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white> 잭 세이버 주니어 | <colbgcolor=white> 마이키 니콜스 | <colbgcolor=white> 셰인 헤이스트 | |||
배드 듀드 티토 | 후지타 코세이 | 로비 이글스 | |||
오오이와 료헤이 | 하틀리 잭슨 | ||||
{{{#!folding 【 전 멤버 】 | 조나 | 슬렉스 |
|
|||
링네임 |
Mikey Whiplash[1] Mick Kerrigan Nick Miller[2] [ruby(Mikey Nicholls, ruby=マイキー・ニコルス)][3] |
||
본명 |
Michael Nicholls (마이클 니콜스) |
||
생년월일 | 1985년 8월 20일 ([age(1985-08-20)]세) | ||
신장 | 185cm | ||
체중 | 104kg | ||
출생지 |
[[호주| ]][[틀:국기| ]][[틀:국기| ]]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퍼스 |
||
유형 | 브롤러 | ||
시그니쳐 무브 |
슬라이딩 래리어트[4] DDT[5], 코너 토네이도 DDT[6] 브레인버스터 데스 밸리 밤[7] 마이키 밤[8] |
||
피니쉬 무브 |
블루 벤전스[9] 마이키 밤 마스터 블래스터[10] |
||
태그팀 피니쉬 무브 | TMDK (w/ 셰인 헤이스트)[11] {{{#!wiki style="" |
Highway to hell[12] 탱크 버스터[13] 썬더 밸리[14] |
}}} |
별명 |
[ruby(Mean Machine, ruby=ミーン・マシーン)][15] [ruby(Mad, ruby=マッド)] |
||
데뷔 | 2001년 11월 (16세) | ||
SNS | |||
주요 커리어 |
NWA 오스트레일리안 내셔널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EPW 헤비웨이트 챔피언 3회 EPW 태그팀 챔피언 2회 EPW 세레톤 럼블 우승 (2009년) EWF 아메리칸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ROH 라이즈 오브 프루브 토너먼트 우승 (2012년) SHWA 태그팀 챔피언 1회 STW 엠비션 글로벌 챔피언 1회 GHC 태그팀 챔피언 1회 NJPW 스트롱 오픈웨이트 태그팀 챔피언 2회 IWGP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 1회 |
1. 개요
호주 출신 프로레슬러.주로 셰인 헤이스트와의 태그팀 TMDK로 활동하며 WWE, 프로레슬링 NOAH, 신일본 프로레슬링 등 다양한 단체에서 커리어를 이어오고 있다.
2. 커리어
2.1. WWE에 입성하기 이전
2001년에 Explosive Coastal Wrestling에서 데뷔해 마이키 윕래쉬라는 링네임으로 시작해 인비테이셔널 토너먼트 참가자로 등장해 싸이코펫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지만 지미 페인에게 패하며 탈락된다.2002년에 마이키 니콜스로 링네임을 바꾸고, Explosive Coastal Wrestling가 Explosive Pro Wrestling으로 바꾸면서 싱글로 활동하다 2004년에 셰인 헤이스트와 처음으로 경기를 가지게 되면서 승리를 거둔다. 호주에서 잘 나가는 선수로 활동하던 마이키 니콜스는 데이비스 스톰, FN 카니지를 상대로 트리플 쓰렛 매치에서 승리를 거둬 EPW 헤비웨이트 챔피언에 등극하고, 2005년에 리처에게 패하며 챔피언 자리를 잃지만 리처와 스트리트 팡트 매치로 맞붙어 승리를 거둬 챔피언 벨트를 탈환함과 동시에 통산 2회 챔피언이 된다.
2005년부터 미국에도 진출하여 하틀리 잭슨과 같이 팀을 이뤄 APW에서 태그팀 경기를 갖다가 AWS에서도 출전하고, 이노키 DOJO에도 출전한다. 호주와 미국을 오가며 활동하다가 안토니오 이노키 덕에 신일본 프로레슬링에도 첫 출연해 일본에도 진출하고, 고토 히로오키 & 타나카 미노루와 경기를 갖지만 패한다.
계속해서 호주와 미국을 오가며 경기를 가지는 마이키 니콜스는 하틀리 잭슨을 중심으로 결성된 TMDK 일원으로도 활동하고, 2011년에 일본의 프로레슬링 NOAH에서 활동을 시작하며 셰인 헤이스트와 함께 각 나라별 레슬러들과 경기를 가지고, 여기서도 셰인 헤이스트와 경기를 가져 승리를 거둔다.
미국활동도 병행하먀 ROH를 포함해 OVW에서도 경기를 가지고, NOAH에서의 활동이 많아지면서 미국 활동이 많이 줄어들면서 호주와 일본을 오가며 활동을 하다가 2015년에 셰인 헤이스트와 같이 스기우라 타카시 & 다나카 마사토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며 새로운 GHC 태그팀 챔피언에 등극한다. 그러나 보유한지 1달만에 데이비 보이 스미스 주니어 & 랜스 아처에게 패하며 태그팀 챔피언 자리를 잃고, 2015년에 WWE 입단 테스트에 셰인 헤이스트와 참가해 함께 통과하여 수련생 계약을 맺게된다.
2.2. WWE NXT
자세한 내용은 TMDK 문서 참고하십시오.2.3. WWE에서 방출된 후
3년간의 WWE NXT에서의 활동을 마무리하고 가족과의 시간을 위해 호주로 돌아간 마이키 니놀스는 2019년에 MCW에서 복귀하며 JK 무디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고, 1달 후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활동을 시작하며 CHAOS의 일원이 된다. EPW에선 마이클 몰레오네를 꺾고 통산 3회 EPW 헤비웨이트 챔피언에 등극한다.2020년에 코로나가 전세계로 확산되면서 호주로 돌아갈 수밖에 없었고, 2021년에 복귀하면서 EPW 헤비웨이트 챔피언 자리를 매번 방어하며 다녔으나 줄리안 워드와의 웨이스트랜드 워페어 매치에서 패하며 챔피언 자리를 잃는다.
호주에서만 활동하다가 2022년에 다시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활동을 재개하면서 TMDK시절 동료들인 조나 락 & 셰인 헤이스트와도 재회하며 같이 팀으로 다니지만 조나 락이 다시 WWE로 돌아가면서 셰인 헤이스트와 같이 TMDK의 오리지널 멤버로 남게되면서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다양한 유닛들과 경기를 가지고,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의 활동이 많아진 후부터 호주에서 경기 가지는 일이 줄어들고, 2023년에는 오랜만에 미국에서도 경기를 가지며 AEW이 인수한 ROH에서도 경기를 가지며 셰인 헤이스트와 같이 숀 딘 & 칼리 브라보를 꺾고 AEW 본무대에서도 경기를 가지며 레슬드림 2023에서 셰인 헤이스트 & 배드 듀드 티토와 같이 빌리 건 & 디 어클레임드( 맥스 캐스터 & 앤서니 보웬스)를 상대로 AEW 월드 트리오스 챔피언십 매치에 도전했지만 패한다.
신일본에서 활동하던 중 2024년에 다시 AEW에 등장하면서 6월 15일에 방영된 콜리전에서 셰인 헤이스트 & 리오 러쉬 & 록키 로메로를 상대로 블랙풀 컴뱃 클럽과 경기를 갖지만 패한다.
3. 여담
- 슬하에 딸 2명이 있는 유부남이다.
4. 둘러보기
<colbgcolor=white> 이시이 토모히로 | <colbgcolor=white> 야노 토루 | <colbgcolor=white> 록키 로메로 | <colbgcolor=white> YOSHI-HASHI | ||||||
고토 히로오키 | YOH | 리오 러쉬 | |||||||
{{{#!folding 【 기타 멤버 】 | 전 멤버 | ||||||||
알렉스 코즐로프 | 5대 블랙 타이거 | 브라이언 켄드릭 | 데이비 리차즈 | ||||||
게도 | 자이언트 버나드 | 히데오 사이토 | 자도 | ||||||
제이 화이트 | 칼 앤더슨 | 사쿠라바 카즈시 | 로우 키 | ||||||
다나카 마사토 | 마이키 니콜스 | 로비 이글스 | 나카무라 신스케 | ||||||
SHO | 이이즈카 타카시 | 나이토 테츠야 | 타카하시 유지로 | ||||||
휠러 유타 | 윌 오스프레이 | 오카다 카즈치카 | 트렌트 베레타 | ||||||
크리스 스탯랜더 | 척 테일러 | 오렌지 캐시디 | |||||||
객원 멤버 | |||||||||
아베르노 | 댄하우젠 | 딕 토고 | 플립 고든 | ||||||
타니구치 슈헤이 | 마루후지 나오미치 | 네그로 카사스 | 오쿠무라 | ||||||
TAJIRI | 쉐인 헤이스트 | 슈 마라슈우로 | 발 비너스 | ||||||
야마토 | |||||||||
서브 그룹 | |||||||||
베스트 프렌즈 | 자도&게도 |
도쿄 스포츠 프로레슬링 대상 최우수 태그팀 상 | ||||
GET WILD ( 소야 마나부 & 오오모리 타카오) (2012) |
→ |
TMDK ( 셰인 헤이스트 & 마이키 니콜스) (2013) |
→ |
탄환([ruby(弾丸, ruby=だんがん)]) 양키즈 ( 타나카 마사토 & 스기우라 타카시) (2014) |
[1]
데뷔 초창기에 사용하던 링네임.
[2]
WWE 입성 후에 사용하던 링네임.
[3]
본명이자 2002년부터 WWE 입성 전까지 가장 오래 사용해온 링네임으로, WWE를 벗어난 후에도 역시나 사용 중이다.
[4]
상대를 앉혀 놓고 로프 반동 후에 말이 슬라이딩이지 저공으로 점프하는 형태로 상대 목을 전력으로 후린다. 마이키는 왼손잡이지만 래리어트는 오른팔로 후린다.
[5]
현대 프로레슬러의 기본기라지만 떨어질 때 특유의 반동을 주며 떨어져 임팩트가 상당하다.
[6]
마이키가 왼손잡이라 궤적이 상당히 특이하다.
[7]
상대를 찍을 때 상당히 고속으로 들어간다.
[8]
블루 썬더 밤.
[9]
문설트
[10]
마이키의 최종기. 압도미널 스트레치 자세에서 상대 오른 다리 밑에 손을 넣고 위로 들어올려 상대를 거꾸로 든 뒤 그 자세 그대로 앞으로 넘어져 상대 머리를 수직으로 내려찍는 초 위험기.
G1 클라이맥스 33에서
HENARE에게 시전하면서 오랜만에 보여주었다.
[11]
WWE 시절에는 TM61, The Mighty라는 이름으로도 활동했다.
[12]
데스 밸리 밤 + 브레인버스터. 마이키가 상대를 파이어맨즈 캐리 자세로 잡은 후 데스 밸리 밤을 시전하기 시작하면 셰인이 재빨리 상대 목을 함께 잡고 브레인버스터 자세를 취하며 최종적으론 합체 브레인버스터 같은 형태로 상대를 찍는다. 기술명의 유래는 호주의 록밴드
AC/DC의 노래
Highway to Hell
[13]
점핑 DDT + 오버 더 숄더 페이스버스터. 마이키가 오른 어깨에 상대 복부를 얹은 형태로 상대를 들어올리면 셰인이 점핑 DDT를 시전함과 동시에 마이키도 상대를 찍는다. 큰 경기에서는 탑 로프 버전으로 마이키가 상대를 코너 쪽으로 가져가면, 코너에서 셰인이 뛰어 내리면서
카네마루 요시노부의 딥 임팩트 같은 형태로 상대를 찍는 업그레이드판을 보여준다.
[14]
원조 TMDK의 최종병기. 마이키와 셰인이 함께 상대를 고릴라 프레스로 든 상태에서 마이키는 시팅 사이드버스터, 셰인은 셰인 본인의 피니셔인 밤 벨리 데스의 형태인 닐링 사이드버스터로 상대를 높은 낙차에서 회전시키며 후두부를 중심으로 찍는다.
[15]
프로레슬링 NOAH 시절 사용하던 별명이었다.