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8 15:00:09

맥라렌 765LT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맥라렌 720S
,
,
,
,
,
파일:맥라렌로고.svg
파일:2021-McLaren-765LT-016-1080.jpg
파일:McLaren_765LT_Badge_CMYK.png

1. 개요2. 상세3. 공식 제원4. 765LT 스파이더5. 둘러보기

1. 개요

파일:765lt전.jpg
파일:765lt후.jpg
전면 후면
맥라렌의 2세대 슈퍼 시리즈 모델이자, 720S의 고성능 버전이다.

2. 상세

영원히 기억될 차
모트라인

2020년 3월에 공개된 720S의 고성능 바리에이션. 이름에 걸맞게 765대 한정 생산되며 출력도 765마력으로 증가하였다. 이 출력 상승을 위해 세나에서 사용되는 3중 접합 헤드 가스켓과 단조 알루미늄 피스톤, 용량이 더 커진 연료 펌프 시스템을 장착했다.

최고 속도는 720S의 341 km/h 보다 낮아진 330 km/h인데 더 많은 다운 포스를 만들기 위해 더 커진 에어로 파츠들 때문에 공기 저항이 더 커진 탓이다. 대신 제로백은 기존의 2.9초 보다도 빨라진 2.8초 인데, 기존 720S 보다 80kg를 덜어내고, 출력을 높였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피렐리 P 제로가 기본으로 사용되며, 트로페오 R 타이어[1]를 옵션으로 선택 가능하다. 제동 쪽으로 보면 무려 맥라렌 세나에 들어간 브레이크 시스템을 장착할 수 있다. 기존 720S보다 가벼운 스프링이 적용된 서스펜션이 장착되어 지상고가 5mm 낮아졌다. 이 서스펜션에는 헬퍼라는 부품이 들어가 있는데 업그레이드된 섀시 컨트롤을 위한 핵심 부품이라고 한다.

에어로 파츠도 더욱 강화되어 기존 720S의 다운포스보다 25% 늘었다.

1/4마일[2][email protected]로 돌파하는 어마무시한 기록을 세웠다. #[3]

페라리 SF90 스트라달레[4]와의 레이스에서 드래그는 SF90의 전기 파워트레인에 의해 다소 밀리고, 롤링에서는 거의 맞먹거나 근소하게 앞서는 엄청난 성능을 보여준다. # 출력이 떨어지긴 하나 무게에서 큰 이점을 본 듯 하다.[5] 또한 720S 베이스 아니랄까봐 출력 대비 매우 우수한 중후반 가속력은 덤.[6]
일반적인 차동장치가 아닌 브레이크를 기반으로 하는 특이한 차동장치가 들어간다.

이름의 LT와는 달리 차체 후미가 아닌 노즈 부분이 연장되었다. 맥라렌의 롱테일 모델 중 최초 사례이다.

2021년 2월 2일 강남구 대치동 쇼룸에 전시되었다.

3. 공식 제원

765LT
최초생산년도 2020년(쿠페), 2021년(스파이더)
이전 세대 모델 675LT
제조국가 및 제조사 영국, 맥라렌
차량가격 375,000~382,500달러[7]
엔진 맥라렌 M840T
엔진형식 4.0L V8 트윈터보
배기량 3,994cc
연료 고급 휘발유
최고출력 765PS
최대토크 81.6kg.m
미션형식 7단 시퀀셜 DCT
구동방식 MR
전륜타이어 245/35/19
후륜타이어 305/30/20
전륜 서스펜션 더블 위시본
후륜 서스펜션 더블 위시본
전륜 브레이크 V디스크
후륜 브레이크 V디스크
0→100km/h 가속 2.8초
0→200km/h 가속 7초(쿠페), 7.2초(스파이더)
0→300km/h 가속 -
0→400m 주파 시간 9.9초(쿠페), 10초(스파이더)
최고속도 330km/h
연료탱크 용량 72L
연비 100km 당 14.9 리터
탄소 배출량(WLTP) 280g/km
승차인원 2명
전장[8] 4,600mm
전폭 2,045mm
전고 1,159mm(쿠페), 1,192mm(스파이더)
축거 2,670mm
DIN 공차중량[9] 1,339kg(쿠페), 1,388kg(스파이더)
트렁크 용량 -
생산모델 쿠페, 스파이더
출처

4. 765LT 스파이더

파일:맥라렌 765LT 스파이더_(1).jpg 파일:맥라렌 765LT 스파이더_(2).jpg
전면 후면

765LT의 컨버터블 모델. 2021년 공개되었다.

F1에서 맥라렌 F1 팀의 자사 소속 레이싱 드라이버로 활동 중인 랜도 노리스가 위 스파이더 모델을 소유하고 있다. https://url.kr/3saiup

대한민국에는 약 20대 가량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분류 생산 차량 단종 차량
<colbgcolor=#ff9700,#191919> 그랜드 투어러 GTS -
스포츠 시리즈 아투라 540C · 570S · 570GT · 600LT · 620R
슈퍼 시리즈 750S 720S · 765LT · 650S · 675LT
코어 시리즈 - 12C · 12C HS
얼티밋 시리즈 스피드테일 · 세나 GTR · 엘바 P1 · P1 GTR · 세나 · 세이버
기타 모델 솔루스 GT(출시 예정) SLR · F1 · M6GT
}}}}}}}}} ||




[1] 세미슬릭 타이어로, 당시 피렐리의 로드고잉 타이어 중 가장 하드코어하다. [2] 약 400m, 쿼터마일 [3] TOYO 888R 타이어로 달린 기록은 [email protected] [4] 하이브리드 차량이며, 합산 1,000마력의 출력을 보여준다. [5] 건조중량 기준 341Kg 정도 가볍고 235마력 정도 출력이 낮다. 가솔린 엔진으로만 따지면 SF90이 15마력 정도 높다. [6] 사실 P1도 그렇고 맥라렌이 특유의 고속 영역 중심의 세팅을 잘 한다. [7] 쿠페 5억 1,975만원 스파이더 5억 3,014만원 [8] 720S 750S보다 56mm 더 길다. [9] 독일식 무게 기준으로, 건조중량 + 휘발유 90%를 주유했을 때의 무게다. [10] 이에 반해 쿠페는 약 10대 정도 있다고 한다. 쿠페보다 스파이더가 인기가 많은 대한민국의 분위기를 반영한 듯 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2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26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