercolor=#0c489d><tablewidth=300><tablebgcolor=#0c489d>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
K리그2 | |||
|
|
|
|
|
김포 FC | 부천 FC 1995 | 성남 FC | 안산 그리너스 | |
K리그2 | KBL | WKBL | ||
|
|
|
|
|
FC 안양 | 고양 캐롯 점퍼스 | 안양 KGC인삼공사 |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 |
WKBL | V-리그 남자부 | V-리그 여자부 | ||
|
|
|
|
|
부천 하나원큐 | 안산 OK금융그룹 읏맨 | 의정부 KB손해보험 스타즈 | 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 | |
경기도 연고 아마추어 구단 보기 | 경기도 연고 세미프로 구단 보기 | |||
수원시 연고 프로 구단 보기 |
[1]
전신격인
태평양화학-태평양까지 포함하면 1977년이다.
[2]
하나은행 인수 이후 정식 구단명에 연고지명을 포함한 적이 없다.
[3]
은행장이 당연직으로 겸임한다.
[4]
초기에는 광주염주체육관(현
페퍼스타디움)을 잠시 이용하기도 했다.
[5]
홈구장인 부천체육관을 코로나19 백신 접종 센터로 활용함에 따라 2021년 10월부터 12월 9일까지의 홈경기는 클럽하우스 내의 하나원큐 청라체육관에서 개최했다.
[6]
단 공식적으로는 신세계 시절부터 역사를 인정하며 태평양 시절 역사는 이어받지 않았다.
[7]
하나외환 여자농구단, KEB하나은행 여자농구단, 하나은행 여자농구단, 하나원큐 여자농구단 순으로 역사가 이어오고 있다.
[8]
당시 드랩은 챔피언전 우승해도 약 4%의 확률이 있었고 하나도 징계로 인해 드랩 순위가 밀리지 않았다면 9%의 확률이 있었다.
[9]
15-16시즌 기록 무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