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0 19:11:41

밀란 보르얀

파일:FK 츠르베나 즈베즈다 로고.svg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2024-25 시즌 스쿼드
1 포포비치 · 3 데게네크 · 4 이바니치 · 5 스파이치 · 7 슬리비치 · 8 캉가 9 은디아예
10 카타이 · 14 올라인카 · [[알렉산다르 드라고비치|15 드라고비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1a76a; font-size: .8em"]] · 17 크라소 · 18 글레이저 · 19 밀루노비치
22 미야토비치 · 23 로디치 · 24 지가 · 27 드라슈키치 · 29 라도예비치 · 31 스렘체비치
33 미야일로비치 · 37 루치치 · 40 미툴리키치 · 41 크네제비치 · 45 밀코사블례비치 · 45 미툴리키치
55 막시모비치 · 66 황인범 · 70 미모비치 · 76 니콜리치 · 77 구테샤 · # 아난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블라단 밀로예비치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본래 스쿼드에서 타 구단으로 임대 간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밀란 보르얀의 역임 직책
{{{#!folding ▼
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 주장
애티바 허친슨
(2018~2023)
밀란 보르얀
(2023~2024)
알폰소 데이비스
(2024~)
}}} ||
파일:M.Borjan_Profile.jpg
<colbgcolor=#d90512><colcolor=#fff>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No. -
밀란 보르얀
Milan Borjan | Милан Борјан
출생 1987년 10월 23일 ([age(1987-10-23)]세)
유고슬라비아SFR 크로아티아SR 크닌
국적
[[캐나다|]][[틀:국기|]][[틀:국기|]]
|
[[세르비아|]][[틀:국기|]][[틀:국기|]]
신체 196cm / 체중 84kg
포지션 골키퍼
주발 오른발
소속 <colbgcolor=#d90512><colcolor=#fff> 유스 HNK 디나라 크닌
FK 라드니치키 주고테롤
마운트 해밀턴 FC
클루브 나시오날 데 풋볼 몬테비데오 (2006)
선수 킬메스 AC (2008)
FK 라드 (2009~2011)
시바스스포르 (2011~2014)
CS 스포르팅 바슬루이 (2012 / 임대)
PFC 루도고레츠 라즈그라드 (2014)
FK 라드니치키 니시 (2015)
PFC 루도고레츠 라즈그라드 (2015~2017)
코로나 키엘체 (2017 / 임대)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2017~ )
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2023~2024 / 임대)
국가대표 파일: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80경기[1] ( 캐나다 / 2010~ )

1. 개요2. 클럽 경력
2.1. 경력 초기2.2. FK 라드2.3. 시바스스포르
2.3.1. CS 스포르팅 바슬루이 (임대)
2.4. PFC 루도고레츠 라즈그라드2.5. FK 라드니치키 나시2.6. 루도고레츠로 리턴
2.6.1. 코로나 키엘체 (임대)
2.7.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캐나다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소속 축구선수. 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전 골키퍼로 활약 중이다.

2. 클럽 경력

2.1. 경력 초기

1987년, 유고슬라비아 크닌에서 태어난 보르얀은 유고 내전을 피해 2000년에 온 가족이 캐나다로 이주한 뒤 온타리오 주 해밀턴에 정착했다. 그리고 지역팀 마운트 해밀턴에서 선수 생활을 지속하게 된다.

이후 CA 보카 주니어스의 트라이얼에 참가했으나 탈락했고, 2006년, 클루브 나시오날 데 풋볼 몬테비데오 유스팀에 입단했다. 1년 뒤에는 리버 플레이트 트라이얼에 참가했으나 마찬가지로 탈락했다. 그리고 킬메스 AC를 끝으로 남미에서의 생활을 마무리한다.

2.2. FK 라드

2009년 1월, 그는 세르비아로 돌아가 1부리그 팀인 FK 라드에 입단했다. 초반에는 입지에 어려움을 겪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주전 골키퍼로 올라섰고, 2010-11 시즌에는 소속팀이 4위를 기록하여 UEFA 유로파 리그 예선 진출권을 확보하는데 기여했다.

2.3. 시바스스포르

2011년 CONCACAF 골드컵에 출전한 후 터키 클럽인 시바스스포르로 이적했다. 첫 시즌에는 서브 키퍼에 머물다가 바슬루이 임대 복귀 후 두번째 시즌부터 주전 골키퍼로 활약하게 된다.

그러나 다음 시즌부터는 새로운 감독인 호베르투 카를루스에게 외면을 받으면서 후보로 밀려났다.

2.3.1. CS 스포르팅 바슬루이 (임대)

보르얀은 터키에서의 경기 시간 부족으로 시즌이 끝날 때까지 루마니아 클럽인 SC 바슬루이로 임대되었으며, 비공개 이적료로 선수를 구매할 수 있는 옵션이 포함되어 있었다. 팀에 합류한 그는 곧바로 주전 골키퍼로 활약했고, 16번의 선발 등판에서 7번의 클린시트를 기록했다. 덕분에 바슬루이는 UEFA 챔피언스리그 진출권을 확보했다.

2.4. PFC 루도고레츠 라즈그라드

2014년 9월 12일, 불가리아 클럽 PFC 루도고레츠 라즈그라드로 이적했다.

계약 후 4일만에 리버풀 FC와의 챔피언스리그 조별라운드 원정 경기에 선발 출전하여 데뷔전을 치렀으며, 결과는 1:2로 패했다. 이 경기는 2007년 캐나다의 골키퍼인 라스 허쉬펠트가 로센보르그 BK 소속으로 챔스 본선경기에 출전한 이후 7년만에 캐나다 국가대표 선수가 출전한 경기였다.

2.5. FK 라드니치키 나시

2015년 2월 15일, 세르비아 수페르리가 클럽 FK 라드니치키 니시와 1년 계약을 체결했다. 데뷔전 이후 3경기 연속 무실점을 기록하는 등 훌륭한 퍼포먼스를 보여주었고, 15경기 출전으로 시즌을 마무리했다.

2.6. 루도고레츠로 리턴

보르얀은 라드니치키와의 복귀 계약을 거절하고, 2015년 6월 2일에 루도고레츠로 복귀하여 3년 계약을 체결했다.

블라디슬라프 스토야노프에 이은 서브 키퍼로 계약했으나, 그의 부상으로 잠시 선발로 나서기도 했다.

2.6.1. 코로나 키엘체 (임대)

2017년 2월 15일, 폴란드 엑스트라클라사의 코로나 키엘체와 잔여 시즌까지 임대계약을 채결했다. 그리고 후반기동안 14경기에 나서 5개의 클린시트를 기록하며 후방을 든든히 수호했다.

2.7.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3년간 레드 스타 베오그라드로의 이적설이 따라다녔었고, 마침내 2017년 7월 24일에 클럽과 3년 계약을 채결하는데 성공했다.

그리고 첫 시즌부터 주전으로 자리잡은 이후로 현재까지 굳건히 자리를 유지하고 있으며, 2019년에는 클럽 올해의 선수에 선정되는 영예를 누리기도 했다. 또한 소속팀도 그가 있는 동안 2017–18, 2018–19, 2019–20, 2020–21 시즌 4연속 리그 타이틀과 2020-21 시즌 리그 컵 우승을 달성하는 등 성공가도를 달리고 있다.

2020-21 시즌부터는 기존의 주장이었던 마르코 마린이 팀을 떠나게 되면서 새로운 주장으로 선임되었다.

2022년 7월 27일, 2026년까지 계약을 연장했다. #

2.7.1. 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임대)

2023년 6월, 보르얀은 Sportski žurnal와의 인터뷰에서 새로 부임한 바라크 바하르 감독으로부터 자신을 구상에서 제외한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밝히면서 다가오는 여름 이적시장에 팀을 떠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7월 1일, 슬로반 브라티슬라바로 한 시즌 임대되었다.

2024년 5월 17일, 츠르베나 즈베즈다로 복귀하였다.

3. 국가대표 경력

2010년, FK 라드에서 준수한 활약을 보여주던 보르얀은 캐나다 대표팀에 처음 소집되었다.

2011년 2월 3일, 캐나다 대표팀에 차출되어 일주일 후 그리스와의 친선경기를 통해 데뷔전을 치렀다.

그 해 여름, 그는 2011년 CONCACAF 골드컵 최종 명단에 부름을 받았고, 6월 11일 레이몬드 제임스 스타디움에서 열린 과들루프와의 경기를 통해 골드컵 무대에 데뷔했다. 이후에도 2013, 2017, 2019년 대회까지 총 4차례 골드컵에 참가하였다.

2012년 6월 13일, 그는 주전 골키퍼였던 라스 허쉬펠트가 5일전 쿠바와의 예선전에서 퇴장을 당하면서 온두라스와의 2014 FIFA 월드컵 예선전을 통해 선발 기회를 잡을 수 있었고, 90분동안 안정적인 모습으로 0:0 무승부를 이끌며 경기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그리고 이후 2012년 말부터는 캐나다의 주전 골키퍼로 낙점됐다.

2015년 6월 11일, 도미니카와의 러시아 월드컵 지역예선 경기에서 줄리안 데구즈만의 실수로 박스 밖에서 공을 손으로 처리하면서 캐나다 국가대표 소속으로는 처음으로 레드카드를 받기도 했다.

2022 FIFA 카타르 월드컵 최종예선 기간동안 매 경기 안정적으로 골문을 지키며 팀이 선두를 유지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그 덕에 2022년 1월에는 이 달의 캐나다 국가대표 선수에 선정되기도 했다.

본선 조별리그 2차전에선 자신의 고향인 크로아티아를 상대했는데, 그가 세르비아 이중국적인데다가 세르비아 리그에서 뛰고 있었기 때문에 크로아티아 응원단은 보르얀을 배신자로 낙인찍고 경기 내내 온갖 혐오발언과 비하 현수막을 동원했으며, 심지어 그 악명높은 우스타샤를 외치기도 했다. ##

2패로 탈락이 확정된 조별리그 3차전에서도 주전 골키퍼로 나섰지만, 어이없는 실수로 이른 시간에 선제골을 내주어 패배의 원흉이 되었다. 전반 4분 캐나다 박스 쪽으로 온 공을 처리하기 위해 골대에서 멀리 뛰어나가 공을 걷어찬 것이 하킴 지예흐에게 정확히 전달되었고, 이것이 보르얀의 키를 넘기는 칩샷으로 이어져 골이 되었다.

4. 플레이 스타일

2m에 가까운 피지컬과 긴 팔을 보유하고 있고, 반사신경도 뛰어나서 박스 안에서 동물적인 선방을 자주 보여준다. 특히 중거리슛이나 프리킥, 크로스 등 멀리서 오는 볼을 잘 처리하는 편. 킥력이나 패싱력도 준수해서 빌드업도 잘하는 편.

다만, 볼 처리 시에 펀칭을 주로 하는데, 이로 인해 세컨볼을 내주는 경우가 종종 있다.

5. 둘러보기

파일:FK 츠르베나 즈베즈다 로고.svg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2024-25 시즌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2024-25 시즌 스쿼드
번호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포지션 국적 비고
1 조란 포포비치 Zoran Popović GK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2 코스타 네벨코비치 Kosta Nedeljković DF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3 밀로시 데게네크 Miloš Degenek DF 파일:호주 국기.svg
4 미르코 이바니치 Mirko Ivanic MF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5 우로시 스파이치 Uroš Spajić DF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6 마르코 스타메닉 Marko Stamenić MF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7 요반 슬리비치 Jovan Šljivić MF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8 겔로르 캉가 Guélor Kanga MF 파일:가봉 국기.svg
9 셰리프 은디아예 Cherif Ndiaye FW 파일:세네갈 국기.svg
10 알렉산다르 카타이 Aleksandar Katai MF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13 알렉스 비고 Alex Vigo DF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A]
14 피터 올라인카 Peter Olayinka FW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15 알렉산다르 드라고비치 Aleksandar Dragović DF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주장
17 장필리프 크라소 Jean-Philippe Krasso FW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18 옴리 글레이저 Omri Glazer GK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19 네마냐 밀루노비치 Nemanja Milunović DF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20 킹스 캉와 Kings Kangwa MF 파일:잠비아 국기.svg
21 에드먼드 아도 Edmund Addo MF 파일:가나 국기.svg
22 요반 미야토비치 Jovan Mijatović FW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23 밀란 로디치 Milan Rodić DF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24 나세르 지가 Nasser Djiga DF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B]
25 니콜라 바실예비치 Nikola Vasiljević GK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33 스르쟌 미야일로비치 Srđan Mijailović MF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37 블라디미르 루치치 Vladimir Lučić MF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41 니콜라 크네제비치 Nikola Knežević MF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45 니콜라 미툴리키치 Nikola Mituljikić MF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55 안드리야 막시모비치 Andrija Maksimović MF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66 황인범 Hwang In-Beom MF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0 우로시 카비치 Uroš Kabić MF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77 라자르 니콜리치 Lazar Nikolić DF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80 스테판 미트로비치 Stefan Mitrović MF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 에베네제르 아난 Ebenezer Annan DF 파일:가나 국기.svg
<colbgcolor=#ffffff> 구단 정보
구단주: 스베토자르 미야일로비치 / 감독: 블라단 밀로예비치 / 홈 구장: 스타디온 라이코 미티치
출처: 공식 홈페이지 /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9월 16일

[A] CA 리버 플레이트에서 임대 [B] FC 바젤에서 임대
}}}}}}}}} ||

파일: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 스쿼드
{{{#!wiki style="color:#ffffff;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000000,#ffffff
<rowcolor=#ffffff>포지션 등번호 이름 생년월일 출장 소속 클럽
GK 1 데인 세인트클레어
(Dayne St. Clair)
1997년 5월 9일 ([age(1997-05-09)]세) 5 0 파일:미국 국기.svg 미네소타 유나이티드 FC
16 막심 크레포
(Maxime Crépeau)
1994년 5월 11일 ([age(1994-05-11)]세) 17 0 파일:미국 국기.svg 포틀랜드 팀버스
18 톰 맥길
(Tom McGill)
2000년 3월 25일 ([age(2000-03-25)]세) 0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DF 2 앨리스테어 존스턴
(Alistair Johnston)
1998년 8월 8일 ([age(1998-08-08)]세) 42 1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셀틱 FC
3 뤽 드 푸제롤
(Luc de Fougerolles)
2005년 10월 12일 ([age(2005-10-12)]세) 1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풀럼 FC
4 카말 밀러
(Kamal Miller)
1997년 5월 16일 ([age(1997-05-16)]세) 43 0 파일:미국 국기.svg 포틀랜드 팀버스
5 카일 히버트
(Kyle Hiebert)
1997년 7월 30일 ([age(1997-07-30)]세) 2 0 파일:미국 국기.svg 세인트루이스 시티 SC
13 데릭 코넬리우스
(Derek Cornelius)
1997년 11월 25일 ([age(1997-11-25)]세) 20 0 파일:스웨덴 국기.svg 말뫼 FF
15 모이즈 봄비토
(Moïse Bombito)
2000년 3월 30일 ([age(2000-03-30)]세) 6 0 파일:미국 국기.svg 콜로라도 래피즈
19 알폰소 데이비스
(Alphonso Davies)
2000년 11월 2일 ([age(2000-11-02)]세) 47 15 파일:독일 국기.svg FC 바이에른 뮌헨
20 조엘 워터먼
(Joel Waterman)
1996년 1월 24일 ([age(1996-01-24)]세) 3 0 파일:캐나다 국기.svg CF 몽레알
22 리치 라레이아
(Richie Laryea)
1995년 1월 7일 ([age(1997-01-07)]세) 49 1 파일:캐나다 국기.svg 토론토 FC
26 알리 아메드
(Ali Ahmed)
2000년 10월 10일 ([age(2000-10-10)]세) 4 0 파일:캐나다 국기.svg 밴쿠버 화이트캡스 FC
MF 6 사뮈엘 피에트
(Samuel Piette)
1994년 11월 12일 ([age(1994-11-12)]세) 69 0 파일:캐나다 국기.svg CF 몽레알
7 스테픈 유스타키오
(Stephen Eustáquio)
1996년 12월 21일 ([age(1996-12-21)]세) 37 4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FC 포르투
8 이스마엘 코네
(Ismaël Koné)
2002년 6월 16일 ([age(2002-06-16)]세) 19 2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왓포드 FC
21 조너선 오소리오
(Jonathan Osorio)
1992년 6월 12일 ([age(1992-06-12)]세) 72 9 파일:캐나다 국기.svg 토론토 FC
24 마티외 슈아니에르
(Mathieu Choinière)
1999년 2월 7일 ([age(1999-02-07)]세) 3 0 파일:캐나다 국기.svg CF 몽레알
FW 9 카일 래린
(Cyle Larin)
1995년 4월 17일 ([age(1995-04-17)]세) 68 29 파일:스페인 국기.svg RCD 마요르카
10 조너선 데이비드
(Jonathan David)
2000년 1월 14일 ([age(2000-01-14)]세) 48 26 파일:프랑스 국기.svg LOSC 릴
11 시오 베어
(Theo Bair)
1999년 8월 27일 ([age(1999-08-27)]세) 2 1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머더웰 FC
12 제이센 러셀로우
(Jacen Russell-Rowe)
2002년 9월 13일 ([age(2002-09-13)]세) 5 0 파일:미국 국기.svg 콜럼버스 크루
14 제이콥 샤펠버그
(Jacob Shaffelburg)
1999년 11월 26일 ([age(1999-11-26)]세) 10 2 파일:미국 국기.svg 내슈빌 SC
17 테이존 뷰캐넌
(Tajon Buchanan)
1999년 2월 8일 ([age(1999-02-08)]세) 38 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23 리암 밀러
(Liam Millar)
1999년 9월 27일 ([age(1999-09-27)]세) 26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프레스턴 노스 엔드 FC
25 타니 올루와시
(Tani Oluwaseyi)
2000년 5월 15일 ([age(2000-05-15)]세) 1 0 파일:미국 국기.svg 미네소타 유나이티드 FC
일정 2024 코파 아메리카 미국 2024년 6월 21일(금) 중립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2024년 6월 26일(수)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2024년 6월 30일(일)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6월 17일
}}}}}}}}}}}} ||


파일:나이키 로고 화이트.svg 파일: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Canada men's national soccer team
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 최종 명단)
1 St.클레어 · 2 존스턴 · 3 아데커비 · 4 밀러 · 5 비토리아 · 6 피에트 · 7 유스타키오 · 8 프레이저 · 9 카발리니
10 호일렛 · 11 뷰캐넌 · 12 우그보 · 13 허친슨 · 14 케이 · 15 코네 · 16 판테미스 · 17 래린 · 18 보르얀
19 데이비스 · 20 J.데이비드 · 21 오소리오 · 22 라레이아 · 23 밀러 · 24 워더스푼 · 25 코넬리우스 · 26 워터먼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존 허드먼




[1] 2023년 11월 22일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