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전적 의미
자세한 내용은 매직 아이 문서 참고하십시오.2. 이경규의 개인기
눈동자를 빠른 속도로 좌우로 빙글빙글 돌리는 이경규의 유명한 개인기이다. 이경규가 주로 MBC 희극인실 코미디프로[1]의 조연 역할로 나오던 1980년대 중반, 이경규가 내보낼 장기[2]가 다 떨어지면 최후에 터뜨리는 한 방 같은 것이었다. 이 개인기로 찍은 광고까지 있었는데 바로 삼양식품의 짜장라면인 짜짜로니 광고다. 짜짜로니 광고는 이경규 특유의 "자연즈럽게~"란 광고카피로 더 유명하긴 했지만 이 광고영상에서는 어쨌든 눈알을 굴려가며 눈빛으로 당근을 썰어버린다(...)1997년 당시 한창 맹활약하던 박찬호를 만나러 이경규가 민병철 교수와 함께 LA 다저스의 홈구장 다저 스타디움을 찾았는데, 마침 취재차 와 있던 미국의 한 리포터와 인터뷰를 하게 되었다. 이경규가 자신을 '한국의 유명한 코미디언'이라고 소개하자 느닷없이 기자가 개인기를 요구하는 바람에 이 때도 'Korean Magic eye show' 쇼라면서 이것을 선보였다. 나중에 국내에 이 소식이 알려졌을 때 이경규는 "뻥치지 마라"라는 소리까지 들었다고 하며, 다행히 미국 방송에서 실제로 소개하고 일밤에서도 이를 인증하여 사실로 증명되었다. 당시 미국 진행자 曰 "방금 그 사람의 그것을 보셨습니까? 나는 못하겠어요. 하하하. 그 사람은 한국에서 제일 재미있는 개그맨입니다."
이렇게 해서 80년대 이후로 잊혀져가던 이경규의 매직 아이는 완전히 이경규를 상징하는 필살 개인기로 굳혀졌다. 다만 자주 하기는 불편한지 이 에피소드가 언급될 때라든가 아니면 정말 마지막에 서비스(?)차원으로 가끔 하는 정도가 됐다. 특히 행사를 뛰거나 대학 같은 곳에 강연을 오면 막판에 한 번 서비스로 눈알 한 번 굴려드리겠습니다 하고 군중의 막판 호응을 유도하는 데 쓰이곤 한다. 사실 1980년대 MBC 희극인실 출신 코미디언들은 다들 비슷한 노하우를 갖고 있는데 이는 80년대 MBC코미디가 희극각본 위주의 KBS와 달리 한방 개인기 위주였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예가 김정렬의 숭구리당당.
이후 딸 이예림이 아빠를 부탁해에서 매직 아이를 하자 이경규가 민망해하면서도 친히 고급기술을 전수해주기도 했다.
3. 예능 프로그램
자세한 내용은 매직 아이(SBS) 문서 참고하십시오.4. 한때 대한민국에 존재했던 팹리스 개발업체
웹 아카이브
전자기기에 들어가는 칩을 개발했던 회사다. 주로 SoC 용도의 원칩을 개발했던 팹리스 회사다. 1997년에 창업했으며 웹 아카이브가 2009년에서 한번 끊기는것으로 보아 대침체로 인해 부도났거나 다른 회사로 매각된 것으로 보인다.
의외로 잘 알려져있지 않은 회사지만, NHN(구)와 마찬가지로 삼성그룹 사내벤처에서 출발한 회사였다.[3] 그러나 후대에 미친 영향력은 천지차이로, 그 NHN이 네이버와 카카오를 잉태했던 괴력을 자랑했지만 이 회사는 거의 B2B사업 그것도 매니악한(?)분야에서만 한데다 연관된 기기도 마이너한게 많다보니 더 알려진게 없다.
대표 제품으로는 MMSP 시리즈와 Vrender 시리즈가 있었다. 의외로 아케이드 시스템 분야에서도 이 회사의 칩이 쓰였는데, 국산 아케이드 시스템중 이 회사의 Vrender 칩이 쓰인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 Vrender0는 AD Chips라는 정체불명 국내회사에서 만들어진 Zealer Board의 한일합작(?) 파생기판 크리스탈 시스템[4]에서도 사용되었고, 후속제품인 Vrender 3D는 XGP게임기와 아케이드 게임 기판에도 쓰였다. 이외에도 참고기사를 보면 몇몇 일본 파칭코기기 기판에도 이 회사의 칩이 쓰였던 것으로 보인다. XGP 게임기는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게임파크 게임기로서 마지막 불꽃을 피울 기기였으나 끝내 출시되지 못한 비운의 기기였다. 대신 이 회사의 Vrender 3D 칩은 일본 오락실 업계에서 그럭저럭 팔렸는데(?), 왜냐하면 2000년대 중후반 일본 대전 격투 게임 시장에서 컬트적인 인기를 끈 아르카나 하트 1편에 사용된 기판이 이 회사의 Vrender3D칩을 사용한 제품이었기 때문이다. 다만 스펙이 그다지 높다고 보긴 힘들었다. 그래서 2편과 3편은 다른 기판으로 판매했는데 이거 역시 인터파크게임즈에서 개발했던 한국산 기판을 사용하였다.
팹리스 회사라 사실상 B2B장사만 해왔지만, B2C가 아주 없는건 아니었다. 2002년 <엠키비키>라는 PMP제품을 출시했었기 때문이다.
보도자료에 따르면 기본은 PMP라 음악, 영상 전부 재생 가능하지만, 가장 큰 특징으로 소형 카메라가 부착되어있어 디지털 사진을 찍거나 동영상을 찍을수도 있지만, 화소는 35만 화소로 본격적인 디지털카메라와 비교하면 다소 급이 떨어졌었다. 그럼에도 스마트폰이라는게 없던 시절인데다 1세대 PMP 치고 카메라가 달려있다는 점은 차별점으로 삼기에 충분했던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현재 검색되는것에서 보도자료만 99% 검색되는것으로 보아 출시에 무슨 문제가 있었는지 극소량만 판매되고 중단된 것으로 보인다. [5]
4.1. 참고보도자료
[1]
일요일 밤의 대행진이나 마당놀이 등등. 일요일 일요일밤에에서 주병진의 사이드킥으로 앉으며 인기를 구가하기 시작한 것은 이보다 한참 후인 1990년초의 일이다.
[2]
그 당시는 개인기라는 용어가 없었다.
[3]
차이점이라면 NHN은
삼성SDS가 낳았고, 여기는
삼성전자가 낳았다.
[4]
당시 구 SNK의 임시분신이었던
브레차 소프트에서 크리스탈 시스템 기판을 설계했는데 여기에 Vrender0을 쓴 것으로 보인다
[5]
일단 보도자료가 아닌것을 검색하면 한
VAIO PDA 사용기 포스팅이 검색되는데 해당 포스팅의 저작자가 과거 엠키비키를 실기 소유했었다고 언급하는것으로 보아 극소수로 풀린 물량이 존재하기는 하는 모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